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2] 생2 기출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75784
Airfrance 님의 2020학년도 수능 성적표
구분 | 표점 | 백 | 등 |
---|---|---|---|
한국사 | - | - | 1 |
국어 | 140 | 100 | 1 |
수학 가 | 131 | 99 | 1 |
영어 | - | - | 2 |
지구과학1 | 72 | 100 | 1 |
생명과학2 | 65 | 98 | 1 |
지난 시간에 제가 생명과학2를 처음 학습하는 분들을 위한 글들을 썼는데 이번에는 저번에 서술한 개념 학습이 잘 되어있다는 전제 하에(+최소한 수특 문제는 풀었고) 기출 학습 공부법에 대해 써보려 합니다.
질문 관련 링크
https://tutor.orbi.kr/teacher/58917
1. 기출문제집 정하기
우선 개인의 취향과 중점 학습 목표에 따라 기출문제집을 정해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여러 가지 다 체험?해봤습니다.
1) ebsi 등에서 4,6,7,9,10,수능 문제 연도별로 뽑기
2) 자이스토리
3) UAA 기출해제분석서
저는 수능특강, 수능완성을 다 풀고 난 이후에 1)을 먼저 진행하였고 그 다음에 2), 3)의 순서대로 진행했습니다.
1)의 경우에는 막 걸음마를 뗀 단계에서 시간 훈련을 하기 좋습니다. 특히 수특과 수완을 풀 때는 포인트가 '이 문제를 이유를 분명히 아는 상태에서 풀 수 있는가?' 었지만 1)에서 부터는 20문제 30분이라는 제한을 두고 하기 때문에 수능 시스템에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1학년도부터 교육과정이 바뀌는 바람에 현재의 수험생들은 20학년도와 그 이전 기출을 이런 방식으로 공부하기는 어렵습니다. ㅠㅠ
하지만 21학년도 기출문제만이라도 이런 방법으로 풀면 수능식 마인드를 갖추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겁니다.
2)는 단원별로 교육청, 그리고 교육과정 변경 이전 생1에 있던(현재는 생2에 있는) 문제까지도 모아놔서 한 단원과 관련된 거의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이전 학년도 문제는 난이도가 낮아 1)만 마친 학생 입장에서는 편할 것입니다.
3)은 평가원 문제만 있지만, 1), 2), 3) 중에서 가장 해설이 자세합니다. 실제로 UAA에는 생2에서 괴물같은 성적을 받았던 학생들이 들어가기 때문에(저도 UAA 멤버 중 한 명 아는데, 몇백명 씩이나 되는 최수준t 현강생 중에 가장 뛰어난 학생이었습니다.) 그런 분들이 쓴 해설을 보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제 필력이 모자라 형용을 이렇게밖에 못하지만, 직접 책을 구해보시면 그분들의 insight와 view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을 겁니다.
2. 자이스토리나 기출해제분석서 같은 것을 처음 풀 때는 시간을 재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이 부분은 공부한 분마다 공부법이 다를 수 있는데, 최소한 저는 기출문제집을 처음 사서 풀 때는 한 문제 한 문제에 대해 더 신경을 쏟아서 집중하려 했습니다. 한 문제를 풀었더라도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풀었는지 스스로 생각해봤고 뒤에 나온 문제를 풀고나서 갑자기 '이런 풀이 방식을 앞 문제에 사용하면 편할 것 같은데' 싶은 생각이 들면 다시 앞 문제를 보기도 했습니다. 기출문제는 모든 문제 중에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해설지를 보기 전에 '최대한 내가 할 수 있는 생각은 다 생각해보고 다 시도해본다'는 생각으로 문제를 대하세요.
3. 해설지를 볼때
저는 사실 되도록 제 힘으로 문제를 풀기 전에는 해설지를 보지 않으려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난도높은 샤가프 기출 몇개와 코돈 기출 몇개는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여러 킬러 문제 중 한 문제만 해설지를 봤습니다. 예를 들면 코돈 몇 문제를 도저히 풀지 못하겠다, 그러면 그 중 한 문제만 해설을 봤습니다. 그러면 제가 놓친 부분 혹은 실수한 부분이 뭔지 알 수 있었고 그걸 알고난 후에는 다른 문제도 유형이 조금 다르더라도 결국 스스로 풀 수 있었습니다.
4. 기출문제는 얼마나?
저는 수능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에 기출을 최소한 5번은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 경우에는 첫번째는 1) 방식으로 그 다음엔 2)와 3) 방식으로 봤습니다. 문제집을 사용할 때는 한번 푼 이후에 그 문제집에서 틀린문제&헷갈린문제만 다시 한번 봤습니다.
