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상은 왜 성찰(省察)이라고 할 수 있는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823195
심찬우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제목에서도 밝혔듯, 문학에서 말하는 '성찰(省察)'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어제 질문 게시판을 통해 커뮤니티의 여론이 전달되었습니다. 핵심은 '회상을 성찰(省察)이라고 할 수 있는가' 였습니다. 관련해서 해설에 이슈가 발생한 기출은 [2009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에 출제되었던 '현대시' 세트입니다. 수업(생각하며 감상하기) 때 많은 예시들을 소개하면서 관련된 개념을 충분히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글로도 한번 정리하고 가는게 적절할 것 같아 글을 남깁니다.
저희가 가끔 발생하는 이슈들에 대해 글을 남기는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아래에 보시는 것처럼 일전에도 지문, 문제 나아가 학습법에 대한 이슈가 있을 때마다 여러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해서 글을 남긴 적이 있습니다. 이번 글도 다른 의견을 가진 학생, 강사들과 논쟁, 그에 대한 비판을 해보자는 것이 아닌, 저희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그에 따라 명확한 학습 방향을 설정해보자는 취지에서 작성하는 것임을 밝힙니다.
0. 일전에 있었던 여러 이슈들과 관련된 글.
■ 7번의 'ㄷ'에 대하여 : https://orbi.kr/00057124339
■ [B]는 '왜' 예찬적 어조일까? : https://orbi.kr/00056696581
■ '천하의 지도'는 왜 옳지 않을까? : https://orbi.kr/00064630625
■ EBS 학습에 관한 단상 : https://orbi.kr/00056126440
들어가기 전에 말씀드릴 것은 아래에 인용된 기출들은 대표적인 기출들입니다. 즉 이외에도 다양한 기출들에서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출제가 되어왔으니 학습을 하실 때 참고 바랍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출은 당연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한 지문, 문제들을 뜻합니다.
1. 문학에서 성찰(省察)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문학'에서 말하는 성찰(省察)은 내면세계를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이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메타인지와 맞닿아 있는 개념으로 스스로를 대상화 시키는, 나아가 자신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는 인식의 총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내면을 인식하는 행위 중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면 '반성', 과거에 있었던 일에 대한 '구체적' 인식을 드러낸다면 '회상'이라 부릅니다. 즉 반성과 회상은 반드시 '성찰(省察)'을 전제하게 되어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행위 역시도, 내면의 감정을 확인하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기에 성찰(省察)의 과정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평가원에서는 그 부분에 대해 직접적으로 성찰(省察)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출제한 적은 없습니다. 앞으로도 명확한 내면세계 인식이 아니면 성찰(省察)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1.1.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에서는
'성찰'을 반성을 하는 행위라고 정의하는데.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은 언중(言衆)이 주되게 쓰는 맥락에 맞춰,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정의를 표제어와 함께 사전에 등재하게 되어있습니다. 즉 일상의 맥락에서 누가 성찰(省察)을 한다고 이야기한다면 회상을 한다고 생각하기보다 주로 반성을 하는 행위라고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하여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성찰(省察)'은 그렇게 정의된 것입니다. 아래의 기출을 통해 사전적 정의와 실제 기출 간의 괴리를 확인하겠습니다.
1.2. 반성은 성찰(省察)을 전제하지만
성찰(省察)을 한다고 해서 반드시 반성인 것은 아니다.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B)
해당 작품에서는 '성찰(省察)'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네모 박스로 되어 있는 '창 열고 푸른 산과 마주 앉아라'는 내면을 인식하는 행위, 즉 자신에게 하는 이야기이기에 '성찰(省察)'입니다. 하지만 '반성'은 아닙니다.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는 같은 세트에서 출제된 <보기>를 통해서도 드러납니다.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B)
- 조지훈,「파초우(芭蕉雨)」 42번
가끔 학생들 중에 지문에서 '성찰(省察)'을 '학생의 실력으로'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보기>를 보아야 ②번을 판단할 수 있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는 '성찰(省察)'의 개념을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제부터는 '성찰(省察)=내면세계 인식'이라는 개념을 확립하고 기출에 적용해볼 수 있어야 합니다.
1.3. 스스로를 대상화 시키는 행위는 성찰(省察)이라고 볼 수 있다.
2024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최명익,「무성격자」 30번
「무성격자」에 등장하는 '정일'은 초점화된 자아로서 자신의 내면을 성찰(省察)하고, 그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서사를 전개합니다. 이는 <보기>를 통해서 '성찰(省察)'이라는 단어가 아닌 자신의 내면을 대상화 한다는 표현으로 출제하였습니다.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윤동주,「자화상(自畵像)」 14번
우물을 통해 보는 모습은 나의 겉모습이 아니라 '내면세계'입니다. 문학에서 자신을 볼 수 있는 방법은 내면세계를 인식하는 것밖에 없으며, 그렇기에 나를 인식하는 일련의 행위들은 모두 '성찰(省察)'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기출 선지도 그렇게 출제되어 왔습니다. 대학에서 전공을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문학에서 이러한 인식들은 기본입니다. 설마 윤동주니까 성찰(省察)이겠지, 라고 생각하는 흑우는 없으시죠?
