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기 좋은 알찬 평가원 기출 -수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23991
극한+연속
251121 -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은 항상 해석의 경계.
240915 - 251121과 동일하게, 분모가 0되는 지점을 조사. 극한식이 주어졌을 때 '해야하는 일은 무엇인가'를 연습하기 좋은 문항.
240611 - 극한 해석에서 기울기는 괜히 있는 게 아니다.
☆☆231114 - 이중극한의 시초. 신유형을 만들어낸 개념은 그 시초를 공부하도록 하자.
☆☆230622 - 바깥에선 변수일지라도, 극한식 안에서는 상수임을 인지하자.
☆221112 - 다항식이 나왔을 때의 기본은 인수정리. 무지성 약분은, 241020의 사태를 초래함을 유의하자.
190621 - 연속이라는 점을 믿고 무지성 약분하는 일은 만용임을 알자.
미분
251115 - 논리적으로 푸는 건 당연하고, 직관적으로 함수 케이스를 보는 방법을 느껴보자.
☆250921 - 짜친다. 짜치는데, 어째서 짜치는지 그 명확한 이유를 아는가? 그리고 어째서 당시 수험생들의 정답률이 낮았는지 알아보자.
☆☆241122 - 가장 어려운 문제에는 간혹 이견이 있어도, 최고의 문제라는 수식에는 이견이 없는 문항. 케이스 찍기로 탁 끝내는 게 아닌, 왜 그 케이스인지. 그 이유를 '논리적으로' 고민해보자.
☆241114 - 교점의 개수와 불연속 지점의 의심은 무엇을 기준으로 해야 하는가. 그 기준으로 삼기 좋은 문지.
☆☆240913 - f(x)는 의미가 없고, 실상은 f'(x)의 해석이 주가 된다는 점. 이차함수의 최대•최소 해석 및 근의 분리에 관해서 아주아주 꼼꼼하게 정복해보자.
240622 - 보기에서 평균변화율이 0보다 작다는 것은 삼차함수에서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적절한 노가다는 선택이 아닌 필수.
☆☆231122 - 기울기 함수와... 교차함수. 두 관점 모두 필요하고, 얻어갈 것들이 있다. 또한 기울기 함수로 이를 다룰 때는 비율관계를 통해 빠르게 답내는 방법을 배우자.
☆☆220922 - 절댓값 함수의 미분가능성이라 해서 교과외, 정확히는 미적분 과정이라고 주장하지 말자. 분명 수2에서도 공부하는 부분이며 절댓값 함수를 우리가 쉬이 다룰 수 있는 g(x), 혹은 h(x)로 바꿔서 관찰해보자. 우리가 아는 공식과의 '꼴 맞추기'란 수능수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
☆220622 - 수2 합성함수 해석에 있어 일종의 기본이 되는 문항.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것만을 고집하면 망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마무리 값을 구할 때도 최대한 계산을 줄여보자.
220614 - 항등식과 절댓값, 함수의 평행이동. g(x)는 f(x)를 요리조리 이동시켰을 때 무.조.건 원점을 지나는 함수로 나타남을 이해하자.
☆22예시22 - 노가다. 그리고 최대 최소, 극대 극소. 삼차함수의 개형과 증가/감소의 빠르기를 구분해보자.
☆201130 나형 - 실근의 개수만으로 함수를 어떻게 작성할 수 있는가. 무지성 노가다가 아닌, 함수의 개형을 그려가며 직접 이해해보자.
☆201120 나형 - 미.불일 때 혹은 불연속일 때 그것들을 미.가, 연속으로 만드려면 몇 개의 인수가 필요한가?
200930 나형 - 네 개의 값들이 '등차수열'을 이룬다는 게 무슨 말인가? 등차수열은 곧 직선임을 알자.
200630 나형 - 이제는 나오기 어려운 유리함수이지만... g(x)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241114와 같이 교점의 개수를 묻는 문항의 특수 의심점으로 좋은 기준이 되어준다.
☆190930 나형 - f(f(x))=x의 해석을 이제는 잘 하는지, 확인해보자.
☆☆171130 나형 - 마찬가지로 인수 정리. 역함수를 우리가 직접 다루기는 어려우니 새롭게 x=f(t)로 치환, 이후 새롭게 맞춰진 범위에 따라 언제가 경계가 될 것인지 잘 살펴보자. 얻어갈 것이 많은 매우 좋은 문항.
☆170921 나형 - 심한 노가다. 좋아하는 문제는 아니다. 다만, 삼차함수와 사차함수의 교점은 무조건 4개 이하라는 사실이 이해가 되는가? -> 이것을 깨달아보도록 하자.
170920 나형 - 비율관계, 근과 계수의 관계를 연습해보자. 눈풀로 이 문제가 풀린다면 당신은 중수 이상.
150921 A형 - 부등식에서 중요한 지점은 양끝의 교점이다. 또한 그때 무언가 큭수한 일이 발생하지 않을까를 유의하자.
091111 가형 - 극한에서 인수 논리는 기본이다.