5. P.S
기출 공부법이 다 끝나서 모든 기출문제를 완벽히 이해했다면, 다 끝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2 문제 수준은 해가 갈수록 높아집니다. 어떤 해에는 6,9는 이례적으로 난도가 하락했지만 평가원은 수능날 이런 우리를 제대로 뒤통수를 쳤습니다...
그래서 기출 공부가 끝나면 사설 N제를 풀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다음에 작성하겠습니다!
과외 관련 공지
안녕하세요?
2019년부터 생2/수학/지1/국어 과목에서 6년 이상 과외를 진행해왔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프로필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tutor.orbi.kr/teacher/58917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조는 이재명, 2조는 한동훈"…계엄날 '체포조' 구체적 증언 45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를 입증할 증언들은 계속해서 쌓이고 있습니다....
-
24수능의 충격이 넘 크다
-
반수 고민 8
안녕하세요 국숭세단라인 현역 학종으로 들어왔습니다 처음에는 너무 좋았는데 다니다...
-
제일 ㅈ될 각이 보이는 시험에서 멘탈 추스리며 최선의 결과를 내는법을 연습하는...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0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평백 99는 돼야..?
-
이거 왤캐 어려워요 30분넘게 걸렸네 24수능 22번 현장때 만난거같은 ptsd옴
-
12시간 기준 화작 미적 사문 생윤 하신다면 시간 분배 어떻게 하실 건가요?
-
힘들어 2
-
다 내가 부족해서 그래
-
내가 왔다 0
피곤하구만
-
왜사냐 걍 죽어
-
먼저 공부 끝난 열품타메이트 깨우기 누름
-
쌤이확통을유기하고강의를밀려도쌤편이에요
-
볼수있는만큼 보다가 들어가야지...
-
97 96 1 100 99 어디까지되나요
-
맞팔해유 2
옯비도 옯스타도
-
학 씨
-
코바야시네 4
도전 ㄱㄱ?
-
써야하는데 귀찮다
-
문디컬 열리고 사탐런 많아지면서 서울대 입결 떨어질까요? 올라갈까요? 설대 경영/...
-
투표 부탁 1
티켓팅 할 건데 세 번호 중 어느 쪽을 사람들이 많이 클릭할지 궁금해서
-
[칼럼] 비문학 지문의 정보량이 많을 때 해야 할 행동. 10
최근 3모 이후 모두가 어려워하는 지점에서 질문이 많이 들어왔습니다. (시간이...
-
꽤 있나 근데 그정도 성적대면 원래는 메디컬 가고 싶어했을 거 같아서 괜한 도박은...
-
닉변 10일 남았다 13
지긋지긋하다 다시는 안바꿔
-
아니 옯스타 5
걍 예쁜눈나들 공유하는 계정 되버렷네…
-
모고 풀때마다 문학은 두세개 정도 틀리는데, 비문학에서 7,8개를 틀려버리네....
-
솔직히 관심 받는거 같아서 기분 좋음
-
우걱우걱
-
ㄷㄷ하네
-
미적선택자에요 지금 수1수2 김기현t 아이디어를 가까스로 완강했고 강기원쌤 올해...
-
결별 위기에 나를 떠날 것 같은 사람의 마음을 돌려준 김종길의 문 지금도 그 편지...
-
화1 기초특강부터 들을껀데 정우주vs김준 누가 더 스피드 하나요? 0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
모르는 아저씨헌테서 스피커 파시는거 아니너고 전화옴 2
사기꾼새끼 싸질러논 떵 진짜 ㅋㅋ
-
대머리
-
팔찌나 목걸이 액세사리류는 안하니 사진에서 제외하고 상의 하의 신발만 볼때...
-
요즘 기준
-
전위차가 생겨버렷♡
-
수학 안정 1들은 수학 기출 킬러는 걍 눈감고도 푸나 2
기출 킬러 다 한번씩 풀긴 했지만 다시 보면 못푸는 경우도 있는데도 걍 무시까고...
-
저녁 11
쩝쩝
-
컷이 너무 높아..
-
지구과학 수능특강입니다 이런 구조 차이가 왜 생기나요? 둘 다 저기압인데
-
N제에서 공도만 왜캐 어려움 공부 어떻게 해야하나요 2
공도는 어떻게 공부해야 되죠 ㅜㅠ 기하 잘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
대 윤 카
-
나는 빡대가리다 3
시 짧은거(100자 내외) 외우는데 1시간 걸림
-
왜 다 맞음?
-
2시간 뒤에 0
들어오겠읍니다 그동안 영어 시험범위를 끝내고 오겟어요
-
이온 수 비율
생2 칼럼이
와 감사합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