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아패로 국어 공부 ㄴ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65808
나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종이로 지문을 볼 때는 문제가 없는데,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보면 머리에 안 들어옴...
그래서 수업 준비도 아패보다는 종이로 인쇄해서 함
온라인에 글 쓸 때도 내가 쓰고 있는 글을 종이에서 읽듯 묵독으로 바로 머리에 때려 넣기가 잘 안됨
그래서 음독으로 다시 변환하면서 읽고 있는 상태임
그 결과 띄어쓰기 구분이나 맞춤법 자체를 잘 파악을 못 하는 경우가 많음
내가 쓰고 속발음으로 발음하면 문제가 없는데 쓴 걸 보면 뭔가 미묘하게 어긋나있음
왜 이런걸까 궁금해졌음
그래서 곰곰히 생각을 해보던 도중에 어디서 글을 읽었었나 아니면 수업에서 들었나 기억은 잘 안나는데 이러한 상황을 연구한 것들이 있다고 한 것이 떠오름 그래서 좀 찾아봤는데 '화면 열등 효과'라는 것이 있다고 함 ㅇㅇ
찾아본 연구결과들을 정리해보자면, 디지털 기기로 글 읽을 때 독해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함
(메타분석이 많긴함...)
이걸 연구에서는 화면 열등 효과(screen inferiority effect)라고 부른다고...
똑같은 내용을 디지털 화면으로 읽은 학생들보다 종이로 읽은 학생들이 독해력 테스트에서 계속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함
더 놀라운 건 장기적으로 종이책 읽기가 디지털 읽기보다 6~8배 더 큰 폭으로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거임...
말이 되나 싶지만 그렇게 나왔다고 함 ㅇㅇ 난 몰?루
그래서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도 연구들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 디지털 환경은 알림 기능이나 멀티태스킹 때문에 집중력을 방해함
- 화면 스크롤 때문에 깊이 있는 이해가 어려워지고
- 종이책은 페이지 위치를 통해 정보를 기억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디지털은 그게 안 됨
- 디지털로 읽을 땐 꼼꼼하게 읽기보다 대충 훑어보는 경향이 있음
- 스마트폰으로 읽을 땐 깊은 호흡이 억제되고 전전두엽이 과도하게 활성화된다는 연구도 있음
특히 어린 학생들한테 이 영향이 더 큼 자기 조절 능력이 약하고 주의 집중이 더 어려워서 그런가 봄
재밌는 건 읽는 텍스트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는 거임. 소설 같은 이야기체 텍스트는 디지털이든 종이든 큰 차이가 없는데, 정보 전달용 설명문이나 학술 텍스트는 디지털로 읽을 때 독해력이 확실히 떨어진다고함
어라 이거 완전 비문학 독서 아니누 ㅋㅋ
스웨덴은 디지털 학습을 선도적으로 했었는데 최근에 초등학교에서 디지털 도구 사용을 줄이고 종이책 읽기를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꿨음. 뭔가 성적이 떨어지는 거랑 화면 사용 시간이 관련 있다고 생각한 듯 ㅇㅇ
https://www.educh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74
여기에 교육부 반박도 있긴함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5&boardSeq=102839&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1&opType=N
그런데 hmmmmmm 판단은 알아서ㅋㅋ
이게 메인은 아니니까
다시 돌아와서
물론 디지털 읽기도 장점은 있음. 글꼴 크기 조절이나 검색 기능, 휴대성 같은 거...
근데 독해력만 생각하면 종이가 월등히 나음
우리가 노안 온 노인도 아니고 폰트 사이즈? 음...
내가 종이가 아니면 지문이 좀 안 읽히는 것은 이상한 게 아니었음ㅇㅇ
결론 국어는 아패에서 피뎁으로 공부하지 마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제야 문제 1
온 세상 속에
-
근데 문과 앵간한 성적이면 교대 완전 가성비 같은데 18
물론 뭐 확고한 목표가 있으시면야 안 가는건 너무 당연한건데 딱히 뭘 해야 될지도...
-
이감 파이널 있길래 함 풀어볼까 생각중인데 작년에 나온거라고딱히 문제는 없겠져?? ㄱㄱ?
-
뉴분감 질문 7
내일부터 수1 수2 뉴분감 달리는데 하루에 7시간 정도 수학에 투자한다 하면...
-
이감 현장 응시가 있던데 4회차 전부 보나요? 아니면 한 회차만 보나요
-
우선 제가 노베가 아닌거 아니냐 하는 말이 있을까봐 미리 말을 하면 고1 수학은 잘...
-
충전기나 보조배터리등때문에 탑승수속이 거부되지 않나요??
-
ㄹ 0
ㄹ
-
배스킨 메뉴 추천점 58
패밀리라 6가지 고를 수 잇대
-
이걸 풀 수 있는 자와 풀 수 없는 자로 나뉜다.(출처: 25 지인선 20회)
-
좌표설정은 꼭 주어진 축대로 따를 필요 없다 어차피 상댓값만 같으면 장땡
-
설의 cc 1
서울대 내신 cc인데 "물2생2"로 설의 일반전형 정시 합격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
안녕하세요 2
모두 행복한 일요일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내일부터 중간고사 기간이랍니다 ㅜ 팀 07...
