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유도는 이거면 충분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378826
이 글은 수능 물2 전자기유도에 대한 글입니다.
수능을 위해 알아야하는 모든 걸 적어야겠다는 마음으로 썼습니다.
하지만 진짜 기초적인 부분은 생략했기 때문에, 기본 베이스는 있는 분이 읽으면 되겠습니다.
물1 하시는 분도 보셔도 됩니다. 왜냐면 물2에만 나오던 게 갑자기 물1에 신유형으로 등장하기도 하거든요.
제가 물2러를 위해 시험 기간에 열심히 쓴 글이니..
물2러 아니어도 좋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 계절학기 시험 일주일 전이에요)
그럼 개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자기장의 개념부터 갈건데요, 그 전에 잠시
유튜브 "허영지의 삐-하인드"의 한 장면을 보시겠습니다.
넵 여기까지입니다.
미주님과 허영지 님을 비판하려는 의도로 가져온 게 절대 아님을 밝힙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두 분 팬이라 그럴리도 없구요. (따라서 두 분을 향한 악플도 자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주님과 허영지 님의 대화에서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셨나요?
두 분은 농도 개념에 대해 잘못 접근하셨습니다.
7% 소금물 한 잔에 7% 소금물 한 잔을 섞으면
14% 소금물이 되는게 아니라
그냥 양이 좀 많아진 7% 소금물이 되는거죠.
컵에 담긴 소금의 양은 많아졌겠지만, 농도는 그대로일겁니다.
자기장의 세기는 농도고,
자기력선은 소금입니다.
사실 농도보단 밀도가 더 좋은 비유인데요,
저기 화살표 한 개가 자기력선 한 개라 보시면 되구요,
자기력선이 빽빽한 정도를 자기장의 세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림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커지는 겁니다.
교과서에서는 자기장의 세기를
자기력선의 밀도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제 다음 개념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조금 더 디테일하게 정의내려봅시다.
자기선속
:어떤 면을 지나가는 자기력선의 총 개수 (미래앤 교과서)
일단 위 정의에서 이런 느낌이 들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비록 교과서에서 이렇게 설명하긴하나,
이건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의 세기가 3이고 면적이 5인 경우에 자기선속은 15일까요?
그럴 수도 있지만, 아닐수도 있습니다.
자기장의 세기B와 면적 S을 그대로 곱하는게 아니구요,
서로 수직인 부분을 봐야 합니다.
자기장과 수직인 면적을 봐야한다는 소리입니다.
아래 그림을 볼게요.
여기선 자기장 방향과 면적이 수직이 아닙니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자기장과 수직인 면적만 봐줘야 합니다.
마치 그림자를 보는 것처럼 말이죠.
이 공식에서 S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파란색 면적이 아닌 보라색 면적입니다.
파란색 면적에 cos 세타를 곱해주면 되겠네요.
물2 기출에서 이 부분을 정량적으로 건든 적은 없지만, 정성적으로 낸 적은 있습니다.
아주 멋드러진 문제 하나를 보여드리겠습니다.
ㄱㄴㄷ 판단 하진 말고, 그냥 상황 이해만 하고 아래로 내려보세요.
답은 4번입니다.
ㄱ도 아마 처음봤다면 헷갈리실 겁니다.
하지만 핵심은 ㄷ이라 전 ㄷ에 집중해볼게요.
언뜻봐서는 ㄷ이 틀린 말 같아보입니다. 도선이 돌아가고 있는데 어떻게 전류가 0이겠어요.
하지만 ㄷ은 맞는 말입니다. (!)
개념에 되새기며 이 상황을 다시 바라봅시다.
T/8이면 대충 이런 상황입니다.
우리는 자기장과 수직인 면적만 봐야 하므로,
이 빨간색 영역의 변화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때 재밌는 점은, 만약 보라색으로 표시한 도선이 더 돌아가더라도
(약간 더 돌린거 맞습니다)
빨간색 면적은 여전히 그대로라는 점입니다.
이 순간까지 면적이 똑같이 있겠네요. 따라서 계속 유도전류는 0이다가 이때 이후로 흐르기 시작할겁니다.
개념을 제대로 물어본 재밌는 문제였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전자기유도 문제는 처음부터 자기장과 면적을 수직으로 줍니다.
하지만 가끔씩 이렇게 허를 찌르기 때문에 소개해드렸습니다.
이제 다시 개념 설명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
아래는 유도기전력 공식입니다.
이 파트에서 대부분은 감은 수 N=1이니까 잠시 치워두고, 부호도 치우겠습니다.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시간당 자기선속 변화량에 비례합니다.
한편,
에서
입니다.
자기장의 세기와 면적이 동시에 변하는 경우는 절대 출제하지 않습니다.
