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122, 251122, 251130 기억하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27808
제가 문제를 제작하면서 해이해질 때마다,
위의 3문제를 머릿속에 떠올립니다.
뭐 당연한 얘기겠지만, 장사꾼의 입장에서는 고객을 무조건 기분 좋게 하는게 유리합니다.
하지만 평가원은 장사꾼이 아니죠. 누구한테 좋은 평가를 듣는 것이 목표도 아니고요.
워낙 요새는 콘텐츠가 많이 나오다보니,
여러 콘텐츠 중 어느 것을 선택하면 좋을지 고민할 수 있고,
이 기준은 대다수의 경우에, 본인의 기분을 좋게 하는지 아닌 지가 되어가는 듯 합니다.
최근 실험적이고 어려운 N제보다는 무난하고 쉬운 N제가 선호되는 경향도 이에 무관하지는 않은 듯 합니다.
하지만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모든 시험은 전례가 없기에 어려운 것입니다.
남들보다 앞서 가려면, 지금까지 없었던 미지의 무언가에 대비하셔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앞에서 언급한 3문제는 제게 큰 교훈을 줬습니다.
241122는, 킬러문항 배제 원칙을 천명한 해의 수능 문제입니다.
역대 어느 공통 문항도 저 문항을 난이도 면에서 뛰어넘지 못합니다.(개인차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역대 최고난도의 수2 문항이 킬러 배제하겠다는 해에 출제되었습니다.
만약 저 문항이 사설 콘텐츠에 출제되었다면, 너무 난이도가 높아서 욕먹었을 것이 분명합니다.
물론 무작정 어려운 것이 좋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문제의 정교함도 제게 큰 교훈이 되기도 했지만,
기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무난한 콘텐츠를 자제하자는 교훈이 더 컸던 것 같네요.
251122는, 풀면서 기분이 분명 좋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이런 문제도 수능에 나옵니다.
실수 하나로 점수 차이를 내겠다, 꼼꼼함도 덕목이다...
이런 부분도 충분히 대비하셔야 하고, 저도 그에 따라 문제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251130은 발문이며 내용이며
솔직히 이전 평가원 미적분 문항들과 괴리가 있는 편이죠.
특히 sinx=x의 해가 0뿐임을 사용하는 것이 새로우면서도..
초월함수와 다항함수의 방정식이라서 저는 신기해했습니다.
살짝 e^x+x-1=0의 해가 0인 것을 바로 쓴 느낌?
참고로 초월함수와 다항함수의 방정식이 평가원에 안 나온 것은 아닙니다.
20230929인데, 다만 여기서는 그래프를 줌으로써 e^x+x-1=0의 해가 0임을 주었습니다.
종종 학생들이 '이런 것은 평가원에 나오지 않아!' 라고 합니다.
하지만 평가원의 속은 아무도 모릅니다.
변별을 위해서는 새로움이 필요하며, 새로움은 곧 전례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항상 이를 염두해두며, 저도 새롭고 교육적인 문제를 제작하려 하는 것 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
특목,자사위주의 학종이아니라요
-
행복한 모험 여러 가지 맛이 다른 피자를 먹었다 그게 내 모험의 이유였다 갇혀있는...
-
공부하는데 2
콧물이 계속 흐르는데 어떡함 휴지로 막아놔도 계속 흘러서 다 젖다가 결국 다 씀...
-
미적 내신 범위가 기출문제+수특이라 수특 3일 전에 다 풀고 중간 100점...
-
과탐 추천… 8
과탐 중에 기초 수준에서 시작해서 2등급 맞기 제일 쉬운 과목이 뭘까요..? 킬러...
-
물 끓여놓고 똥싸러 왔어야 했는데
-
하하 4
..
-
수식 입력 없이 13
벡터표현을 어떻게 쓰면 좋을까 ->a=(1,1)?
-
엄청 막 고마운거 티내고 싶은데 능력이 딸려서 티 못 내겟음 최대한으로 하긴 하는데...
-
안보고 0점 처리하면 안되나
-
벌점 0점 ㅎ
-
흠.. 3
흠..
-
걍 뭔가 긍정에너지 받는 기분이라 가르치는것도 잘가르치지만 기분까지 좋아지는듯ㅎㅎ
-
야한말만 안쓰면 되는건가..?
