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는 어떻게 훈련해야 할까? - 2. 양은 그만 치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77079
국어는 어떻게 훈련해야 할까?
우리가 하는 (또는 했던) 잘못된 국어 학습방법을 다루고, 어떤 훈련방법을 적용해야 할지 다루는 시리즈입니다.
0. 국어는 훈련 https://orbi.kr/00064291733
1. 배경지식은 그만 https://orbi.kr/00064292077
2. 양은 그만 치자
아래는 국어 학습방법의 체크리스트입니다.
1. 강사가 풀이해주는 지문의 배경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따로 학습한다. | |
2. 기출문제집을 사서 N개의 지문만 따로 학습한다. | |
3. 강사 또는 해설지가 분류해 준 문제의 유형을 학습한 뒤, 문제를 풀 때 어떤 유형인지 파악하려고 한다. | |
4. 문제를 풀고 채점한 뒤 해설지를 펼쳐서 해설지의 풀이법을 익히고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학습한다. | |
5. 틀린 문제의 선지를 분석해본 뒤 '이렇게 바꾸면 맞는 선지인가?' 고민한다. |
위의 체크리스트는 제가 모두 해본 학습 방법이고,
제가 경험해본 결과 모두 잘못된 국어 접근방법입니다.
비슷한 경험이 있다면
0. 국어는 훈련 https://orbi.kr/00064291733 를 참고해 주세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국어 공부를 하려고 보면, 시중에 나와있는 국어 문제집은 크게 총 3가지입니다.
1. 기출문제집 : 기존에 나와있던 수능국어 시험지에서 문제들을 발췌한 것
2. EBS 연계교재
3. 강사 문제집 : LEET 등 수능국어와 유사한 시험지에서 문제들을 발췌한 것
흔히 ‘양치기’ 라고 하지요? 문제집을 산 다음 팍팍팍 풀어나갑니다.
문학 못하면 문학 N제를 사서 팍팍 풀고
독서 어려우니까 LEET문제가 실린 강사 문제집을 사서 팍팍 풀고…
어떤 건 맞추고, 어떤 건 틀리고, 틀리면 해설 보고…
그런데 이렇게 풀면 국어 성적이 잘 안 오릅니다.
이상합니다.
문학 문제집 사서 풀 땐 뭔가 알듯말듯 했는데… LEET문제집 풀 때는 수능 독서도 잘할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시험장 가서 모의고사를 보면 또 틀립니다.
문제는 이런 것입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모든 문제집은, 시험지에서 발췌하여 재편집한 것입니다.
문제집을 양치기하는 것은 시험지를 푸는 것과 다릅니다. 실전연습이 아니지요.
시험지는 비유하자면 퍼즐판입니다.
국어 시험을 푸는 것은, 퍼즐판을 제한 시간 내에 얼마나 잘 조립하느냐와 비슷합니다.
그런데 발췌해서 만든 문제집을 푸는 건?
퍼즐 한 조각을 열심히 공부한 것입니다.
퍼즐의 생김새, 재질, 색깔을 열심히 공부하고 학습한 겁니다.
퍼즐 조각 공부와
퍼즐판 제한시한 내에 맞추기는 다르지요.
문제집 열심히 양치기 했는데도,
시험장 가면 당황하고 얼타는 것은 여기서 오는 문제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렇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국어는 학습과 공부가 아닌 훈련의 영역입니다.
국어 시험을 잘 보고 싶다면,
제한 시간 내에 퍼즐판을 다 조립하고 싶다면,
퍼즐판 조립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퍼즐 조각 공부를 하는 것이 도움은 되겠지요.
아예 안하라는 게 아닙니다.
문학이 부족하면 문학 양치기 하고
독서가 부족하면 독서 양치기도 해야지요.
하지만 국어 시험을 잘 보려면
시험지 한 회차를 제한시간 내에 풀어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국어 기출을 풀 때에는 시험지 한 회차를 80분 재고 푸십시오.
리트 언어이해를 풀 때에는 시험지 한 회차를 70분 재고 푸십시오.
OMR 마킹도 같이 하시고요. (*OMR 출력용 : https://orbi.kr/00055451567 )
이미 발췌한 문제집을 풀어서 기억에 남는다?
그래도 회차별로 시간을 재고 풀어야 합니다.
퍼즐판 조립하는 훈련이 중요합니다.
실전연습을 해야 실전을 잘 하니까요.
정말 정답을 다 외워버려서 훈련조차 되지 않는다?
실모를 풀어야 합니다.
시험지 한 회차 풀기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적어도 주1회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저는 이틀에 한번씩 했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는 성적 취향 모름요 21
생각해본적 없어요 아물론 저번학기 성적 주면 절하고 받슴니다
-
24수능 언미영생지 백분위로 98 99 1 98 95였음 24 수능 이후로 국어랑...
