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칼럼) 마지막에는 기출로 돌아가야 합니다.(국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81239
국어 시험에서 끝까지 살아남으려면 두 가지 능력이 필요합니다.
첫째, 생각의 길을 올바르게 걷는 능력.
둘째, 그 길을 끝까지 버티는 지구력.
리트·미트·사설·실모 등은 분명히 지구력을 키워 줍니다. 그러나 국어 공부에서 자주 듣는 말은 “아무리 해도 점수가 안 오른다”는 푸념이죠. 왜 이런 말이 나올까요?
길을 잘못 잡았기 때문입니다.
국어에는 반드시 짚어야 하는 생각의 지점들이 있습니다.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 때, 그 지점을 얼마나 정확히 짚고 넘어갔느냐가 성패를 좌우합니다. 아무리 많은 문제를 풀어도 ‘길의 기준’이 없다면 결국 제자리걸음입니다.
따라서 국어 공부는 기준을 잡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그 기준을 잡아 주는 가장 중요한 자료는, 바로 기출입니다.
저 역시 2021 수능을 준비하면서 마지막에 기출을 충분히 소화하지 못한 것을 가장 후회합니다. 원래 기출로 길을 잡아 두었어도, 비(非)기출 지문만 붙잡다 보면 어느 순간 방향이 흐려지고 흔들립니다.
크게 흔들리지는 않더라도 조금씩 무뎌지고, 극한의 상황인 시험장에서는 그 차이도 크게 작용합니다.
결국 점수를 안정시키든, 한 단계 더 올리든, 마지막 순간에는 평가원의 길 안내와 싱크를 맞춰야 합니다.
기출은 단순히 과거 문제가 아니라 출제자의 호흡에 나를 맞출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 열쇠는 기출이다
만약 여러분이 꾸준히 공부했는데도 점수가 오르지 않았다면, 이제 기출로 돌아가야 합니다.
그동안의 노력이 기출을 통해 종합되면서 비로소 성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점수가 잘나왔어도, 기출로 돌아가야 합니다.
수능 시험장에서는 가장 정교한 판단을 본능적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미리 호흡을 맞춰둬야 합니다.
기출이야말로 마지막 열쇠일 수 있습니다.
이제 국어 공부의 초심으로 돌아가봅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승리 아수라 킵캡 수능장에 들고가면 부정행위냐??
-
9시부터 책상에 앉아있었는데 아직 할 거 산더미같이 쌓임,,
-
주말에 너무 놀아버림 아
-
2년전 현역때 수능 공부 아예 해본 적 없고 이번에 서울대 문과 가고 싶어 올해...
-
언미물1지2 9평 91 / 88 / 48 /38 9서프 83 / 88 / 36 /...
-
그게 저임
-
같은 난도, 같은 계산량, 수열 함수 벡터 공간도형 공도가 체력 훨씬 많이 빨림...
-
다시 고어로 내면 해결임. 27까지는 몰라도, 28부터는 언매 필수니까, ㅆㄱㄴ아닌가
-
원래 사설은 이렇게 어려운건가요 ㅜ 6.9모에서 생1 47 떴는데.. ㅜㅜㅋㅋㅋ...
-
답이없다
-
저 가망없나요 4
9섶 화작 89 확통 77 영어 2 생윤 29 사문 32 인데 이거 재수각인가요...
-
휴가 길게 간다고 잘못하면 휴가 잘릴수도 있을거 같아요 ㅠㅠ 직장생활 쉽지 않네요 ㅠㅠ
-
정리제 예쁘다4 1
후하후하
-
87 100 47 38 국어 1컷 몇점일까요 엉엉 역시 과목 밸런스가 제일...
-
서프 국어 0
문학 다맞고 독서 4틀 ㅅㅂㅋㅋ(지문당 보기문제 다틀림) 해설을 읽어도.. 이걸...
-
올해 수능샤프 2
회사 바뀜요?
