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문학(2) <보기>의 출제 의도 - 업계 비밀 공개, 언제 삭제 될 지 모름(진짜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96735
안녕하세요 국가사입니다.
물론 지금이야 오르비에 조그마한 칼럼에 실려있을 내용이지만
먼 미래안에(저는 3년 정도로 봅니다) 이 이론이 정론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확실합니다.
제가 이전에 원기옥 모은다고 했죠? 하나씩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좋.댓.구알.부탁.드립니다.
사실 현장 강의에서만 이 내용을 풀려고 했는데,
도움을 받으시는 분들이 있을까 조심스레 내용을 풀어봅니다.
그리고 관심을 가져주시는 분들이 있어서 간단히만 소개하자면
일단 저는 서울 목동에서 강의합니다.
현재 추가 인원을 받고 있는 학년은 고2 정시반 뿐이며
쪽지 주신다면 자세한 수강 방법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ㅎㅎ
거두절미하고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죠!!
.
.
.
.
.
.
.
(1) 그래서 지문 먼저? <보기> 먼저?
이 내용을 논하기 앞서 잠깐 수학 영역의 문제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수학 공통영역 2026년 6월 모의평가 11번
현재 풀고자 이 문제를 가져온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유형을 소위 '합답형' 유형라고 일컫습니다.
그리고 수학 고정 1등급 이상의 학생들은 알 내용입니다.
ㄱ을 '먼저' 해결하면 ㄴ의 단서가 된다.
ㄴ을 읽으면 ㄷ의 단서가 된다.
즉, 출제자는 철저히 ㄱㄴㄷ을 '순서대로' 읽는 것을 의도했다는 것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묻겠습니다.
국어는 지문이 먼저 배치 되어있나요 <보기>가 먼저 배치되어있나요?
네, 맞습니다. 지문이 먼저 배치가 되어있습니다.
제가 할 이야기가 너무.. 당연하지 않나요...?
지문 위의 발문은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즉, '제발 글 읽고 문제(보기 포함) 읽어'라고 은연중에 이야기합니다.
지문을 읽고 <보기>를 읽는 것은 '정배'입니다.
다만 반론하실 분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보기>를 먼저 읽었을 때 지문이 더 잘 읽히는 경우가 있잖아요?"
.
.
.
.
.
.
물론 당연히 있습니다.
현대시 같은 경우 감상이 어려운 현대시는 <보기>의 도움을 얼추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죠.
하지만 그 도움을 받는 학생들은 웬만하면 '숙련된 독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님들은 아닐 가능성이 높..)
정리하자면
1) 최근 시행된 6월 모의평가에서 낮은 2 or 3등급이다
-> 일단 지문을 먼저 제대로 읽는 연습을 하자
2) 나는 고정 1에 현재 국어 공부를 한 지 꽤 오래되었다
-> <보기>를 먼저 읽고 내가 얻어갈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정리해보는 과정을 거치자.
로 요약하겠습니다.
지금부터 몇 백, 몇 천 배로 중요한 내용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
.
.
.
.
.
.
.
.
.
(2) <보기>는 왜 출제될까?
질문을 하나 해보겠습니다.
Q. 심청이는 효녀인가요?
.
.
.
.
.
A. 네...? 그쵸?
그러면 다시 질문 해보겠습니다.
Q. 심청이는 자신의 몸을 함부로 대했잖아요.(인당수에 몸을 던졌기에)
또, 부모보다 일찍 죽으려고 했잖아요. 그렇다면 불효녀 아닌가요?
.
.
.
.
.
.
A.??????
이래서 주는 겁니다.
문학은 철저히 관점과 근거에 따라 답이 천차만별로 나누어지는 학문입니다.
너무나 당연하죠. 세상엔 너무나 다양한 사람들이 많으니, 문학엔 정답이 여러가지 있을 수 있죠.
<보기>는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두 개 이상의 해석이 가능한 경우에 정답을 하나로 좁혀주는 수단입니다.
.
.
.
.
.
.
위의 예시에서는
<보기>가 심청이가 효녀임을 이야기한다고 해봅시다.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라고 했다면
오답선지(올바른) 4개는 심청이가 효녀라는 이야기를 할 것이고
정답선지(틀린) 1개는 유일하게 '심청이가 불효녀'라는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주의해야할 점은 여기서의 정답선지의
'선지 내부 논리'는 오류가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즉, <보기> 제외하고 선지'만' 본다면 올바른 선지 같다는 생각이 들겁니다.
아무 생각 없이 <보기>문제를 접근한 상태에서 5번 선지까지 가봤는데 정답이 안 보이는 경우가 이러한 경우입니다.