고교 수준에서 그걸 해결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계산 방법은 두 개입니다.
1. 면적은 그대로인데 자기장 세기가 변하는 경우
2. 자기장 세기는 그대로인데 면적이 변하는 경우
유형 1부터 보겠습니다.
기출문제로 보여드릴건데요, 풀이를 보여드리는게 아니라 대충 생김새로 느낌을 잡아보고 분류를 해보는 겁니다.
물2는 어떨 때 무슨 계산을 해야 하나가 바로바로 튀어나와야 하거든요.
1. 면적은 그대로인데 자기장 세기가 변하는 경우
유형 1은 시간에 따른 자기장 세기 그래프를 이용합니다.
시간당 자기장 세기 변화량에다가 고정된 면적을 곱해주면 됩니다.
간단하죠.
그래프의 기울기를 보면 됩니다.
아.. 이제 간단하지 않습니다.
ㄱ 보시면 자기선속의 크기를 물어봤죠. 처음 시작 때 말했듯이 자기장 세기와 헷갈리면 안 됩니다.
이 문제처럼 자기장영역을 여러개로 나눠서 내기도 하구요,
자기장 세기 그래프를 복잡하게 주기도 합니다.
심지어 여기서는 자기장 방향도 안 줬으니까 추론도 해야 하네요.
하지만 절대 어려운 건 아닙니다.
내용과 푸는 방법은 분명 누구나 다 아는데, 문제 비주얼에 압도돼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겁니다.
2. 자기장 세기는 그대로인데 면적이 변하는 경우
자기장 영역의 세기가 변하지는 않지만, 금속고리가 영역에 들어가있는 면적이 변할 겁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V=Blv 공식도 이때 쓰면 됩니다.
이 문제처럼 도선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삼각형인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달라지는 건 없어요. 유도기전력은 "그 순간의" Blv로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t=T일 때 유도기전력 크기 계산시 l에 넣어야 하는 값은
d겠네요.
유형2에서도 자기장 영역이 여러 개일 수 있습니다.
ㄷ처럼 자기선속 크기 물어보면 자기장 세기에 면적을 각각 곱해서 더해줘야겠죠. 부호도 잊지 말아야 하구요.
다 절댓값 붙여서 크기로 더해버리면 안됩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두 유형의 계산 방식이 적절히 섞여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이 문제처럼, 어쩔 때는 면적만 변하다가 나중에는 자기장 세기만 변하는 경우입니다.
절대로 둘이 동시에 변하진 않아요.
이 사실을 역이용하여 문제를 풀면 되겠습니다.
아직 유형 2 안 끝났습니다. 하나가 더 남았죠.
바로 금속고리 회전입니다.
여기서 쓰는 공식은 입니다.
자기장 세기인 B가 변하지 않는 부분이구요,
면적이 변하는 중인데 시간당 면적 변화량이
입니다.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다들 부채꼴 넓이 구할 줄 아실 겁니다.
이중에서 두 번째 계산방식을 이용할 건데요,
세타 자리에 각속도w가 들어가는 겁니다.
각속도는 단위 시간당 각이 얼마나 돌아가냐에 대한 정보잖아요?
때문에 세타 자리에 각속도를 넣어준다면
단위 시간 당 얼만큼의 넓이가 더 생기냐가 되겠죠.
즉 시간당 면적 변화량이 되는 겁니다.
요즘은 영역/고리 적어도 둘 중 하나는 모양이 절대 착하게 나오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들 쭉 볼게요
기억할 점은, 어차피 우리가 쓸 수 있는 공식은 하나뿐이라는 겁니다.
아무리 모양이 복잡하게 생겼어도 할 수 있는 짓이 하나밖에 없어요.
그게 여러분에게 자신감을 줘야 합니다.
그럼 지금까지 배운 계산 방법을 도식화해봅시다.
이렇게 보니 간단하죠.
그나저나 지금까진 빌드업이었고 이제서야 제대로 시작인데 벌써 글이 길어졌네요.
다음 편으로 넘겨야 할 것 같습니다.
꼭 알려드리고 싶은 저만의 팁들이 많습니다.
팔로우하고 기다려주시면 제가 머지않은 시점에 다시 글 들고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민
0 XDK (+10,000)
-
10,000
-
한화 이글스는 2
왜 인기가 많아요?
-
조정식 voca랑 vocabulary랑 책 다르던데 차이 있음? +어플은 뭐임
-
감이 안잡힌다 요즘 수학 내신 교재 뭐씀? 본인은 정석 쎈 했었는데...