-
근데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좋아함
-
부활 0
국정원 지하에 살아있습니다 연락주세요
-
흐으ㅡ므믐
-
취미라서 쩔수없음
-
아공부하기싫다 3
-
언슬전 보니 8
왜 다들 그렇게 의사가 되고 싶어하는지 조금 알 거같네요 돈 말고도
-
진짜 얼어죽겠네 6
그만지연좀
-
실모 복귀 전 제가 2년전에 만들었던 문제 올려봅니다. 2년 전에 만든 문제여서...
-
히히똥 4
아 진짜 똥..하.. 언제 다치움
-
대신 몸무게 알려줌
-
아직 죽음의 윤리도 도착 못함 ㅋㅋㅋ..
-
언주중학교 4
-
밥해먹기귀찮다 17
맥날먹으러가야지
-
ㅈㄱㄴ
-
오르비언들이 개새ㄲ…아니 귀여운 강아지라서 흐흐
-
갑자기 저따구로 내는 심리가 뭐지 학생들 불안감에 벌벌 떨라구?
-
실모를벅벅 8
26수능딱대
-
내꿈은 시인 물지러 히카리 사문생윤 히카리 담뇨단 히카리 쌍사런 abvv n수생....
-
다들 무슨 얘기 하시는지
-
우흥
-
본거또보고는 맞는데 볼때마다 웃김 ㅋㅋ
-
오늘은 기하만 패야겠다 11
흐흐흐ㅡ흐흐흐ㅡ흐흐흐흐 너무 재미있어
-
첫닉 13
뭐게
-
전 한시간 강의 들으면 처음엔 2시간 걸리는듯 근데 정리를 잘해놔서 n회독할때는 얼마 안걸림
-
저는 아직 전 계정의 아이민을 외우고 있답니다... 1
총번도 기억이 안나는데 입대전에 탈퇴한 계정 아이민은 왜 기억하는거지 ㅇㅅㅇ
-
가끔 난 너의 안부를 속으로 묻는다~
-
저격합니다 13
글 안 쓰는 사람들 저격합니다 글 좀 쓰세요
-
5월 전대실모 0
관련 정보가 너무 없네요 ㅠㅠ 전대실모 응시할만한가요? 난이도나 퀄리티는 어떤가요?...
-
국어잘해진거같음 6
5모를 대령하라
-
골든리트리버 4
키워야지
-
갑자기 씹창났는데? 그지같네
-
근데 기하하면 0
물리하는데 도움돼? 벡터 이게 물리에서 배우지않나
개추부터
찡찡대지 않고 문제 거르지 않을게요 대학에서 걸러지니까요
251122는 꼭 기억해야겠어요 ㅠ
스크랩까지
종종 학생들이 '이런 것은 평가원에 나오지 않아!' 라고 합니다.
하지만 평가원의 속은 아무도 모릅니다.
이건 진짜 팩트추입니다
강사들조차 함부로 예단할 수 없는 영역
당연 사설 출제진들 평가원이 각잡고 만들면 절대 못이김
ㅇㄱㄹㅇ 팩트임
하지만 참신한 시도를 하면 수능조차도 평가원스럽지 않다고 까이는게 현실..
하지만 수능 틀리고 수능 욕해봤자 달라지는거 없는데 ㅋㅋ
평가원이 평가원스럽지 않다는 글들을 보고,
어느 의미인지도 이해하고 아예 공감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평가원스럽지 않다의 결론으로 본인이 싫어하는 문제를 거르는 행위를 하는 학생분들이 뭔가.. ㅠ
개인적으로 23년 4월에 시행된 더프 22번같이 오류있는 문제 아니면 거르면 안 된다고 생각함

감사합니다공감이 가네요

센세 반갑습니다저는 251130에서 가형 기출 중에 xlnx=1의 근이 하나인거 이용하는 그 문제가 떠올랐어요
201130(가)네요
저도 그 생각 하긴 했습니다 ㅎㅎ
수학뿐 아니라 전 과목에 적용되는.. 수학은 특히 더 큰거 같네요
진짜 입맛에 맞는 문제만 풀려고 했던 제 자신을 반성하게 되네요....저같은 분들은 다들 한번씩 이 글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잘 썼네요
231122 241122가 제가 느낀 공통 난이도 투 탑
문제거르는놈들특) 수능조지고 평가원이 사설틱했다고함
아속의비아도 아니고
사설틱한 평가원이라니
멋지네요
뜨끔...
수학은 개정이후로 사설퀄리티가 다 상향평준화 되어서 거를만한게 딱히 없는듯..
171130 181130 141129 171129 기억하자
251130 사각형 그림 어디가써요
혹시 미적 n제도 출시 예정이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