2013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황석영,「가객」
시냇물에 비치는 것은 수추의 내면세계입니다. 따라서 시냇물에 비친 수추의 모습이 다르게 보이는 것은 수추의 내면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시냇물은 여러분들이 익히 아시는 '성찰(省察)의 매개체'가 되겠네요. 따라서 수추가 시냇물을 보는 행위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인식하는 성찰(省察)입니다.
2013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황석영,「가객」 28번
실제 문제도 그렇게 출제가 되었고, ①번이 적절한 선지였습니다.
1.4. 감정을 드러내는 것은 성찰(省察)을 전제하는 것이다.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내가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즉 정서의 표출은 사실상 감정을 드러내기 전에 성찰(省察)을 전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30년이 넘는 평가원 기출에서 이를 직접적으로 문제로 출제한 적은 없습니다만, 개념적으로는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1.5. 회상은 성찰(省察)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슈가 발생하게 된 지점이 바로 여기죠.
회상은 '반드시' 과거 장면이 구체적으로 제시가 되어야 합니다. 과거 장면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는다면 '절대' 회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2008학년도 9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이상,「날개」
서술자 '나'는 스물여섯 해를 회고해보지만 과거 장면이 구체적으로 등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회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회상이 이루어지는 곳은 '자아'의 내면입니다. 다시 말해 회상은 외부 세계에 대한 인식이 아닌, 내면세계에 대한 인식, 즉 성찰(省察)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행위인 것입니다.
2017학년도 9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윤동주,「병원」
화자는 외로움을 겪는 여자를 인식하고 그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과거'에 늙은 의사에게 공감 받지 못했던 자신의 처지를 생각합니다. 이는 과거 장면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고, 내면세계 인식을 하는 것이기에 성찰(省察)을 통한 회상입니다.
살구나무는 화자로 하여금 늙은 의사를 떠올리게 만든(시상 유발) 대상이며, 이를 통해 화자는 성찰(→회상)에 들어가게 된 것이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를 두고 '성찰(省察)'이라고 출제하였습니다. 즉 늙은 의사를 만났던 과거를 회상하는 것을 자신의 처지를 '성찰(省察)'하는 것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Q. 과거 회상인데 왜 현재형 시제를 쓴 것인가요.
A. 과거에 있었던 일을 제시할 때 과거 시제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형 시제를 쓰는 것은 과거에 있었던 일을 생생하게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이제 질문이 나온 2009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현대시 세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2. 「여승」과 「못 위의 잠」에 등장하는 회상은 '성찰(省察)'이다.
2009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백석,「여승(女僧)」
작품을 감상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본래 시간 순서는 연(聯) 구분을 기준으로 2→3→4→1입니다. 이유인즉, 화자는 절에서 만난 여승을 인식하고 그녀를 만났던 과거를 회상합니다. 과거 장면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성찰(省察)을 통한 회상입니다.
2009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나희덕,「못 위의 잠」
작품을 감상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화자는 못 위에서 자고 있는 제비를 바라보며 유년 시절, 종암동 버스 정류장에서 있었던 아버지와 관련된 일화를 떠올립니다. 역시 과거 장면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기에 성찰(省察)을 통한 회상입니다.
문제를 보겠습니다.
2009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21번
문제에서는 (가)와 (나) 중 어떤 작품에서 내면을 성찰(省察)하는 태도가 잘 드러나냐고 묻고 있습니다. '잘'이라는 것은 결국 구체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가)와 (나) 중 어떤 작품에서 성찰(省察)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느냐를 묻는 것이죠.
수업 때도 많이 말씀드렸지만, 구체적이라는 것은 2가지로 판단하며 여기에서는 첫 번째에 해당하는 '자세한 서술'을 의미합니다.
(가)와 (나)의 성찰(省察) 대목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보시기에 (가)와 (나) 중 어떤 작품에서 성찰(→회상)이 '더' 구체적(자세한 서술)으로 드러나는 것처럼 보이시나요. 길을 지나가는 사람 중 아무나 붙잡고 물어보더라도 (가)보다는 (나)가 성찰적 태도가 훨씬 구체적으로 드러난다고 답할 것입니다.
결론입니다.
2009학년도 6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 21번
②번은 (나)가 (가)에 비해
내면을 성찰하는 태도가 잘 드러나기에 오답이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오르비 관리자의 첨언
문학 감상의 틀을 구체적으로 학습해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세요.
