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79614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은 집에서 쉴게요 가고 싶었는데...
-
학교 안 간다 8
야호
-
얼버기 8
-
ㅇㅂㄱ 8
-
지각이야 지각~ 4
-
일단 소울나이츠 깜
-
나만 강의가 한두개 뜨는거임? 교재 사야 강의가 다 뜨는건가요? 왜 강의가 전부...
-
음냐링 3
30분만 더 잠
-
어 2
36분이라니 지고쿠 지고쿠
-
방구방구뿡뿡뿡 10
방귀쟁이뿡뿡뿡우하하
-
젭알
-
ㅇㅈ 17
똑같은위치에서 봇치따라하기
-
최근 수능국어 시험들 난이도 나열해보면 21 - 적절함 22 - 씨발 23 -...
-
빨리 돈 벌고 싶어요 11
개강 이래 한 달 동안 식비로 40, 기숙사 들어온 첫 달이라 세제 밀대 행거 샴푸...
-
슬슬 잘까 7
10시 11시에는 일어나야겠는데
긴게필요한사람도잇음
누군진모르겟는데아무튼잇다고생각함
논리만 딱 깔끔하고 정확하게
납득이 된다면 당연히 짧은게
너무 길면 잘 안읽게 되고
실전에 적용하기도 짧은 해설이 편한듯요
수험생 입장에서 봤을때
국어 기준 해설은 짧고 논리적이며 일반화 가능해야함
국어만 봤을 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결한 풀이와 분석용으로 끝까지 씹고 이해할 수 있는 긴 풀이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너무 간결하면 사고 흐름을 놓칠 수 있긴 하죠
전 수학에서 그런 경우 가끔 있었습니다
기출 분석용으로는 긴게 나은거같은데
상위권으로 갈수록 부연설명이 필요없어지는데
반대로 독해력이 부족한 하위권일수록 긴 해설이 필요할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