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N제 활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63112
안녕하세요 :)
오늘 다뤄볼 주제는 N제입니다.
N제를 어떻게 활용할까요?
그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기출은 무조건 N제보다 낫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기출은 '무조건' N제보다 낫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출제진이 만든 N제라도,
평가원 기출문제보다 중요하진 않습니다.
왜냐고요?
수능은 평가원이 내니까요.
평가원의 의도는 평가원밖에 모릅니다.
그래서 평가원이 낸 기출이 우선입니다.
1. 누가 N제를 풀어야 하는가?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3등급 이하는 N제 안 푸는 게 좋습니다.
(현역은 3모, N수는 더프 기준)
대부분의 N제들은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기본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어려운 문제만 풀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어요.
3등급 이하는 쉬운 문제가 더 도움이 됩니다.
시중에 파는 쎈 같은 문제집도 훌륭한 대안입니다.
상위권 학생들은 기출을 너무 많이 보다 보면
나도 모르게 기억에 의존해서 손이 반응하게 되는데요,
이러면 시험장에서 문제를 처음 봤을 때 당황할 수 있겠죠.
그래서 '처음 보는 문제 대처법'을 훈련하기 위해
N제를 활용하면 됩니다.
2. N제 활용법 - 문제 풀 때
앞서 말씀드렸듯,
N제는 '낯선 문제 대처법'을 연습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문제를 처음 봤을 때,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어디서 막혔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풀이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세요.
그래야 피드백을 할 수가 있습니다.
더불어,
문제를 풀었을 때 든 생각도 정리하세요.
'대충 접하지 않을까?'
'이건 로피탈 각인데?'
같은 생각도 적어두세요.
3. N제 활용법 - 채점할 때
채점은 N제 활용의 핵심입니다.
빠른 정답 보고 답만 체크하지 마세요.
해설지와 나의 사고과정의 차이를 비교하세요.
감으로 대충 때려맞힌 문제라도,
정확한 풀이를 위해 해설지를 꼭 참고하세요.
아까 말했던 '풀이를 정리해라'는 말은
바로 이 피드백을 위함입니다.
문제만 풀고 피드백이 없으면
절대로 실력이 늘지 않거든요.
더불어서, 맞힌 문제라도,
너무 쉬운 문제가 아니면
해설지나 해설강의를 보는 게 좋습니다.
4. N제 선택법
앞서 말씀드렸듯,
N제는 해설을 보고 내 풀이와 비교했을 때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그래서 해설이 자세한 N제가 좋습니다.
누가 봐도 읽기 쉽도록,
풀이과정이 꼼꼼하게 해설된 N제를 추천합니다.
해설지 말고 해설강의가 있는 N제도 좋죠.
인강 강사 분들이 만든 N제는,
대부분 강사분들이 직접 풀어주시니까요.
5. 평가원 스타일이 아닌데요?
평가원스러운 건 평가원밖에 모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느끼는 '평가원스러움'은 다 다릅니다.
문제가 평가원스럽지 않다고 느껴지시나요?
그 문제가 수능에 안 나온다고 100% 확신할 수 있나요?
저는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으로, 당장 6월 모의고사에
삼각함수 도형 극한 안나온다고 100% 확신할 수 있을까요?
물론 확률은 낮겠죠. 하지만 0%는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그래서 제가 하고 싶은 말은,
평가원스럽지 않다고 문제 거르면 안 된다는 겁니다.
여기서 좋은 방법 하나를 소개하자면,
'어? 이거 평가원 스타일 아닌데?' 라는 생각이 들면,
평가원과 그 문제의 차이점이 뭔지도 생각해보세요.
간단히 예를 들자면,
- 원 위의 점을 좌표로 처리하는 게 평가원스럽지 않음
- 평가원에서 허용하지 않는 꼼수를 쓸 수 있음
같은 것들이 있겠네요. (단순 예시입니다)
이제 N제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감이 좀 오셨나요?