.
.
.
.
.
.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리하자면 <보기>유형은 '틀린 그림 찾기'입니다.
너무나 간단하게 <보기>와 다른 이야기를 하는 선지 하나를 고르면 끝입니다.
.
.
.
.
.
.
기출 예시를 가지고 오겠습니다.
23학년도 6월 모의평가 (미스터 방) 31번 문항
꼭 지문은 읽어보고 문제를 봅시다. 자세한 해설은 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디테일하게 설명할 수 있으나, 오늘은 제가 이야기한 '틀린 그림 찾기'에 대한 이야기를 딥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보기>는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나요?
서술자가 일부로 '여러 인물의 시선으로 초점화'하여
독자와 인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고 이야기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정답선지는 너무나 '하찮게도'
5번 선지입니다.
그 이유는 5번 선지는 유일하게 1~4번 선지와 다르게
'일관되게' 초점화 한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즉 <보기>에서의 '다양한 시선'과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도 압니다. 애초에 다양한 시선이라고 보기에 어려운 구간이 지문속에 발췌되어 있는 것을요.
제발 오늘은 틀린 그림 찾기 이야기만 해봅시다.
.
.
.
.
.
.
.
그런데 우연같죠? 같은 시험지에 있는 아무 <보기> 문제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정말 거짓말 안치고, 위와 같은 시험지의 아무 문제나 가지고 왔습니다. (소현성록)
정답선지 5번만 봅시다.
'처벌 방법을 두고 대립하였음'이 <보기> 도대체 어느 구간에 있나요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압니다;; 처벌 방법에 대립을 두지 않음을 소설의 내용 불일치로 풀 수 있죠.)
(아... 반박 답글 달릴 미래가 보인다....)
정말 딱 하나만 더 가져와 보겠습니다.
말도 많고 오답률 또한 높았던 22학년도 수능 현대시 세트의 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정답 선지 2번만 바라보도록 하죠.
선지의 '결핍되어 있는 속성을 끊을 수 있는 수단'과
<보기>의 '결핍된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한다'랑 신중하게 '틀린 그림 찾기' 해보십시오.
.
.
.
.
.
.
자 이제 되나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디테일한 부분 당연히 설명 가능합니다.
정답 선지를 찾아가는 과정은 너무나 다양합니다.
<보기>out, 내용 불일치, 선후 관계 섞임......
알아요 압니다....
이러한 내용들을 특히 공부를 더 잘하시는,
소위 기출 분석이 정말 잘 되어있는 학생들인 경우
이런 식으로 푸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저는 가장 기본적인 풀이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했을 뿐입니다.
.
.
.
.
.
.
.
단, 주의 해야 할 점은 제가 자칫 문제를 풀 때 지문을 발췌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문 안 읽어도 <보기>만 제대로 읽으면 정답이 나온다'
와 같은 말도 안되는 방법론이 아니라는 점 주의 부탁 드립니다. (지문 당연히 잘 읽어야죠.)
문학 지문 독해 방법에 대해서
요기서 설명했습니당
.
.
.
.
.
저는 학생들을 가르칠 때 고려하는 것 중 하나가 있습니다.
'과연 내 학생들이 현장에서 이걸 할 수 있을까?'
수능 시험장은 그 무엇도 예측 불가능한 미지수입니다.
그러한 불확실성에서 가져가야 하는 것은 방대한 스킬이 아닌
단순한, 누구나 할 수 있는 무언가 입니다.
적어도 저는 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그러한 멋있는 풀이를
그러한 잘 팔리는 강의를 하고 싶지는 않네요
.
.
.
.
.
.
그렇다고 틀린 그림 찾기만 하라는 것은 아니라는 것 절대 오해 없길 바랍니다.
당연히 이러한 풀이 과정은
제대로 된 독해가 선행되어야 잘 사용된다는 점 인지하시길 바래요.
.
.
.
.
.
.
오늘 아침은 괜찮았는데, 갑자기 저녁되니 말도 안되게 더워졌네요.
수험생의 여름이 지금껏 겪어본 여름 중에 가장 덥죠?
겨울은 가장 추울 겁니다.
하지만 가장 따뜻한 겨울이 될 수 있기를 항상 기도할게요!
모두 행복하고 알찬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질문이나 상담은 항상 쪽지 부탁드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pdf로 주는게 아닌거쥬?
-
있나욤??
-
빨벌튀가 답이다 3
오늘도 외칩니다 빨벌튀
-
100일의 전사 명단 쫘르륵 나열하구 절치부심해서 우리 전사 오리비언들은 꼭...
