얼짱하성협 [658755] · MS 2016 · 쪽지

2016-04-10 14:57:24
조회수 444

저 작년 수능 a형 19번 문제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257663

이건의견도 아니고 순수한 제 질문이고 논리학 같은것은 제대로 완벽하게 배운적은 없기때문에 틀릴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흡수층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광자가 입사되면 전자 양공쌍이 생성될 수 있다 라고  지문에 나와있잖아요

그러면 광자가 입사됬을때 전자양공쌍이 생성되는 A경우가 있을 수 있는거고 양공쌍이 생성되지 않는 B경우가 있을 수 있는거 아닌가요?  그러면 A라는 경우일땐 광자가 입사되었다라고 볼 수 있는거 아닌가요?  아 그러면 논리적 오류가있다는게 A인 경우가 있는데 광자가 입사되지 않을경우가 있다는 겁니까?

다시한번 말하지만 어그로도 아니고 키배도 아닙니다 순수한 질문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뿔뜨 · 591264 · 16/04/10 15:03 · MS 2015

    비가오면 땅이 젖을 수 있다
    땅이 젖으면 비가 왔다

  • 얼짱하성협 · 658755 · 16/04/10 15:05 · MS 2016

    그렇게 다른식으로 치환해서 말씀하시지 마시구요 저는 내용자체에서 궁금합니다

  • 뿔뜨 · 591264 · 16/04/10 15:16 · MS 2015

    네있어요 이원준 t 반박글보시면 있는경우가 있다고합니다. 아랫분이 잘설명해주셨네요

  • 얼짱하성협 · 658755 · 16/04/10 15:35 · MS 2016

    저는 이러한 논의가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나하면 ~~에서 라는게 빠져있기 때문이죠 반박할 적절한 예시가 생각나진 않지만 이런 예시로 오류라고 보는것은 맞지 않는것 같네요

  • 끝까지 간다 · 527264 · 16/04/10 18:21 · MS 2014

    이 예시보다는 아래예시가 적절합니다.

    비가 오면 땅이 젖을 수 있다
    땅이 젖으려면 비가 와야한다

    뿔뜨님의 예시는 '젖을수있다'는 조건에서 '젖었다'는 조건긍정으로 바뀌어서(조건에 구체적인 상황이 들어간거죠 x값) 일치되지 않습니다만 제가 제시한 것을 보시면 조건이 그대로 조건상태로 남아있습니다. 즉 후자또한 단정적이지만 '다른 요소로 땅이 젖을 가능성'을 배제하는 문장이 되지는 않습니다. 19번문제에서는 제가 적은 예시와 더 유사합니다. 따라서 오류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물미잡투미잡 · 588719 · 16/04/10 15:07 · MS 2015

    실제 그런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 물미잡투미잡 · 588719 · 16/04/10 15:12 · MS 2015

    이원준T 글 뽑아왔습니다.
    -제 자문에 응해주신 애벌랜치 광다이오드 전문가인 OOO 박사님도 “애벌랜치 광다이오드에서 광자가 입사되지 않고도 전자와 양공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자문에 응한 OOO 물리학 박사도 "실리콘 결정의 에너지띠 구조에서 전자가 원자가띠에서 전도띠로 올라가기 위해 반드시 광자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소리, 압력, 온도 등으로도 필요한 에너지를 줄 수 있다." 라고 밝혔습니다.

  • 물미잡투미잡 · 588719 · 16/04/10 15:13 · MS 2015

    그리고 물리학 시험이 아닌 국어시험이라는 점에서 물리학적인 내용을 알아야 답이 확실해지는 문제였다면 그것 자체로 오류문항이라고 생각합니다.

  • 얼짱하성협 · 658755 · 16/04/10 15:13 · MS 2016

    애벌렌치 광다이오드의 흡수층에서 광자가 발생하지 않고도 전자양공쌍이 생성되는 경우가요?

  • 얼짱하성협 · 658755 · 16/04/10 15:14 · MS 2016

    그게 흡수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인가요?

  • 물미잡투미잡 · 588719 · 16/04/10 15:25 · MS 2015

    제 얕은 지식으로 그렇다고 말씀은 못드리겠고 '아마 그럴 것 같다' 정도로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걸 알고 있는지의 여부가가 정답을 가르는 요인이 된다면 수능문제에 나와서는 안됐다는 생각이 드네요.

  • 물미잡투미잡 · 588719 · 16/04/10 15:14 · MS 2015

    대댓 달았습니다.

  • 얼짱하성협 · 658755 · 16/04/10 15:21 · MS 2016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노다

  • 버츄어캅 · 641193 · 16/04/10 15:56 · MS 2016

    그냥 당연히 오류같은데....

  • 얼짱하성협 · 658755 · 16/04/10 15:59 · MS 2016

    이게 논리적으로 추론이 아닐순 있지만 왜 우리도 오류라고 생각한것을 그 꼼꼼한 평가원이 못찾았을까요? 아님 실순감? 이건그냥제생각이에요 수십번을 검토하는 시험인데 까다로운 사고가 있는것도 아니규

  • 버츄어캅 · 641193 · 16/04/10 16:02 · MS 2016

    평가원도 사람이니까요...?
    지금까지 오류들 봐도 아니 이딴 실수를..? 이지 엄청 고차원적 이의제기는 없었던것같은..
    당장 %p만 봐도 ㅋㅋㅋㅋ

  • 끝까지 간다 · 527264 · 16/04/10 18:07 · MS 2014

    제가 보기엔 그 선지가 A의 경우를 말하고 있는게 맞습니디만 그렇다고 B의 경우를 불가능하다고 배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A해야한다'는 게 B했을때의 개연성혹은 단정성에 대한 판단을 내포하진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