-
.
-
풀 땐 별짓 다 했는데 지금 보니까 그냥 풀리네 제대로만 봤으면 92였는데
-
어제 강의들어서 오늘 들어야하는데 갑자기 하기 싫다
-
가는 사람이 있더라..
-
걍 존나 웃기던 애잇는데 지 사진도 올리고 머리에 고깔콘쓰고 학교 달리던 새끼
-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재학중입니다. (정시) 암거나 질문받을게요 ㄱㄱ 쓸데없는것도 ㄱㅊ음
-
혹시 뭐 옯붕이들 자장면 먹고싶은 그런 소원 없으요~?
-
오르비 와보니까 라떼임을 여실히 느끼는데 ㅋㅋㅋㅋ 냥대가 있는데 검색해도 안 나와서...
-
지금 높다고 나중에도 반드시 높을까..?
-
대단하다!
-
술빨고와야겠다 0
인생의쾌락이필요해
-
나 6모 잘보나보다 ㅎㅎㅎㅎ
-
3모 화미영사지로 51323 나온 현여깅인데 하루 평균 11시간 잡고 국어 3.5...
-
6모후부터 7월 중순까지 수1수2 각각 4규 시즌1,커넥션,이해원시즌1 확통은...
-
What's up, guys? This is Ryan from Centum...
-
신상정보 털렸나 12
뭐라카노
-
솔직히 현역때 공부안하고 n수하는거 개짜친다고 생각해요... 4
막 n수생 증가 뉴스 유튜브 댓글 보면 현역이들이 저런 댓글 ㅈㄴ 다는데 저...
-
헉!
-
이러면 보통 어디 감? 중대 가려나
-
뉴런 오래걸리나요?
-
이따 복귀할게요 6
기다려줄거죠?
-
10시에봅시다 2
물리 1단원 기출을 끝내고 오겠습니다
-
따로 공부 더 안해도 괜찮을까여 그래도 다풀고 n제로 감유지 정도는 하는게 나은가
-
경기도 2
경 기도 경기 도 경기도 ㅋㅋㅋㅋㅋ
-
그냥 위치라는게 엄청크게작용하는듯
-
대선 결과 보고 충격 안받았으면 좋겟네 하 라인업이
-
ㅎㅎ
-
그.... 사실 사회통념상으론 절대 받아들여질 수 없는 주장이 있죠 ~~~는 전부...
-
도수가 없거나 낮은 안경은 때때로 갓경이 될수있지만 도수가 높다면 100% 확률로...
-
6모 때 6
제발 미적 27 29만 맞추자 ㅈㅂ
-
화작기하사문지구 1
선택 이런식으로 해도 대학지원 상관없나요..? 국립 가산점 이런것만 빼면...
-
봇기견들 구매능력 직무유기 한거지요 직무유기 아닙니까
-
브리온은 0
젠지 킬러니깐 티원이 지는 것도 당연한 거 아닐까 응응
-
국5(화작) 영3 수학(확통) 수꼭필까지 완 사탐5 5 (생사)
이거 ㄹㅇ
저는 전자책/국어 pdf 모고
이런 거 진짜 못해먹겠더라고요 ㅜㅜ
노타빌리티 스크롤링으로 보면 위아래 왔다갔다 빡세고 굿노트 페이지 좌우로 넘기기로 봐도 넘기기 빡세죠ㅋㅋ 그래서 막상 플렉슬로 다 펼쳐보면 너무 작음
디지털 환경에서 글 읽을 때는 그냥 생각하기가 귀찮음
뭐라는지 잘 안 보여서 좀 그런 경향이 있죠
손가락으로 화면 왼쪽 오른쪽 와리가리 쳐야하는ㄷ
그게 종이랑 너무 큰 차이인듯
고수:갤탭 사용자는 ㄱㅊ겠군.
오
전자책은 걍 대충 훑어보게 됨 무한 손가락스크롤
애러 나서 없어지면 진짜 짜증나요
태블릿으로 실모나 교육청 풀면 머리에 안들어오는게 이런것도 있겠구나
태블릿으로 기출 풀이는 진짜 비추입니다 ㅠㅠ
태블릿 실모는 진짜 비추...
그렇다면 모래주머니로...?
전 그래서 오직 종이로만 공부한다는...
저도 그래서 기출 종이에 풀고 탭에 정리했었음 ㅋㅋㅋ
수학도 비슷함
헉
패드로는 국어 풀고싶어도 못풀겠던데 ㅋㅋ
스크롤, 줌인/아웃이 된다는 것 부터가...ㅎㅎ
특히, 수학에서 도형볼 때......
오히려 그럼으로써 모래주머니 효과를 노릴 수 있다고 생각
무히려 좋아(?)인가요 ㄷㄷ
체감상 단순 단어 암기 이런거면 모르겠는데 머리 써야 하는거면 전자기기로 공부하는게 효율이 엄청 떨어지는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