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즈(이유섭) [194126] · MS 2007 · 쪽지

2016-03-07 14:21:08
조회수 2,631

술탄-칼리프 제도라는 용어는 잘못되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108872


흔히 오스만 제국의 황제를 지칭할 때 술탄-칼리프라고 지칭하고는 합니다.


그런데 이 용어는 엄밀히 말하면 분명 잘못된 용어입니다.


오스만 제국의 군주는 술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술탄은 황자(Prince)에게 붙는 칭호이지 황제에게 붙는 칭호가 아닙니다.


오스만 제국의 황제는 파디샤(Pad-e-shah),즉 '왕들의 주인' 이라는 명칭을 썼습니다.


즉 왕의 왕, 황제라는 뜻이죠.


술탄이라는 명칭을 쓴 것은 오스만 제국이 황제국으로 격상되기 전까지인 무라트 2세 때까지로,


이후에는 오스만 제국의 황제를 술탄으로 지칭할 때에는 반드시 술탄 에스 셀라틴(Sultan-es-selatin), 즉 술탄중의 술탄이라고 부르지 않으면 목이 날아갔습니다.


칼리프는 법왕이라는 뜻으로 이슬람 세계의 교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술탄-칼리프제가 아니라 파디샤-칼리프제, 즉 동로마제국에서 썼던 황제교황제도와 다른 용어를 쓰면 안 됩니다.


하루빨리 이것이 고쳐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00일의전과생 · 639120 · 16/03/07 14:32 · MS 2015

    재미난글이네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3/07 14:44 · MS 2007

    국내 교과서 집필진들이 오스만 제국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어요. 예니체리의 사열이라고 그림을 붙여놓고 자그마치 압둘메시드 1세(재위 1839~61)을 올려놓는 거예요. 예니체리는 그 아버지 아흐무트 2세가 다 박격포처형해 버렸는데 말이죠.

  • Padeshah · 639120 · 16/03/07 14:52 · MS 2015

    와 멋져요 이런정보는 책을통해 습득하시나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3/07 14:56 · MS 2007

    닉네임이 파디샤로 변했군요 ㅋㅋㅋ
    저는 2005년부터 11년 동안 세계 각 왕조의 계보를 수집해왔습니다.
    단순히 제왕들의 계보만을 수집해 온 것이 아니라 제왕,후비,황자녀,부마,대장군,재상의 계보를 수집해 왔는데요, 거기 오스만 제국도 당연히 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원래는 태수(Bey)가 다스리는 나라였다가 공작(Sultan)이 다스리는 나라가 되었고 메흐메트 2세 때에 되어서야 비로소 황제(Padeshah)가 다스리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많은 역사의 제국들이 그러하듯이 오스만 제국 역시 처음부터 강대한 세력으로 시작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국내 서적에는 없고 외국 서적을 통해서 수집해야 하는 정보입니다.

  • 십조루선생님 · 467928 · 16/03/07 16:00 · MS 2013

    예니체리는 박격포로 처형을 당한것인가요
    아님 교전중 전사한것인가요?

    위키백과는 교전중에 죽었다고 나와서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3/07 17:39 · MS 2007

    살아남은 예니체리들은 박격포 처형을 당했습니다.
    예니체리를 제거하려는 시도는 마흐무트 2세 시절 두 번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재상 알람데르 무스타파 파샤가 처음에 예니체리를 제거하려 하다가 거꾸로 자신이 살해당하고 황제의 목숨마저 위협에 처한 적이 있으나 황제가 지혜롭게 대처하여 도광양회하여 결국에는 1826년 예니체리를 제거하는 데 성공합니다. 마흐무트 2세가 1808년 즉위하였으니 재위 17년 동안 예니체리들이 기세등등했던 것이지요. 마흐무트 2세가 제거한 예니체리의 숫자만 13만 5천 명에 달합니다.

    예니체리를 제거한 뒤 신군부의 이름은 니잠므 제디드라 칭했고 이는 마흐무트 2세의 양아버지인 셀림 3세를 기린 이름입니다.