-
스카 다니면서 독재했는데 공부 시간은 어느 정도 나오면서도 너무 생활패턴이...
-
우는거랑 치마 조아함
-
뭐가더낳냐
-
욕심 ㄴㄴ
-
맘에 안 드는 부분이 하나 잇음
-
머리가 안 되겟다
-
안 씻는게 맞는 것 같다.
-
아무도 없는데에
-
조까튼 월요일 5
축구도 비겨서 짜증나
-
아 아니다, 지금이 낫다
-
ㄹㅇ 부럽네, 고2인데 이상한거 관심 안 들이고, 수능에 관심 잇어서 온거자늠 난...
-
좀 니글거리네 2
빵이 남았어... 야식의 부작용인가
-
히 이이 히 이이 이이 히 이이
-
그건 있다 학문적 적성을 판별하는데는 꽤 유용함 개념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적응이 잘...
-
쇼타 투척 0
음 역시 귀엽군요
-
어차피 내일 학교 안가는데
-
뭔잠이여 ㅋㅋ 10
내가 와따 잠 안옴 낼그냥 커피마시고 저녁까지 버틴다
-
여러분 잘 자요 4
난 안 잡니다 당연히
-
어지러워요
-
담에봐 내일올려나 오겠지 내일봐
-
올해 설수만 가면 자살은 안할듯
-
새벽팟 어디갓는데 당황스럽네 공부하다 왓더니 아무도 없음 설마사카
-
인증메타가 유행하면서 누군가는 자신감을 잃을 수 있는데, 저도 오래 산건 아니고 제...
-
맛있게 와구와구 먹는중
-
현실에서도 어떻게 보일지 모르겟습니다
-
경기력 병신어휴 0
이딴경기력으로 무슨 챔스를 나가겠다고 이 시발아
-
이기지 않은것. 그런거에요
-
이거 진짜라는 거임
-
5달동안 똑같앗는데
-
방구석 여포임 단점은 현실노잼이라는거임...
-
bxtre.kr/
-
지가 처 돌아가놓고 나보고 반말하면서 화내는 택시 등장
-
혼자 가야지!!
-
성격이 문제야 4
성격이 문제라고 생각함 에효효
-
나는 원래 야행성이니
-
이게 머야, 노잼이야
-
오늘이 지나면 0
넌 사라질 먼지 사랑이 먼지이
-
나머지는 다 너무 쉬움
-
아무것도 몰라 하는 저 표정 좀 봐요
-
내일 아침에 먹는다
-
1월달에 친구랑 술먹다가 들었던 건데 고2때 인스타 스토리로 증명사진찍은 걸 올렸던...
-
현실에선 그냥 기어다님
-
어느정도 공부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찾아서 오는 커뮤니 어느정도 실력이 있다는...
-
안그럼 요즘 잠이 안오더라고
-
인서울 높공 전자공학을 꿈꾸고 있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제가 공부할 때 처음에는 좀...
-
크아악
-
다 잔다 이거지 4
난 겜한다
-
요즘 느끼는거 5
귀차니즘이 많이 심해짐 근데 도파민을 찾아다님 근데 도파민 내용에 나는 없어야함 인생ㄹㅈㄷ
1줄요약: 실모가 점수를 만든다. 실모 풀어라
"2023 수능은 강사저 문제집에서 따로따로 풀어본 적 있는데 굳이 또 풀어야되나?" 하는 사람들도 많더라고요. 제 의도는
1. 기출 시험지를 출력하여 실전연습하는 훈련을 할것
2. 이미 답을 다 외워버려서 훈련조차 안된다면 울며 겨자먹기로 실모라도 풀것
이었는데 전달이 잘 안됐나봐요.ㅋㅋ 아까도 그런댓글이 달려서리ㅠ
질문이 있습니다
문제집에서 문학 갈래마다 1지문, 독서 3지문, 언매 n제 하나, 를 한번에 같이 두고 77분을 재는 것이 그냥 풀어나가는 것이 그냥 문제집을 푸는 것보다 도움이 될까요?
음 그렇게 푸는게 문학 양치기 따로 독서 양치기 따로 하는 것보다는 훨씬 실전에 가깝겠지만,
저는 한 회차의 시험지가 완결성을 가진다고 생각하는 편이라서요. 문학에서 힘 줬으면 독서에서 힘 살짝 빼고... 데꼬보꼬(완급조절)라고 하는...ㅎㅠ 그런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대한 한회차로 연습하는 게 좋겠지만 이게 어렵다면 말씀하신 대로 하는것도 대안이 될수 있겠네요
양은 그만 치고 실전을 위한 질을 노리는 편이 좋다는 것이군요....
실모 양치기 on....
결국 양과 질 둘다 잡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