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잘팁] 하수와 고수를 가르는 독해의 기본 태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001291
국어를 '못' 하는 하수
와
국어를 '잘' 하는 고수
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당위성을 납득하며 읽는 태도]
입니다.
"당위성 납득"이란 정보를 단순히 외우는 대신,
그 이유와 맥락을 파악하여
'왜?'
라는 질문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가령,
[A는 B다]라는 정보를
단순히
'A는 B구나'로만 받아들이고
외우려는 게 아니라
'왜 A는 B지..? 어째서..?'
-> 아! A는 B일 수밖에 없구나. 당연한 거구나!
라고 납득하는 것입니다.
----
이렇게 납득한 정보는
순식간에 머릿속에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만약
다음과 같은 숫자의 나열이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1 4 9 1 6 2 5 3 6 4 9 6 4 8 1 1 0 0
한 번 위의 숫자를 암기해보세요.
.
.
.
.
.
다시 숫자를 떠올려보세요.
위의 수열이 '납득'되지 않았다면,
기억하는 게 쉽지 않을 거예요.
즉,
하수는
그냥 정보를 무작정 외웁니다.
하지만 쉽지 않아요.
어떠한 당위성의 부여도 없이
쌩으로 정보를 머릿속에 넣는 작업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거든요.
그래서
고수는
당위성을 부여하려고 해요.
왜 1 다음에 4일까?
왜 4 다음에 9일까?
왜 9 다음에 1 6일까?
왜 1 6 다음에 2 5일까?
.
.
.
앗!
이건 제곱수의 나열이구나!
그럼 이제 저 많은 숫자를 모두 외울 필요가 없어집니다.
[제곱수의 나열]
이 여섯 글자만 기억하면 끝나거든요.
순식간에 정보가 머릿속에 저장되는 겁니다.
----
국어 지문도 마찬가지에요.
읽으면서 최대한 당위성을 부여하려 하는 게 좋습니다.
그래야 머릿속에 정보가 남고,
그렇게 남긴 정보는 문제 풀이의 단서로 활용되니까요.
다음 지문에서
'당위성 납득'을 진행해봅시다.
독해 하수가
도덕 문장에는 진리 적합성, 즉 참 또는 거짓일 수 있다는 성질 갖지 않음
도덕 문장에는 진리 적합성, 즉 참 또는 거짓일 수 있다는 성질 갖지 않음
도덕 문장에는 진리 적합성, 즉 참 또는 거짓일 수 있다는 성질 갖지 않음
.
.
.
을 외우려고 할 동안,
독해 고수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그렇지,
오~랫동안 도덕적인 옳고 그름에 대한
참/거짓을 판단하지 못했다면,
당연히 도덕 문장에 대한
참/거짓 판단이 애초부터 불가능하다(=진리 적합성이 없다)고
생각했겠지.
에이어 형이 그렇게 생각할만 해.'
라고
당위성을 납득해버립니다.
납득된 정보는,
머릿속에 '각인'될 거에요.
[ 에이어: 도덕 문장에 진리 적합성 없음 ]
이렇게 강력하게 머릿속에 남은 정보는
빠르고 정확한 선지 판단으로 이어지겠죠?
응? 에이어 형은
도덕 문장에 진리 적합성이 없다고 했는데?
와 같은 생각으로 4번 선지를 빠르게 걸러낼 수 있겠죠.
이렇게 당위성을 납득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건
왜?
라는 질문입니다.
이 질문을 통해서라면
얼핏보면 당위성이 없어 보이는 대상에도
최대한 당위성을 부여해볼 수 있거든요.
또 다른 예시를 한 번 살펴봅시다.
오버슈팅은 왜 오버슈팅일까요?
.
.
.
.
Over = 과도한
Shooting = 발사
환율 등의 변수가
과도하게 (over)
위나 아래로 발사 (shooting) 되는 것
이렇게 하면 정보를
[ 오버슈팅 = 환율의 급등락 ]
머릿속에 각인시킬 수 있고,
다음과 같은 선지에서
오버슈팅(=환율의 급등락) 현상을 다룬 글인데,
환율이 변함이 없다....고?
이거 의심이 되는구만?
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습니다.
당위성 납득을 통해 각인된 정보가
지문 서치 없이도
정답 추리기에 도움이 되는 것이지요.
____________
물론, 글에 제시되는 모든 정보가
'왜?'라는 질문과
'당위성 납득'으로 처리되지는 않습니다.
당연히 이런 정보들에 대해선 또 다른
대응 체계(플랜B)로 대처해야겠지요.