  • 성적이오르새 · 630404 · 16/03/07 15:37 · MS 2015

    그럼 휴렘 술탄이나 니크시딜 술탄도 잘못된 호칭인가요. 발리데 술탄이 여태까지 모후라는 뜻으로 알고 있었는데..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3/07 17:38 · MS 2007

    발리데 술탄은 하나의 단어로 치셔야 합니다. 발리데+술탄이 아니라 '발리데 술탄' 이 하나의 단어입니다. 그냥 발리데 하면 황태자를 뜻하게 됩니다. 오스만 제국에서 황후는 세워지지 않고 차기황제를 낳은 여자는 발리데 술탄으로 불리게 되는데, 이것은 엄밀히 말해서 공식명칭은 아니고 공식명칭은 '하툰' 입니다. 오스만 제국 황제의 공식명칭은 파디샤 한 가지 (Padeshah Han Ghazi : 위대한 황제 칸)인데 여기서 한이란 동양의 칸과 같은 터키어입니다. 한의 부인이란 뜻으로 하툰으로 불리게 되는 것입니다. 즉, 차기황제의 모후는 발리데 술탄이 아니라 하툰이 맞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황제 생전에 절대로 황후를 세우지 않고, 황제가 죽은 후에 차기 황제를 낳은 여자가 곧바로 황태후로 진봉됩니다. 그리고 그 차기 황제를 낳은 여자가 죽으면, 먼저 죽은 황제와 합장됩니다. 차기 황제가 형제계승이 되어 여럿 계승하게 된다면, 그 형제들이 이복형제가 되어 하툰이 여럿 생긴다면 먼저 계승한 순서대로 제1하툰 제2하툰의 서열이 생기게 됩니다. 말씀하신 휴렘 술탄은 생전에는 하셰키 휴렘 슐탄으로 불리웠고 이는 황귀비의 작위였으며 셀림 2세를 낳았습니다. 여기서 하셰키는 귀하다는 뜻의 터키어입니다. 사후에는 슐레이만 1세 황제의 첫 황후로 대우받았습니다. 말씀하신 나크쉬딜 술탄은 마흐무트 2세를 낳았고 압듈 하미트 1세의 첫번째 황후로 대우받았습니다. 원래는 두번째 황후로 대우받아야 했으나 첫번째 황후로 대우받아야 할 아이셰 셰니예페브르 황태후가 무스타파 4세의 폐위와 함께 같이 폐위되면서 동시에 제1황후로 진봉되었습니다.

  • 백진희 · 603638 · 16/03/07 22:18 · MS 2015

    오 오늘 진도 나간건데 ㅋㅋ
    헷갈리게 하지 마시죠 ㅜㅜㅜ
    그나저나 준비는 잘 되어가시는지

  • hGQR1mo62KnrBy · 650436 · 16/03/07 22:50 · MS 2016

    술탄과 칼리프는 애초에 별개죠
    아타튀르크에 의해 술탄제가 먼저없애지고 칼리프가 마지막으로 없애진것만 보면 알수있고 칼리프는 이집트에서 오스만이 빼앗아 온거죠.사실은
    요즘에 다에쉬라는 집단이 칼리프를 자청하는게 문제기는 하죠 ㅋ

  • SID Sound · 586106 · 16/03/07 22:53 · MS 2015

    자칭 역덕이긴하지만 아직 진정한 역덕의 발꿈치에도 못미치네요 저는ㅋㅋ
    1월말의 소란은 별탈없이 종결되었습니다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3/08 05:10 · MS 2007

    거봐요. 제가 아무 일 없을 거라고 했잖아요. ㅋㅋ

  • slash0dash6 · 557702 · 16/03/07 23: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겸손을 달리다 · 571079 · 16/03/07 23:49 · MS 2015

    페로즈님 보고 저의 무지에 대해서 다시 한번 깨우치고 갑니다.
    역덕이라는 녀석이 오스만제국에 이렇게 무지할줄은...

  • 할수있Da · 586933 · 16/03/08 00:42 · MS 2015

    으따.. 이런 정보는 어떻게 얻으십니까

  • ruCiWUlZBXpw0N · 623312 · 16/03/08 01:32 · MS 2015

    바람...바램?

  • 이맘 · 563170 · 16/03/08 08:22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