-
저녁은 치킨 시켜먹을까 10
맛있는 치킨추천좀
-
과학기술 지문은 진짜 어마어마하다... 풀다가 토할뻔
-
삼수기록 6일차 0
국어 기출 2016수능 항부력 리트300제 2022 4-6 수학 수1 4의규칙 수열...
-
나도 살짝 맘속으로 안 되었으면 하긴 한다만 (솔직히 주변사람들 때문에) 지금 안...
-
참지못함
-
못참잖아
-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04월01일 발표) 0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 네이버블로그
-
님들 내일뭐할거임? 12
1윤씨 관심없고 공부하기 2.하루종일 뉴스보기,정치커뮤보기
-
반수의 아이러니 4
6월부터 달려서 될 지능이 작년 1년 달려서 왜 안되는
-
의대,약대,서울대 선배들이 직접 본인의 경험담을 공유해주는 무료 세미나가 있어...
-
심각함 곧 죽으려고 그러나
-
혹시 시대 수학컨(브릿지,엑셀) 사실 분 계신가요? 3
* 2026 브릿지 4회(판완) * 2026 브릿지 전국 4회(판완) * 2026...
-
"강철용기"
-
반수러라 시간도 없고해서 컴팩트한 전형태t 풀커리 타려는데 들어보신분들 어땠나요? 좋나요?
-
조한창 김복형 정형식 김형두가 기각해서 그냥 기각될듯
-
산에 있어서 ㅅㅂ 다리아파
-
의외로 국어와 비슷한 점이 있다 다만 국어에서 독해하다보면 눈에 들어오는...
-
인용이냐 기각이냐 각하냐
-
07현역정시 설대 심심한 캬
-
설대 말고는 인설공 거의 다 미적기하 가산도 없는 걸 방금 전에 알게 됬는데,...
-
제가 9월에 자퇴해서 2차 검고만 볼 수 있어서 학원, 학교 응시 다...
-
얼버기 10
사실 구라고 학원알바가는중 오늘 하루 힘내봅시다
-
전교과기준 내신 3.8(2학년 2학기까지)이고 생기부는 평범한 편입니다. 마지노선...
-
사문 언제 떡락함?
-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어린아이에게 똥을 누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1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
26 6 9 수능은 어떨까 2406만 해도 상상도 못한 쉬운 수학
-
현우진 확통 개정 시발점 완강했는데 좀 부족한거 같아서 실전개념 들을려그러는데 추천좀 해주세요
-
작수 12242이긴 한데 언매97 확통89 (둘다 턱걸이) 4합8 맞추려고 본거라...
-
하지만 등급컷표를 보고 물이라 해서 욺
-
‘그림과 같이‘는 왜곡 없이 그래프 준다는 얘기 아니었음? 16
올해 수특 삼각함수 문제인데 실제 그래프보다 좀 많이 왜곡되어있는데 ‘그림과...
-
국어 도식화 1
쉬운 지문은 그냥 잘 읽히는데 어려운 지문은 문장을 납득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다보니까...
-
한 달에 4번 쉬는 재수생임 보통 쉴때 운동,독서,산책해요 근데 내가 서울 가는걸...
-
베누스 컷 7
으흐흐
-
헉!!!
-
안그러면 당신 이름으로 일베에 가입하겠습니다.
-
너만을 사랑하고 있다는 걸들어줄 사람도 없이 빗속으로 흩어지네너의 이름을...
-
왤케 하나하나 다 좆같냐 갑자기
-
독재학원에서 한달정도 공부중이고 그전까지도 집앞 독서실에서 공부를 해왔었어요 근데...
-
명제 다보탑은 경주에 있다 명제 다보탑이 경주에 있을 수도 있다 두 명제는...
-
이상형 발견
-
보통 수능준비하시는 1년동안 수학엔제 얼마나 푸시는거같나요??? 4
얼마정도 푸시는거같나요???
-
문제를 정확하게 풀면서 피지컬 늘리기 6월 모평 이후에 문제 양치기 하기 어떻게 생각함?
-
가끔 지피티가 지브리로 변환을 못 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feat. 도긩이) 2
그때 지피티한테 "그럼 이 사진을 지브리 느낌/스타일로 만들려면 어떤 프롬프트가...
-
N수땜에 메가패스 사려고 며칠 뛰려하는데 알바몬에서 신청하면 될까요? 많이...

옛날부터 댓글 많이 달아주시고 하는거 기억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ㅎㅎ
작년 물2칼럼 올려주시는거 잘읽고 정말 잘써먹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물투에서 젤 필요한 파트인데 내용 좋네요 감사합니다! 후속편 기다리겠습니다
그만올려주세요.. 물2컷 올라가요
210716 처음풀때 매우 인상깊었던
물리도 고딩까진 참 낭만이 넘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