기출을 중심에 두고, 필요한 때에 N제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공부가 훨씬 더 효율적으로 바뀔 겁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릴게요!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댓글 부탁드립니다 :)
수학 칼럼)
실수를 줄이는 현실적 방법 https://orbi.kr/00072183669
모의고사 당일에 '무조건' 복기하세요 https://orbi.kr/00072575369
계산실수가 많다면 버려야 할 습관 https://orbi.kr/00072173494
진도가 늦어서 불안할 때 https://orbi.kr/00072313784
체계적으로 문제 읽기 1 https://orbi.kr/00072237485
체계적으로 문제 읽기 2 https://orbi.kr/00072300008
극한상쇄 (231114) https://orbi.kr/00072371992
부정적분은 적분이 아니다 https://orbi.kr/00072697375
3모 공통 총평 + 14, 15 해설 https://orbi.kr/00072624661
0 XDK (+51,000)
-
50,000
-
500
-
500
-
국어 1컷 70점대 어렵게 좀 내라
-
2409 신분제가 진짜 큰 터닝포인트였음 사실 그때까지만 해도 확신은 못했지만 그때...
-
정의는 어떻게 공정해지는가 – 롤스의 정의론과 자유주의의 재구성 “정의란...
-
김종익 쌤 듣고 있긴한데 책이 가독성이 좀 떨어져서 그런데 독학서 좋은 거 잇나요...
-
가형만점 제외하고 24 5모 미적이 역대급인거같은데 현역땐 노베여서 체감이 안됐는데...
-
안하나
-
낼 시험인데 4
걍 오늘 맥주마셔야지
-
캬캬캬
-
사탐런 문디컬 실패시 13
이과에서 사탐런을 하여 문디컬 목표로 공부하였는데 한의대 점수가 안 나오면 어디를 주로 가나요?
-
수학 수특 0
보통 언제 푸시나요?
-
난 마치 상암에서 끄리스티아노를 외치던 호기견 이번 사건 전까지는 무지성 지지했고....
-
키가 작은 게 문제일까 왜 여자처럼 생겼다는 거지 머리도 깎았는데 대체 뭐가 문제일까
-
너 오늘 많이 봤다 16
체육 시간에 옆에 체력 측정하는 날이었는데 왕복 달리기 뛰는 거 본 거 한 번 점심...
-
펌 약 때문에 두피에 병신 같은게 나버렸는데 이거 어케 없에요
-
5개월만에 수학모고 봣는데 점수 작년실모점수랑 비슷한데 국어는 떨어졋으려나…. 더프 쫄려요
-
아 나의 취미를 알아채다니
-
논리적 반박은 못 하고, 인해전술로 신고 테러해서 입 틀어막기 ㅋㅋ 중화사상 =...
-
ㅈㄴ 먹고싶다
-
독해력이 부족해 고1,2지문 풀고 3모 5를 받았는데요 혹시 이원준 선생님 독서...
-
할거면 뭐든지 진짜 확실히 해야하는듯 뭐든 애매하면 밥도 죽도 없어
-
그러니까 0
통통이긴 하지만, 28예시의 확통을 보니 등골이 서늘해졌어요…. ㄷㄷ 그러니까 아직...
-
문제도 제대로 안 풀리고 시간 잰 거도 날아감.. ㅅㅂ 2회차 풀어야지
-
국어 공부 0
지금주터 수특 교과서 외우듯이 해도 될까요 ㅜㅜ 3모 3나오고 수특을 거의 안했어요...
-
강기원 수강 2
반수하면서 짬짬이 할라는데 지금부터 봐도 괜찮나요 작수 기가하 99였는데 미적으로 바꿀 것 같아요
-
대학 다시 가볼려고하는데 뭐 해야할까요? 전에는 생지하긴했는데 4등급이였어서 별로...
-
문창과 형님한테 조언받고 시에 서사를 넣어봤습니다 24
아직 조악하지만 더 발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뜻깊은 조언
-
[칼럼]2028학년도 수능 통합사회 예시문항 분석 및 해설 1
안녕하세요. 카이스프랙틱 사회탐구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8학년도 수능...
-
주석 그만 보고싶어요
-
근데 국어강사 교재들은 14
하나같이 다 부실함 개념설명 이런 부분이 없고 지문,문제 그리고 그 지문 분석과...
-
최근 명지대 문예창작과 시험을 봤다. 결과는 합격이었다. 기대를 하지 않았던 만큼...
-
난 도저히 불가능인ㅣ
-
빨리 답을 추측할수는있지만 그게 정답이라는 보장을 찾기가 수능보다는 좀 더 어려운...
-
담배 1보루 넘 비싸다 22
담배도 유통기한이 있구나 2025년 10월까지라니
-
한낱 상반어와 반의어로 점철된 문장이 아니라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거시다...
