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71456
국어 항상 96~97 왔다갔다 하는사람인데요..
백분위 99이상으로 만들고 싶은데
이 성적대에서 올리신분 계실까요.
6모에선 비문학 2개 문학 3개 틀렸습니다.
다른과목들은 공부한게 잘드러나는데 유독 국어는 공부하나 안하나 성적이 똑같네요.
그래서 그냥 다른과목 만점 목표로 공부하고 국어는 유지만 하는게 나은가 생각도 듭니다.
현강이나 인강 들으면 더 나아지는지도 의문이구요..
국어 성적 기깔나게 올리신분 계시면 지도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포기하고 싶진 않았어 누구나 내일은 몰라 언젠가는 날아올라
-
참가자가 너무 적다는 말을 들은 칼럼러 현월(1360865)… 괜히 심사위원 한다고...
-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1836019 [칼럼글 모음]...
-
학교에서 시험 보는데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
시험끝났으니까할수있는말임
-
정신나감
-
어떠냐
-
확통 알려주세요 3
남학생 여학생에게 나눠주는 경우의수는 왜 안새나요?
-
27 적분퍼즐28 역함수적분29 등비급수 수렴조건30 이계도함수 연속성추론
-
ㅇㅇ ㄱㄴ하면 수시
-
8년만에 복귀 함 해보까
-
나도 남녀공학 2
나도 남녀공학 갈래.. 이러다가 다음생엔 남녀공학으로 태어날 듯
-
물2에서 어려운 단원 중 하나가 바로 '돌림힘'입니다.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
기차지나간당 0
쪽잠행복행
-
의외로 댓글 0개달린 작품에서 나올 수 있을수도 있다고봄 아직 다 확인도 못해봤지만
-
이런 상황일때 A,B 모두 탄퍼 1/2kd^2을 각각 갖는게 아니라 전체가 탄퍼...
-
아
-
강e분 n제는 대체 뭐냐 작년 강e분 독서 만드는 거 보니까 그런 쪽으로도 관심 있어 보이긴 하던데
-
더프 정법인데 왜 하필이면 2023헌가4 사건을 가져왔고 그 사건은 수원지방법원...
-
반려몽 이3끼 심지어 탈출했음
-
할수잇다~
-
천재성이란 숨길 수 없는거였구나
-
ㅇㅈ 7
-
왜 계약보다 설공을 더 선호하는지 아시는분
-
더프 15번 걍 거르고 싶은데 걸러도 되나요
-
아자아자
-
만약 풀어보셨다면 난이도는 어떠한지 드릴이나 엔티켓과 같은 시중엔제와 비교하여...
-
드릴드2 0
드릴드2 쉬우면 대강 수능 몇 점 정도 나올까요
-
물개 물개는 물에 사는 개 물개는 물게 안 물게 물개물게
-
의대생분들 1
복귀 안 하시는 거 필의패 때문인가여? 필의패 해결되면 복귀하는 거임?
-
못생겼으면 공부나 해라 18
-
6평대비로 이감 치고 싶어서 5월 강좌 신청하려는데 강E분 n제는 뭔가요??...
-
빨리 자셈 4
난 자러감
-
제발 팔려라 나 지갑 사야돼..
-
애들 인스타보니까 ㅇㅇ 올해 인원을 아예 0명으로 해달라는 소리임? 아님 내년까지도...
-
식 쪼개는거 했는데 fx를 그냥 하나 찍어서 하는 방법뿐인가요. 2x², x-2•••
-
제목 그래도 한석웡 4규 시즌2 언제나오나요 좀 늦게 나오면 이미지쌤 n제좀 풀까 해세여
-
액상과당 마시고 0
혈당스파이크로 잠들고싶다
-
치한약수쪽만 쓸듯 원래 무조건 의대 이런건 아니었어서 어차피 선호도 치한의약수...
-
맨날 crude한 상태로 내보내는거 같아서 좀 아쉽네
-
딜도삿음 17
전에 아네로스는 전혀 안느껴져서 일단 이거 지름
-
노베재수성공신화 9
어디 없나 요즘엔 진짜 안 보임
-
목소리가 안나옴 ㅠㅠ
-
이러면 다시 공짜로 보내줌? 복습 지문이 없어서 문의 했는데 오류인듯요
-
오늘 부활절이라 2
부활할거임 부활-☆
-
146에게 가버렷
-
뭘 도킹한다는 거지...
-
자작시_시대 0
나는 왜 많고 많은 시대중에 권태롭고 나태한 시대에 태어났을까 태초에 태어나 자연의...
-
대놓고 극우 인물 한동훈 지지하네 부끄럽지도 않나
내가 시간이 부족해서 1컷 근처라면 올리기 힘들지만, 시간이 여유롭게 남았는데 틀린 문제들이 존재한다면 충분히 올릴 수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여러 모의고사를 통해 틀린 문제(유형)들을 바탕으로 약점을 보완해나가야 합니다.
고점을 올린다기 보다는 저점을 올린다는 마인드로 하루에 꾸준히 투자하시길 권합니다.
시간은 10분정도 남는거 같습니다. (평균적으로)
근데 문제는 검토를해도 맞았는지 틀렸는지 구분을 못해서 시간이 남는걸로 이점을 얻은적은 없는거 같습니다. 풀때는 이게 맞는거 같다고 확신하면서 풀어가지고..
수학에 비해 국어는 실모 종류가 그리 많지가 않기도 하고, 뭔가 평가원이 아닌 다른걸 풀면 뇌가 오염된다는 생각도 들어서 실모는 별로 안풀어봤는데
혹시 추천하시는게 있을까요?
글을 읽을 때 대충 뭉게서 독해한 부분이 존재할 경우 문제를 풀면서 자신의 주관적 판단과 결합되어 오답인 선지에 확신을 갖게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당연히 검토를 해도 오류를 잡아낼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러한 이유로 틀린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 또한 그런 오류를 종종 범합니다.
해결법은 독해를 할 때 뭉게서 읽는 습관을 줄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한번 잡힌 독서 습관을 바꾸기는 쉽지 않습니다. 특히 1컷 이상의 학생들은 개인의 독서 능력이 이미 확고해진 분들도 많아서 더욱 더 그런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지문을 읽을 때 정보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기억하셨다가 선지를 보면서 지문과 왔다갔다하며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서 푸는 방법입니다. 시간은 더 걸릴 수 있으나 사실관계 확인형 문제에서 강력합니다. 추론형 문제의 경우에도 근거는 지문에 존재하니 충분히 문제 풀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