-
98 84 2 42 50 수학 계산실쉬버류ㅠㅠ
-
서프 끝나고 낼 부터 들가는데
-
커뮤에 별 반응이 안올라옴
-
이런거 읽으면
-
문제 어지럽군 12
재밌군
-
갑자기 독서 7틀 박아서 걍 나오는길에 쓰레기통에 버림
-
후기가너무없네 5
지구 개어려웠던거같은데
-
다들 어땠는지 후기 난이도좀
-
와앗?
-
서프 국어 뭐냥 2
서프 처음쳐보는데 인생에서 국어 96 밑으로는 안떨어져본 내가 이세계에서는 갑자기 80점대
-
주간지 0
간쓸개 vs 이매진 뭐를 더 추천하시나요?? 가능하시면 이유도 같이..ㅎ
-
응시하신 분들 어떠셨나 말씀 좀 부탁드려요 평가원 시험이나 다른 사설 실모 볼때...
-
서프 물리2 3
서프 물리2 보신분 계신가요? 20번 세타각도 위치가 좌,우가 반대여야 말이 되는...
-
ㅅㅂ짱개새끼들 좀 다 꺼져 제발 ㅅㅂ진짜바퀴벌레같은새끼들좀시발
-
문학 답이ㅋㅋㅋㅋㅋ
-
백분위 거의 매번 95 나오든디...3점짜리는 꼬박꼬박 틀리더라 ㅠ
-
난이도 다른 실모에 비해서 쉬운편인가요? 왤케 점수가 잘 나오지 ..
-
1.5회독 하고 걍 구석에 박아뒀는데 흠.. 아 먼가 내가 계산 체력이랑 개념...
-
화작 확통 영어 세계지리 사회문화 93 93 2 96 96 이정도 느낌으로
-
서프 국어 ㅅㅂ 2
지문마다 거의 한문제씩 쳐틀리네 ㅅㅂ 89나올거같은데 이거 1컷 될수도 있나.......
-
되너요?
-
기하 헬프 2
평면 AOP랑 평면 a랑 왜 수직임?
-
프사로 삼기 좋은거
-
큰가요? 취업에서요
-
세계사 자작문항 15
세사 자작문항 입니다 난도는 상당히 까다로운 편이라 생각해요
-
적분구간 0부터로 잘못보기 차함수 원함수랑 착각하기 숫자 잘못읽고 다시 계산한다고...
-
3시에 경희치 논술 보러가는데 12시에 단국치 논술 끝나고 보러갈수 있나 미치겠네...
-
영상 보니 그읽그풀 구조독해 둘 다 필요하다는 의견이던데 나도 그거에 동의하는...
-
이유는 내가 100이기 때문임 간만에 실모딸 쳐야지 ㅋㅋ
-
I가 e만나는거 뭐가 더 친해지기쉬움?
-
인간의 공감능력은 그 공감능력을 가졌을때 생존할 확률을 올려줬기 때문에...
-
문제는 공뷰하기가 싫음
-
국어 독서 다맞았는데 문학에서 이상하게 봐서 2개 나가서 언매에서 멍청하게 봐서...
-
개졸리다 0
ㄹㅇ
원래부터 기출분석만 ㅈㄴ 했으면 개추
기출분석만 하셨으면 또 반대로 지금 시기부터는 실모섞어보시는 것도 추천드리고 싶네요.
안그래도 제가 듣는 강사분이 실모는 무조건 9평 치고 나서! 를 강조하셔서 이제부터 실모 섞으려고 합니다
이제 실모와 평가원 출제의도와의 차이가 보이거든요
근데 기출 지문을 한 번 풀었던 거라 외워서 푸는 느낌이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ㅠㅠㅠ 한 번 풀었던 지문이라 풀기 싫어져서요 ㅠㅠ 그래도 기출 꾹 참고 분석해야 되나용?
원래 하기싫은 공부가 제일 필요한 공부입니다.
푼다기 보다는 생각의 길을 점검해간다는 생각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넵!! 답변 감사합니다 열공해볼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