-
마주나기로 자란 잎이었다나는 그것에 행복을 달아주고꼭 리본모양으로 깃들도록...
-
쌍윤러인데 24수능 이후로 인문에서는 철학을 피해서 내는 것 같고, 법 지문에서도...
-
(1) 모든 과정에 대한 앎 (2) 시작과 끝, 전제와 결론에 한한 앎 (3)...
-
내신문젠데
-
과민성대장증후군같은데 지사제 뭐가 좋은지 모르겠음 예상질문: 자힐하면 안됨? 답변: 무면허임
-
제가 직장 다니면서 수능 준비 중인데 계약 문제 때문에 올해 수능은 못보고 내년...
-
사문 19강× 18강 절반
-
올해 드디어 가나형 인문,철학,예술 아니고 딴거에서 나오나?
-
https://naver.me/GV2aa8N8 아 근데 27년은 모르긴해 ㅋㅋ
-
고려대학교 수학과 (당해 가형 100점, 수리논술 최초합) 고려대, 서강대 등...
-
14-17 정보보안 지문 25leet 트랜잭션 출제진이 낸 것으로 의심됨
-
작수같이 쉽게나오면 모르겠는데 평상시에 30분은 넘는듯함
-
남자라면 무조건 공감하는일상에서 한번쯤 겪는 통증 ㄷㄷ 남자라면 무조건 공감하는...
-
김치 먹고 싶은데 묵은지돼지고기찌개, 묵은지꽁치찜, 묵은지곱도리탕 이런 건 안 땡김...
-
초딩때부터 매년 영어 교과서마다 Earth Hour 있어서 해야지만 하고 계속...
추천누르고읽기ON

오옹 좋은데요기출도 N제 보듯이 사고과정 정리하면서 보면 되는건가요?
네 그쵸! 기출은 사고과정 정리가 더더욱 중요해요
N제에서 약점파트만 뽑아서 푸는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Ex) 수2 적분 파트가 약하면 약점이 보완될때까지 4규,이해원,드릴 등 n제들 적분파트만 추출해서 풀고 나머지는 버리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목표시간 내에 맞출 수 있던 문제를 푸는 행위는 시간낭비라고 봐서
약점만 모아서 공부한 뒤에 실모로 풀이 최적화 연습을 하려는데
이 공부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
여기서 조심하셔야 할 점이 '진짜 약점'을 파악하는 거에요.
어떤 학생은 과거에 삼도극 문제를 계속 틀렸는데, '계산실수를 해서 그래요'라는 이유로 연습을 안 하더라고요.
이런 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통계화가 필요합니다.
어떤 문제를 많이 틀리는지 감이 아닌 숫자로 파악하는 거죠.
3등급 x -> 2컷까지는 애초에 N제 풀 이유도 실력도 전혀 아니라 생각함 걍 미적확통 안가리고 원점수로 84점 이상은 되야 도움받으려고 푸는거지
통통인데 작수2 3모 1인데 n제 뭘로 시작하면 좋을까요?
책 이름 언급하는 건 좀 조심스럽네요... ㅎㅎ
0 에서 눈물을 흘리며 개추
제발 기출 먼저 잘 풀고..
???: 쉽게 알 수 있다.
기출 수분감 전부 풀고 틀린거 맞출때까지 일주일정도 텀 두고 계속 반복한다음 입문 n제 돌리는데 너무 안 풀리네요 ㅠㅠ 기출 회독 다시 들어가야하나요? 재수생이고 더프는 2나왔는데 3모 3등급 초반 나왔어요
기출이 약한 상태면 기출 먼저 확실히 잡아야 합니다.
기출이든 사설이는 닥치고 많이 풀면 몇등급이건 자연스럽게 오른다는 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여
오르긴 올라요.
대신 기출 없이 사설 많이 풀면, 성적 오르는 속도가 많이 더딥니다.
훌륭해요
준킬 2~3개 나가리면 뭘 해야될까요....
킬러는 당연히 못풂ㅎㅎ
계산이 부족한지 발상이 부족한지 아직 개념을 완벽히 익히지 못한건지 객관적으로 파악해야 해요
이번 3모 높2 뜬 현역인데 이해원 n제 시즌1 봐도 괜찮을까요?? 기출 위주에다가 n제 몇문제 추가로 풀어보고 싶어서요! 그리고 안풀리는 문제는 얼마나 잡다가 해설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