[https://youtu.be/_GSw1y3HcXA?si=ZSkQlBnk-r7OOJhS]
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class.orbi.kr/teacher/9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현재 시대인재 다니고 있는데 수업이 어려워서(?) 그런지 얻어가는게 많지 않아서...
-
진짜 기상만 함…오늘도 그랬음. 아버지랑 소고기에 소주 조져야지 후~
-
나진짜저능안가
-
쎈발점+수분감+ebs로 만점가능?
-
좀 기다려야하려나 쩝
-
4년제만 나와도 ㅅㅌㅊ임?아빠가 자기말로는 열심히 했다던데 지금 위상으로 그냥...
-
그놈의안랩씨이뿔 2
보안프로그램좀그만설치시켜라진짜로
-
확통사탐 만점권이면 의대 가능??
-
3시간 수업인데 어쩐지 애가 힘들어하더라
-
오르비나 공스타에서 글이나 피드 보고 성별 구분이 전혀 안 됨뇨;;; 남잔 줄...
-
ㅈㄱㄴ
-
24수능 15번인데 그냥 역추적하려하니까 머리개아픈데 이거 막 조건 반대로? 바꿔서...
-
왜 중국몽에함께하지않았지?
-
생명과학 지구과학 3등급이 목표입니다. 등급만 필요해요! 이비에스로 듣고 기출 박박...
-
시발점+워크북 다 끝냈는데 쎈 안 풀어서 불안하네...수능 대비에 쎈 필수임?
-
내가 널 왜 응원해서 이꼬라지를 보고 사냐 제발 정규때 정신차라지만 지금이 4년째다 어떻게된거냐
-
무슨 나 빼고 다 마스터 100점이 넘어
-
수학 똥멍청이인데 3등급 턱걸이라도 상관없습니다. 유학 가는데 등급만 봐서요. 기하...
-
원터 일과 끝나고 10시 넘어서 피드에 몇백 적혀있는거 보면 마음이 따듯해짐 근데...
-
쉬즈곤 0
아웃 옵 마이 라이프~~
-
말 안해도 알 사람들은 알거라도 믿음
-
대황젠ㅋㅋ 0
ㅋㅋ 상성은 상성이지 ㅋㅋ
-
제가 글을 잘 쓰는 재주가 없어서,, 조금만 양해를 부탁드리고 시작하도록...
-
반가운 오르비 6
-
아는게없어
-
질문을 거꾸로하면 문질
-
왜지우심
-
오르비 한산하네 2
-
허수야… 제발 2
진짜 오늘 왜그래.. 진짜 왜 그러는거야…
-
지금 마플시너지, 쎈이랑 다 풀었고 수분감 step1까지도 얼추 끝났는디 이제 뉴런 들어가도 되나?
-
작년에 뉴런 안하고 수분감만 풀었었습니다 기코 -> 수특 -> 커넥션 -> 6평전...
-
안냐세요, 어디에특별히 하소연할 곳이 없어 조언도 구하고자 글 남겨요.. 간단히...
-
더콰이엇도 좋네 0
The Real Me 듣는 중
-
앱 lesser 작수 백분위 83(원점수 82점) 독해력 백분위 84
-
하닉가고싶은데 3
건대 전전이랑 시립 전전컴 가서 하닉 잘 갈수있나요? 뭐 본인 역량이겠지만..
-
오처넌어치의 기대감을 사는것 같다
-
새로운 스타일이어서 잘 모르겠음 ㅡㅡ
-
이 글은 블로그에 작성한 글 입니다. 블로그에서 원문 확인하기 :...
-
인설의 탐구 선택 13
인설의 목표로 일단 언매, 미적은 확정이고 탐구를 정해야 하는데 뭘 해야 할까요??...
-
43퍼보다 높은 대학 어디 어디 있음?
-
서울대 간호 0
확통 사탐으로 농어촌 정시 지원 가능한가요?
-
여자셨음??? 과외 시장에 계신데 ㄷㄷㄷㄷ
-
정시 인설의 수능 2개틀림 수학,화1,생1 할 생각임
-
그래서 자고 일어나니 2시라 방금 아침겸점심겸저녁으로 한솥 도시락 먹음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거지

심멘
좋은글 감사합니다 선생님!심멘
믿음천국 불신지옥
-심멘-
심멘
Just 심멘
심멘..
sim...
심멘
심멘
심멘..
심찬우만 들었더니 오르비 47레벨이 되었다
심멘

심멘심멘…
진짜 길게 쓰셨네요 ㅋㅋ 심멘..
심멘!!!

심멘!!!ㅠㅠㅠㅠ •
심멘심멘..
심멘
심멘...
심멘..
심멘
심멘
심멘이 그렇다면 그런거지ㅇㅇ
심멘
대학 다니면서 첨 보는 심멘 글
심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