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오지훈 [1229535]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5-06-06 18:38:47
조회수 2,201

2026 수능 지구런 가이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66291

대부분 '지구런'이 뭐지? 사탐런은 들어봤는데..

하고 들어오셨을 거 같은데요? 지구런을 홍보하는 글입니다 ㅎㅎ


0. 추천대상 및 서론

• 사탐런을 했으나 6평결과 기존 과탐 등급이랑 별 차이가 없는 학생

• 희망 대학중 과탐 가산점을 주는 대학이 있는 학생

• 과탐은 할건데 무슨 과탐을 할 지 모호한 학생

• 생윤이 안 맞는 학생

• 24수능 윤사처럼 말장난 두 문제를 틀렸는데 4등급을 받기 싫은 학생


최근 수능은 선택 과목 간의 유불리가 대입의 중요한 변수로 부상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26학년도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지구과학1을 전략적인 선택지로 고려해야 하는 강력한 근거들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불확실한 입시 속에서 '지구런'은 성공적인 대입을 위한 현명한 돌파구가 될 수 있습니다. 2026학년도 6월 모의평가 예상 1등급 컷이 44점으로 오르비나 디시에서 시험 직후 예상한 45~47점보다 낮게 형성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또한, 자연계열 모집단위에서는 과학탐구 과목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이 많아 과탐 선택의 고민이 커진 상황입니다. 과탐 가산점은 사탐보다 낮은 등급을 받더라도 대학환산점수로는 더 높은 점수를 받는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어 정시 합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사탐을 공부하는 것이 더 쉽다고 느끼거나 사탐에서 더 높은 등급을 받더라도 대학의 최종 환산점수에서는 과탐 가산점의 위력으로 인해 역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1. 타임 어택에서의 유리함

지구과학1은 다른 과학탐구 과목에 비해 타임어택이 심하지 않아 시간 관리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간 압박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지구과학1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다른 과목에서 시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학생들에게는 지구과학1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2. N수생 변수, 지구과학1에 미치는 영향

의대 증원 정책은 2025학년도 수능에 응시하는 N수생 및 의반 규모를 역대 최대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이에 따라 메디컬을 희망하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과탐 표본 중 수준이 가장 낮은 지구과학1으로 몰려온 것입니다. 하지만 올해는 의대증원이 취소되면서 의반들이 빠졌고, 결국 2025학년도에 시행된 모든 모의고사에서 예상보다 지구과학1의 등급컷이 낮게 나오고 있습니다.


3. '지구런'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맞춤 제안

탐구 과목 선택에 확신이 없는 학생들에게 지구과학1은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지구과학1은 상대적으로 낮은 타임 어택 부담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쉬운 진입 장벽을 가지고 있어 학습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노베이스 상태에서도 중위권까지 비교적 쉽게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은 탐구 과목에 대한 기초가 부족하거나 뒤늦게 탐구 과목을 결정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이는 불확실한 입시 환경에서 심리적 안정감과 함께 실질적인 경쟁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2026 수능 '지구런'으로 성공적인 대입을 향해 가봅시다.

2026학년도 수능은 탐구 과목 선택이라는 전략적 판단이 합격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특히 자연계열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는 대학별 과학탐구 가산점의 위력을 간과할 수 없으며 실질적인 점수 우위를 제공합니다. 지구과학1은 2026학년도 수능의 강력한 전략적 선택지 중 하나입니다. 사회탐구의 말장난에 지쳤거나 과학탐구 선택에 망설이는 모든 수험생에게 '지구런'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지구런'은 단순히 한 과목을 바꾸는 것을 넘어, 변화하는 입시 환경 속에서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길을 찾아 나서는 현명한 대입 전략이 될 것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