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싸국 · 508334 · 15/11/05 13:25 · MS 2014

    문제에서 주어진 바와 같이 A와 B는 각각 천구의 적도와 황도이거나 황도와 천구의 적도이고 별C가 있는 지점은 천구의 적도와 황도의 교점으로 춘분점 또는 추분점인데 별C는 태양와 겹치지 않는다고 했으니까 이 별은 추분점에 있는 별입니다. 태양이 황도를 서에서 동으로 연주운동하므로 A가 황도, B가 천구의 적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야 강교점을 통과하면서 추분점이 됩니다.)
    이 정도면 ㄱ,ㄴ,ㄷ 다 판단하실 수 있을겁니다.

  • 이끼만땅 · 568207 · 15/11/06 10:26 · MS 2015

    일단 오늘이 춘분이고 태양이 c랑 안겹치고 반대 쪽에 있으므로 천구의 적도와 황도가만나는 즉, c가 있는곳은 추분점입니다

    그리고 지구의 공전방향생각하면 <--- 이방향이 태양의 공전방향입니다 따라서 추분점은 태양이 천구의 북극에서 남극으로 상황이므로 A가 황도입니다

    ㄴㄷ은 평면도 그리시면 됩니다



    참고로 남반구니까 북쪽하늘에서 보임

  • cch7225 · 452093 · 15/11/06 15:13 · MS 2013

    천구아니고 평면도로 ㄴㄷ어떻게하죠?

  • 이끼만땅 · 568207 · 15/11/06 15:53 · MS 2015

    일단 평면도로 푸는 이유는 별의 적위가 굉장히 작기때문에(사실상 0)
    평면도로 그려도 오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림이 아니라 불편하겠지만 적어봅니다

    일단 태양과 C는 정반대에 위치하므로
    평면도로 나타내면 이딴 모양입니다

    C

    E

    S





    그리고 3개월 후를 나타내면 태양은 90도를 회전해서


    C

    E S (S'은 3개월전 태양의 위치)

    S'


    이딴 모양이 됩니다 이날 밤 9시의 지평선을 그리면


    C
    ↖(지평선의 회전방향)
    ------E------S---

    (S')

    이 됩니다
    그럼 해지고 나서 6시간 관측 가능하겠죠?



    C ↗

    E S




    또한 위그림은 이날 9시의 지평선(↗)이며

    별 C는 서쪽하늘에서 보입니다

    그리고 남반구에서 관측하니 황도 혹은 적도부근의 별은 북쪽하늘에서 보입니다



    이해안되시면 답변달아주세요ㅎㅎ

  • cch7225 · 452093 · 15/11/06 16:03 · MS 2013

    와 감사합니다!!고생많으셨을듯 ㄷㄷ 이해되네여 태양을 돌려서 평면으로하느군요저렇게 푸는건 처음 알았네요

  • 이끼만땅 · 568207 · 15/11/06 16:08 · MS 2015

    반응이 좋은걸로 보니 답은 맞나보네요ㅋㅋㅋ

    다행이네요ㅋㅋ 풀면서 틀리면 어카지 했는데요ㅋㅋ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