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제가능한 사상가 리스트(에이어, 헴펠, 샐먼, 포퍼, 콰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67807
에이어, 헴펠, 샐먼, 포퍼, 콰인, 비트겐슈타인, 아도르노.. 모두 평가원 기출 문제에서 다루어졌던 사상가들입니다. 범위를 교육청 모의고사, 리트, 사관학교(경찰대), EBS로 넓히면 더 공부할 인물들이 많겠죠. 그런데 사실 출제 가능한 학자들의 리스트는 어느정도 정해져 있습니다. 학계에서 충분히 알려지거나 논의되지 않은 지엽적인 흑수저 루키 학자를 어느 날 평가원이 찍어서 국어 지문으로 내는 것은 시스템상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출제 가능한 백수저 학자들만 골라서 누가 리스트로 만들어주면 안될까요? 사실 철학자들의 명성이나 영향력을 수치화해서 랭킹으로 만든다는 것 자체가 비현실적이긴 하지만, 입문자로서 매우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직접 제작해보려 했는데.. 훨씬 좋은 자료를 발견하게 되어 공유해 봅니다.
사실 출제자들은 무조건 널리 알려지고 유명한 학자들을 중심으로 출제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고등학생 수준에서 배경지식의 영향을 너무 크게 받을 우려가 있고, 출제자들 입장에서는 시시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1975년 이후에 주로 활동했던 학자들은 아무래도 논란의 우려 때문인지 출제 빈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알 사람은 널리 인정하지만, 대다수는 들어본 적 없는 중간급 정도의 학자들이 주로 소재가 되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2016학년도 9월에 기출된 샐먼은 인지도가 낮아서 한국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거의 얻을 수 없었고, 다만 SEP에서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Salmon's critique of Hempel: an alternative view of statistical explanation and theory building"이라는 제목의 1987년 논문도 있던데, 잠이 안오는 수험생이라면 한번 찾아보셔도 재밌을 겁니다(평가원 지문의 논지와 상당히 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에이어 정도의 학자는 아래 리스트를 미리 접했다면 충분히 대비 가능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아래 리스트 중 미출제된 인물들에 대해 1문단씩 맛보기용 지문을 제작해보려고 합니다. (여담이지만, 맛보기해야할 지식이 이렇게나 많은데 몇 개만 찍어서 깊이 파는 방식은 결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수험생으로서 필요한 배경지식은 넓고 얕게 준비해야지, 쪽집게 식으로 고르는 건 가성비가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제가 찾은 자료는 미국의 연구자 Garth Kemerling이 운영하는 Philosophy page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실제로 1925년~1950년 사이에 수록된 약 60명의 학자들 중 많은 사람이 독서 지문에 언급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래 리스트에는 물론 매우 유명한 인물들(비트겐슈타인, 카뮈, 하이에크, 사르트르, 포퍼, 토마스 쿤, 하이데거, 푸코, 하버마스)도 있지만, 덜 유명한 인물들(켈젠, 하트, 벌린, 아인랜드, 콰인, 에이어, 게티어, 그람시, 보부아르 등)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마오쩌둥, 간디, 슈뢰딩거 같은 인물도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아래 리스트 및 All time list는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philosophypages.com/dy/zt.htm)
1925~1975년까지만 뽑은 리스트는 아래에 옮겨놓았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선호, 뇌피셜로 위 리스트에서 출제될만한 덜 유명한 인물들을 꼽는다면, 하트, 이사야 벌린, 아인랜드, 그람시, 드워킨 정도는 중요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1975년 이후에도 누스바움, 길리건, 드워킨, 노직, 피터 싱어, 움베르토에코, 파이어아벤트 등 중요한 인물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심심할 때 검색과 논문 초록, GPT를 통해 내용을 접해본다면 독해력과 두뇌 굴리기 실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계산실로 2개 나가고 66인데 왜 2등급임 ㅅㅂ ㅋㅋㅋㅋ
-
논술 수험표 3
흑백으로 뽑혔는데 되겠죠?
-
뉴런 필기본 판매하는거 법적으로 문제 되나용? 버리기 너무 아까운데..ㅠㅠ 현우진쌤...
-
일본에있을때 못보더라
-
정시를 잘 모름 표점으로 대학가는게 아니엿음?
-
05라 받아야하는데 수능전엔 진짜 갈시간 없는데최대 언제까지 연기되나요?
-
솔직히 사탐선택자도 생명,지구과학 선택자도 물리1과 화학1 1,2,3등급 맞는...
-
문학/화작은 쉬웠음. 화작 9분컷....제발 좀 어렵게 냈으면 독서.....러셀의...
-
관계 좋다 1
Equivalence relation이라는 말… 뭔가 좀 몬가몬가인 것 같음…
-
강사의 모든 문제풀이법을 최대한 체화시키고 커리가 다 끝나고 다른 n제나 다른...
-
서울에서 방얻어서 재종 다니면서 살고 있는데 공부는 힘들지 않은데 그 외의 것이...
-
국수영탐탐(언미 경제사문) 원점수 90 72 92 44 40인데 보정 올 1이 되네...
-
인스타 팔로워의 1/3..? 옯창은아님을알수있군.
-
물1 파동 2
여기 개잘할려면 뭐 들어야됨? 특특느낌으로 파동 알려주는 강의 있나요?
-
알려주시면 500덕 드립니다
-
나도국어의신
-
딱 저가 그런데ㅠㅡ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
https://orbi.kr/00061542219 작품이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소중한 리뷰 정말 감사합니다!! 김지헌 수학 핏모의고사 (지헌모) 2025...
-
나 왜 딥피드? 6
나 왜 딥피드? 나 왜 딥피드? 나 왜 딥피드? 나 왜 딥피드? 나 왜 딥피드? 나...
짱입니당!!!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