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요짜요2 [590830] · MS 2015 · 쪽지

2015-10-12 17:54:47
조회수 215

사회문화 모르는거 질문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40463

면접법의 단점이
3.적합한 표본 소수
4.연구자의 전문성 요구

이 두가지가 있는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도와주세요! 자세하고 쉬운 설명으로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와리 · 593411 · 15/10/12 17:58 · MS 2015

    적합한 표본이 소수고 연구자 = 질문자의 전문성이 요구되서 아무나 함부로 못한다구요

  • 짜요짜요2 · 590830 · 15/10/12 18:00 · MS 2015

    왜 적합한 표본이 소수인지....
    2번째꺼도 잘 모르겟어요...

  • 뤌즈리선생입니다 · 526439 · 15/10/12 18:33 · MS 2014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양적 연구인 질문지법은 고등학생~ 에게 적용되는데 비해서 질적 연구인 면접법은 가출청소년~ 정도로 표본에 제한이 가기 마련이죠. 그래서 적합한 표본을 찾는게 상대적으로 까다로울 수 밖에 없습니다

  • 뤌즈리선생입니다 · 526439 · 15/10/12 18:35 · MS 2014

    두번째 질문은 위의 예를 이어서 설명하면 고등학생에게 질문지 돌리는건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가출청소년을 면담하려면 적어도 청소년 심리상담에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해야되는거죠. 그래서 연구자의 전문성이 필요한거구요.

  • 짜요짜요2 · 590830 · 15/10/13 01:54 · MS 2015

    질적연구는 왜 가출청소년~정도로 표본이 제한되나요? 고등학생한데 해도 되잖아요

  • 유니넷 · 560652 · 15/10/12 18:51 · MS 2019

    일단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해야해요
    모집단의 구성원 비율에 맞게 표본 비율을 맞추는게 쉽지도 않고 질문지에 비해서 엄청 소수만 조사 가능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