-
소폭의 인륜적 반등 중 추가 반등 없으면 오후나 종가에 팔아야겠다
-
디시 신송중 갤러리로 놀러와
-
부활하면 나 ㅈ되는데 n제 삼도극보이면 바로 넘겼는데 ㅅㅂ
-
혹시나 사회적 신분에 지장이 생길까봐 쎈말은 못하겠는데 전 저분 싸이버거 뿌린다...
-
수특 독서 0
지문 읽을때 생략된 내용도 많고 배경지식을 어느정도 요구해서 힘든데 오히려 지문이...
-
운동완료 6
점심 모 먹지
-
ㅋㅋㅋㅋ 1
-
그러니 들어오지 마새요
-
국어 강사 누구 승임
-
요요햄의 결혼할 여자의 6가지 조건 글을 보고 떠오른 생각인데 3
저는 사람들이 미디어에서 이상형을 말하는 사람들을 보고 분노하는 현상이 잘 이해되지...
-
공부를 못한다 이건 아닌데 1학기때 제대로 안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고등학교에 적응을...
-
물리 고정50점 0
물1 고정50점이랑 물2 고정50점중에 뭐가 더 쉬울까? 작년에 물1하고, 올해...
-
속도가 차원분석을 해보면 m/s니까 m인 파장을 s인 주기로 나누면됨 ㄷㄷㄷ 이러면 바로외워지네
-
이감 3차 파이널 리뷰(48시간 단식 중에 푼 모의고사) 6
걸린시간 75분(일단 본인은 실전 긴장감까지 계산해 75분 타이머 잡음) 언매 15...
-
왜 못가는거지 얼른 가라고 말 해주세엽…
-
왜곡은 영어로 1
Jpop 푸하하
-
어떨거 같아요? 화작 88점 나왔는데 3은 뜨나
-
늙은노베님 12
쪽지 공개를 원하진 않으셨지만 부득이하게 공개합니다 단도직입적으로, 제 눈에는 그저...
-
하............. 언매특강힘낼게
-
올해 전국서바 좀 애매한듯
-
4규 설맞이 2
뭐부터 할까요? 지인선 풀다가 ㅈㅈ쳤습니다
-
!!
-
이감은 고정이고 상상 vs 서바 vs 강k
-
오리온 n제 0
데이 하나 당 몇분 잡고 푸는게 적당할까요
-
어떤 강사 사이트에 있었는데 누구였죠? 올해꺼
-
과연 오늘도 0
레어 승인을 해주실건가
-
고민이있습니다 3
안녕하세요 저는 생전 사칙연산이며 책한권읽지않은 사람이라 초등과정도힘들어 초등학교...
-
흐엉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ㄱ선지가 전체 계의 역학적에너지보존 관점에서 풀면 풀리긴하는데 이 방법은 왜 잘못된...
-
백분위 특 4
1컷 -> 96 1컷 + 반문제 -> 97 1컷 + 1문제 -> 98 (벽) 99 (벽) 100
-
성적확인하고 2차지원여부 선택하는거에 지원포기하면 합불여부도 안나오나요? 그라믄...
-
1컷 87인 시험에서 94점이면 백분위 몇쯤일까요 12
언매입니당 시험지마다 다르겠지만 대략 알고싶슴니다 98 99 100 중에 어딜까용
-
1번 선지에서 ‘곳곳이’는 ‘곳곳’ + ‘이’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곳곳‘은...
-
미국에 약 500조원을 한국이 투자하고, 이 투자에서 나오는 수익금 중 90%를 미국이 가져간다?? 2
더군다나, 추가적으로 140조원 규모의 미국 에너지 수입도 해야하고. 뭐지? 이런...
-
밑그림 없이 그림 그리기 지도 없이 보물상자 찾기 정도일 듯 내가 당장 습득할 수...
-
생윤 vs 윤사 2
검정고시 도덕 볼려고 하는데 생윤이랑 윤사 둘중에 학자 더 많이 나오는 과목이...
-
평가원이나 교육청 치면 백분위 99에서 심하면 3등급 중반까지도 내려가는데...
-
스매코 7회 제작중
-
우체국 등기로 2025년 09월16일-09월18일 예비군오라고 날라왔는데요...
-
맵고자극적이고혀대일정도로뜨거운짬뽕먹고싶다!!!!
-
이거 외는데 한달정도 걸렸어요 ㅜㅜ 단어도 단어긴 한데 독해 실력이 좀 구린거같아서...
일단 개추
잘 읽었어요
이렇게 퍼주면 장사 망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