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자연윤리 고수님들 질뭉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40899
답이 4번이라는데 이해가 안갑니다
칸트는 유정성이 있는 존재만이 도덕적 지위를 지닌다고 보지 않나요? 어쨌든 인간만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는데 인간도 유정성이 있잖아요
그리고 1번선지에서는 칸트는 관련한 의무를 주장했으니 비이성젓적 존재에 대한 의무는 없으니까 그걸 비판한 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발제발제발제발 화학붐은 온다!
-
뭔 저걸 어케생각해..
-
사설은 정답 선지까지도 모호하게 출제하네
-
저는 어차피 일반과를 원하는 재수생이니 영향이 크진 않겠지만 최상위권 대거 유입은 무서버용
-
나 75인데 왜 5등급 뜨게 생김
-
제가 고대 기계공학과를 지망하고 있어요 학우50컷이 2.03이던데 제가 만야ㄱ...
-
수능땐 이러면 ㅈ되는건데
-
오르비에서 말고 현실에서도 인식 안좋은 편인가요? 서강대 공대 다니는 친구가 문과...
-
구라도 정도것이지
-
설탭 0
설탭에서 수업하다가 학생이랑 협의하고 같이 줌으로 옮겨가도 되나요? 계약 위반인지 궁금합니다
-
이런 문제도 풀어야 하나요? 요즘 가나다 유형 문제를 안본거 같아서... 작년...
-
진짜 개 못해서 그냥 기억나는 식으로 대충 대입함 근데 그게 맞음
-
ㅈㄱㄴ 6평 원점수 70점초반
-
혼자 선지분석깉은것도 다 하고 난뒤에 들어야하나요?
유정성=쾌고감수능력
인간도 쾌고감수능력을 가지니까 제 말이 맞지 앜ㅎ나요
쾌고감수능력이 있는 존재만이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인간 동물이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
근데 칸트는 동물은 아니니까 싱어가 충분히 칸트에 대해 깔 수 있죠.
유정성이 있는 ‘모든’ 존재가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면 맞겠지만 유정성이 있는 존재’만‘이라고 했으니 유정성을 지닌 인간 외의 다른 동물의 권리를 주장하지 않은 칸트라도 해당 논리로 비판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김종익T 해설강의 찾아보니까 4번은 유정성을 지닌 존재 (인간 동물) 라는 싱어의 관점에서 묶어서 판단하라고 낸 건데 님처럼 유정성을 인간의 필요조건으로 보게 되면 틀린 선지가 되기 때문에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하시네요.. 평가원 문제는 저렇게 애매하게 안 낸다고 그냥 넘어가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예전 기출에는 칸트가 말한 의무에서 뭐뭐에 '대한' 직접적 의무랑 뭐뭐에 '관련한' 간접적 의무의 '대한'과 '관련한'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다고 해요
그래서 1번은 칸트에게도 비이성적 존재와 관련한 '간접적' 의무가 존재한다 로 지워집니다 !
여기 1번 선지에서는 명확히 구분하는 것 같은데 뭘 믿어야하나요..
최근 기출은 ~에 대한 의무 = 직접적 의무(인간만), ~와 관련한 의무 = 간접적 의무로 명확하게 구분해줍니당
아하 제가 잘못봤네요 요즘 기출은 구분되고 옛기출은 그게 미흡하단거죠?
넹넹 저 문제는 철학용어로 둘을 명확하게 구분하기보단 그냥 '대해' 라는 일상적 표현으로 쓴 것 같아요 마더텅 QA에도 이렇게 쓰여있어요 !!
님이 제기한 선지 포함해서 선지 3개가 문제가 있음요. 현강에서 저는 저 문제는 오류 투성이니까 버리라고 합니다. 교육청 문제 중에서 대표적인 오류 문제입니다. 열공+즐공=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