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린바다 [622319] · MS 2015 · 쪽지

2015-12-19 17:40:08
조회수 1,522

갈수록 인서울현상이 심각해지는 이유.jpg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92512



인서울으로 인구가 이동하는건 지금도 일어나는 실시간 현상이고


자신의 거주지로 대학을 가려고 하는게 크다보니


점점 지거국과 인서울대학의 격차는 늘어나지 않을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5년 응애 · 453954 · 15/12/19 17:42 · MS 2013

    현역 땐 ㄹㅇ 인서울 아니면 절대 안 가려고 했음

  • 강남대성16학번 · 560071 · 15/12/19 17:45 · MS 2015

    헐 이분 부활하셨네

  • 타피스트 · 562216 · 15/12/19 19: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스카치위스키 · 526597 · 15/12/19 17:46 · MS 2014

    그걸 막기 위해 정부에서 지방할당제, 지방인재 같은 정책을 만들잖아요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7:47 · MS 2015

    네 정부에서 어느정도 지방대에 도움을 주는것도 사실이죠

  • 스카치위스키 · 526597 · 15/12/19 17:52 · MS 2014

    취업이 계속 헬이라면 취업에 유리한 지거국을 선호할 거고, 격차가 커지지는 않을 것 같아요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7:57 · MS 2015

    물론 최근의 일본을 볼때... 취업이 계속 헬인시기가 지속되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만. 일본은 현재 한국보다 빠른시기에 베이비붐이 터졌고, 지금 베이비붐이 은퇴하는 시기라 기업을 골라간다고 해도 좋을정도의 취업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은 곧 베이붐세대가 은퇴할 시기에요. 추가로 물론 중국의 문제 (최근 대표적으로 꼽자면 몰락한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있지만요) 08년도부터 시작된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의 명암이 슬슬 걷어지고 있는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00 · MS 2015

    대표적으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고 있죠. 서서히 경제 회복되고 있습니다.

  • 스카치위스키 · 526597 · 15/12/19 18:06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10 · MS 2015

    네 정부에서도 공기업나누기..대표적으로 철도의 대전이전이나 한전의 전라도로의 이전등등 생각해보니 지방도 어느정도 방어는 되겠네요!!

  • 스카치위스키 · 526597 · 15/12/19 18:02 · MS 2014

    저도 역시 향후 5~10년간 베이비부머의 대량 은퇴로 인해 일자리 공급이 급작스럽게 증가할 거란 예측을 몇몇 교수님들께 들은 적이 있네요
    하지만 과거와 달리 교통이나 통신 발달 등등으로 인해 지방도 상당히 발전했고, 기업들도 대량이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더 벌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03 · MS 2015

    기업의 대량이전이라는 얘기를 들어보니 전라도나 충청지역 대학이 높아지지 않을까 싶네요. 최근 기업의 이전을 살펴보면 중국의 영향인지 서해안으로 상당수가 이동하고있다고 알고는지라.. 충청혹은 호남지역은 괜찮을수도? 인천지방은 수도권이니 제외하고.

  • 아리아리 · 594328 · 15/12/19 18:09 · MS 2015

    이것들은 뭔소리일까...

  • 중대반수중 · 540565 · 15/12/19 17:48 · MS 2014

    하지만 서울 총인구수는 줄어든다는 현실 ㅋㅋ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7:49 · MS 2015

    저표에 부산인구가 심각하게 많이줄규 경남인구가 소폭 늘어나는것도 비슷한 경위일거에요. 배드타운이라고들 하죠

  • 중대반수중 · 540565 · 15/12/19 17:51 · MS 2014

    혹시 한지러??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7:52 · MS 2015

    아뇨 이과인데.. 그냥 사회나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 중대반수중 · 540565 · 15/12/19 17:53 · MS 2014

    ㅋㅋㅋ 난 또 한지러나 도시계획쪽 대학 다니는줄 대학 다닐때 저런거 공부해서 인구 공동화 현상

  • 안암동호랭이되고싶다 · 544794 · 15/12/19 17:56 · MS 2014

    저 한지러! ㅋㅋ

  • 소강상태 · 603808 · 15/12/19 17:57 · MS 2015

    8년치 평균이라 그렇지, 아마 최근 3-4개년으로 놓고 본다면 경남 충남 인구증가율 더 높지 않을까 싶어요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7:58 · MS 2015

    네 세종시가 있는데다 최근 양산과 김해가 큰 발전을 하고 있으니깐요. 맞는 말이에요

  • 소강상태 · 603808 · 15/12/19 18:02 · MS 2015

    세종시는 충남하고는 별개에요,

    지거국과 인서울의 격차가 그리 커질것 같진 않은 이유도 충남 인구증가 폭과 관련이 있는것 같아요

    제가 알고 있는 바가 맞다면 당진-수도권 직계다리가 건설되면서 접근성 용이해지면서 충남지역에 공장들이 남하하는중이라고 하네요. 국가차원에서도 원하는 바 이기도 하구요.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05 · MS 2015

    아하ㅡ. 그렇군요. 충남지역이 서울과의 교통을 상당히 괜찮다고는 저도 여러번 들었습니다.

  • 國泰航空 · 588966 · 15/12/19 17:58 · MS 2015

    근데 경기도 인구가 1200만명ㅋㅋㅋ

  • rheorkwhgdk · 617217 · 15/12/19 18:12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한 일자리 증가는 공무원 자리나 공기업에도 해당되나요? 저도 우리나라가 일본의 역사를 따라가고 있으며 점점 취업난이 해소되고 대기업 입사가 훨씬 쉬워질 거라는 얘기를 들어서요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14 · MS 2015

    당연한 얘기입니다. 공기업 대기업 대부분 쉬워질거에요.

  • rheorkwhgdk · 617217 · 15/12/19 18:15

    그렇군요... 혹시 일본의 근현대 발전과정 및 역사에 대해 알 수 있는 책이 있을까요? 있다면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18 · MS 2015

    죄송합니다. 저는 주로 다큐멘터리나 위키등으로 공부해서 책은 추천을 못드리겠네요.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27 · MS 2015

    그리고 개인적으러 책은 한쪽시각을 강요당하는게 있는지라.. 여러면을 보고싶으면 인터넷을 이용해 능동적으로 공부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책한테 깊이가 밀린다는것도 옛말이라고 봐요.

  • rheorkwhgdk · 617217 · 15/12/19 18:28

    그렇군요...그럼 다큐멘터리 추천좀 해주세요! 저도 갑자기 궁금점이 많이생겨서 ㅠㅠ

  • 흐린바다 · 622319 · 15/12/19 18:33 · MS 2015

    저는 Ebs 주로봤어요. 가서 일본관련 검색해보시면 많이 나올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