070610 가형 - f(x)1, f(x)2 의 구분은 결국 무의미. 상수항만을 모를 때 f'(x)를 구하라고 시키는 것처럼, 어째서 k를 구하는지 주목하자.
051124 가형 - 동형대칭이 문제를 풀어내는 핵심 논리이고, 수2로도 쉽게 풀린다. 그러나 미분계수, 다시 말해서 함수값의 증가속도와 관련해서도 한 번 사고해보자.
☆☆: 작성자가 좋아함+그외에도 ☆보다 가치가 높다고 생각하는 문항들.
☆: 얻어갈 요소들이 꽤 있음. 또한 평가원 수학에 있어서 일종의 기본.
아무것도 없음: 중요하긴 하지만, ☆보다는 덜 중요함.
제 개인적인 생각이라 걍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용. 이것말고도 더 있기도 하고, 또 적분쪽도 있는데 어려운 문제들이 아니라 최대한 도움이 되기 좋은 문항들로 구성해봤어요.
물론... 결국 그 좋은 문항들은 보통 어려운 문제지만.... ㅎㅎ
0 XDK (+1,000)
-
1,000
-
굿밤 2
ㅇㅇ
-
왜인지는 모름 ㅇㅇ;;
-
엔제를 먼저 풀었음 요즘 킬러기출 풀고있음..
-
ㅇㅇ
-
공부하면 할수록 수2는 특수특수 개특수를 외치면서 하면 된다는 걸 깨닫는데 수1은...
-
도전해봐용
-
수1에 비하면 너무 부족함
-
재밌음
-
왜케 지로함을 못하겠지 ㅇㅁㅇ
-
얼마안함
-
친구들과 좀비딸보고 하루 종일 잠만 잠
-
러셀 다니면서 걍 사람이 싫어짐
-
x=8866128975287528 y=-8778405442862239...
-
고3이고 모고 보면 확통 2등급 중간 정도 나옴 2학년 땐 항상 안정 1등급...
-
경제학과인데 13
독서 경제지문 나오면 토나옴 무차별곡선나오는 미시쪽은 괜찮은데 거시쪽이 ㄹㅇ.....
-
이왜진
-
에휴
-
- 싱글커넥션 수1: 60% 수2: 30% 확통: 90% - 팔구십퍼요 수1:...
-
25수능 정을선전에서 21번 틀렸는데 정렬부인이 가정의 ’상층’인물임을 어떤 근거로...
-
이게 젤 인상적이였음 올해들은 국어인강중에
-
공부하다 잠깐 쉬려했는데 ㅅㅂ 16분이 벌써 지나네 체감상 4분인데
-
미적기준 원점수 33-40점정도 확통기준 원점수 43-44점정도 받으면 됩니다 참...
-
통일비용땜에 당장 우리세대는 오히려 손해라는 말도 있던데 북한은 완전히 혁명...
-
그립진 않아.
-
극한+연속 251121 -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은 항상 해석의 경계. 240915...
-
가끔 사고과정 ntr 당해서 수치스럽다는 사람들 보이기는 하는데 대부분 체화 못해도...
-
다양한 말들을 하나의 논리로 묶어버리는게 중요한듯.. 안그러면 공부가 끝이 안나는...
-
본인 말로는 그것도 크다는데
-
난 물복보다 7
딱복이 좋은데..
-
현강에서 번따하면 뭐라할까 ㅋㅋㅋ 궁금하네
-
어느쪽으로 가야함?
-
교재에 리트 지문 많은게 좀 아쉬움 리트지문 풀 실력 아니라서
-
가천대/경기대/수원대 10
이쪽 학교들은 학업 분위기 괜찮은 편일까요? 여긴 다들 고학벌들이라 아예 모르려나…...
-
무슨뜻인지아는사람
-
댓에 답 남기면 어디 틀렸는지 말해드림 35는 풀지마요
-
141021(A) 포물선의 두 접선이 직교할 때, 두 접선의 접점을 지나는 직선은...
-
이원준 욕할거임 1
계간지 없애서 화남
-
강k 2회 7
22틀 96 시간없어서 못풀었는데 끝나고 푸니까 바로풀리는거 보니까 시험 난이도...
-
와 씨 원래 21번급으로 만드려햇는데 킬러를 만들어버렸네 이건 진짜 잘만들었다
-
그만 하도록 하자
-
누가 제일 낳음?
-
10지선다 들으려는데 너무 투머치 한가요? 그냥 개념강의 회독하는게 더 좋을 거...
-
눈에 익어버렸음
-
ㅇㅂㄱ 5
-
비문학 인문 제재 분야별 기출 모음 (17) - 동아시아 철학 Ⅰ 1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오늘은...
-
마싯다 10
와플두개먹으니 잠이 오는구나,,
-
강k하고 히카푸까... 둘 다 많이 어렵나 강k 4회분, 히카 16회분
아 이런 글 너무좋네..
와
22예시22도 직관 쓰는게 있긴 했던거같는데
기억이안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