앞으로 매주 1~2개 정도 [국어를 잘하는 팁]라는 이름으로,
국어에 있어서 사소하지만 중요한 팁들을 모아
이렇게 짤막하게 칼럼을 연재해볼까 하는데요,
납득이 되지 않는 정보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문학에서도 이러한 기본 태도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등에 대한
주제를 다루려고 합니다.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최대한 올려볼 예정이니,
팔로우와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조예성T 수업 안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에휴 내인생아 1
-
남의 노력을 폄하하먼서 현실적인 조언을 한다고 뿌듯해하는 인간들이 많음
-
ㅇㅇㅇ
-
살기는 편하지만 편한만큼 추해지는 마인드
-
내 자신이 1
항상 실망스럽다
-
뭘해도 재미가 없어
-
공통 11-14 1
얘네 연습하려면 뭐풀어야하나요? 고 2 때는 킬러빼고 다맞췄는데 고3 들어와서...
-
오르비 복귀 4
반갑읍니다
-
첫째로 와꾸 >> 학벌인걸 결혼적령기 놈년들한테 다 퍼져버렸고 둘째로 저출산때문에...
-
퇴근 전까지 생윤 개념 끝내야되는데
-
강의 존나게 안 올려서 공부 안하는 나같은 사람들이 자기위로하기 좋음 저 대단한...
-
홍준표 "김문수 캠프 상임선대위원장 안한다…내일 미국 출국" 3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9일 자신이 김문수 국민의힘...
-
대학가서 아싸는 아닌거같음 반대도 마찬가지고
-
카이스아나토미 8
뭔대 강의가 3개밖에없음? 이제 막 개강한거임??
-
지불 금액의 수 일반화 해봤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요
-
현실: 1학년은 기본기 점검 및 고학점 폭격, 2학년부터 이론 전공 공부 주구장창,...
-
윤 out되고 나서 다시 나와서 뒤통수칠 수 있을거라 생각하긴 하는데 이미 킬러배제...
-
화가남 내가 계산 안하려고 기하하는데 딸깍 풀이 대령하라고
-
국어 비문학 고를 수 있다면 헤겔급 난이도 vs 검찰 공소장 2
비문학에 헤겔급 난이도 지문과 검찰 공소장 중 1개가 나온다면 어떤게 나오는게 더 쉬울까요?
-
안녕하세요? Headmaster입니다. 2026 사회・문화 Headmaster...
-
삶이 너무 무료하다 11
뭘 해야하는지도 모른채로 살아가는 중 ,,,
-
국어 연계 1
9월가서 해도 안늦나요? 기출에 집중하려고하는데
-
ㅋㅋㅋㅋ
-
숭실대 뱃지를 제작하도록!!
-
5모 15번 2
계속 헷갈리는데, g(-x)는 gx를 y축대칭한 함수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
저 중시경라인 전전다니는데 올해 8월입대하고 27수능 목표로 군수 ㄱㄴ? 8월입대면...
-
적정량 추천좀
-
차라리 숭훌로 살까? 10
님들 의견좀요
-
글 좀 올라오면 다시 오르비하고 공부를 좀 그렇게 해봐라 이놈아
-
이게뭐노 1
어케만들었지 ㅋㅋㅋ
-
영상으로 배경지식을 설명해준다는건가 이거 필요한거 맞음? 독서연계에 도움이 되나?...
-
허수라서 그럴 지 모르겠지만 강사인 저도 풀 때마다 이게 맞나 싶기도 한데 다들 잘...
-
수학이나 과탐시험지를 풀때 난도가 느껴지시나요??? 4
만점을 맞는 모의고사에서도 난도가 느껴지시나요??? 아 다른학생들한테 요번시험은 좀...
-
현역비율보면 아니겠지?
-
ㅎㅎㅎㅎ 3
3시반 수업인줄알았는데 3시수업이었음 18분 늦어서 지각받을거 결석받음 하
-
[속보] 김문수, 홍준표 상임선대위원장 임명
-
진짜 번호 상관없이 2개씩 틀리네
-
[속보] 40개 의대,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 통보 3
40개 의대,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 통보 전체 의대생...
-
2컷 3컷 어떻게 잡힐려나
-
국어 1컷 몇 점 정도 될까요? 평가원 기준 1컷 70점대 가능한가요? 내용 일치...
-
영어 5~6이면 워마 2000이랑 어휘끝 중에 뭐사면됨? 7
단어가 좀 부족해서 단어장하나 사서외우려는데 막상 사려니까 고민되는데 뭘더 추천함? 목표2,3등급임
-
메디컬이 아무리 좋아도 적성에 안맞아서 수업 못따라가고 학점 꼬라박으면 무쓸모...
-
이게 뭐람 2
101점 ㄷㄷ
-
순삽까진 할만한데 빈칸<<<<< 걍 야바위 수준임
-
중세국어를 자세히 공부하면 이런 것도 알 수 있습니다 1
https://orbi.kr/00073082844 그러합니다
-
비오면 대중교통에서 오르비언한테서 날거같은 냄새나 15
울엇어
-
그렇다고 하네요 문학이 모호하게만 느껴지는 분들 그리고 문학은 지문을 먼저 읽어야...
-
신발뭐사지 0
행복한고민이구나
-
물1 생1 지1 중에 추천 바라요~ 과외하느라 수능을 좀 몇번보ㅏㅆ는데 국수영...
-
그럼 안전한 서울대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