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갱스 [1219977]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3-03-16 02:08:23
조회수 1,619

반응(3) 슈퍼문 지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423090

같이 반응해 봐요 ~동욱쌤 강의를 듣고 이 슈퍼문 지문을 쓴 건 아니지만 뭐 어때요 지문을 먼저 읽고 저랑 비교해봐요 !


1문단 

우리는 가끔 평소보다 큰 보름달인 슈퍼문을 보게 되는 구나. 실제 달의 크기는 일정한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 그러게 크기가 일정한데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거지 ?? 이 현상은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 궤도라는 점과 관련이 있다고 ?? 아하 그럼 타원 궤도에 대해서 중점으로 달이 왜 커지는지 한 번 읽어봐야 겠다. 


2문단 

타원은 두 개의 초점이 이고 두 초점으로부터의 거리를 합한 값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이라고 ??? 음 원 위에 두 초점을 생각 해봐야겠다. (그리진 않고 머리로 생각해 봤어요.) 타원에서 두 초점을 지나는 긴 지름을 가리켜 장축이라고 한다고 ?? 아하 그럼 장축은 지름이고 그 지름 위에 초점이 있지 않을까 ?? 두 초점 사이의 거리를 장축의 길이로 나눈 값을 이심률이라고 한다. (이심률 = 두 초점의 거리 / 장축의 길이) 아하 이심율이란게 전체 장축의 길이의 안에 있는 두 초점의 거리구나. 전체 분의 부분이니까 당연한 소리네.. (하지만 이심율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지문 읽을 때 저 저정도로 그냥 이해했어요) 두 초점이 가까울수록 이심률은 작아진다고 ?? 공식에 따르면 당연한 소리네 원모양에 가까워지면 이심률은 가까워 지구나 


3문단 

달은 지구를 한 초점으로 하면서 이심률이 약 0.055인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고 ? 그렇구나. 이 궤도의 장축 상에서 지구로부터 가장 먼 지점을 원지점 가장 가까운 지점을 근지점이라 한다고 ?? 아하 먼건 원지점 가까운건 근지점이구나.. 지구에서 보름달은 약 29.5일 주기로 세 천체가 태양 지구 달의 순서로 배열될 때 볼 수 있는데, 그렇구나.. 이때 보름달이 근지점이나 그 근처에 위치하면 슈퍼문이 관측된다고 ?? 아하 근지점에 위치 하면 가까운 곳에 위치하니까 당연히 달이 커지겠지. 슈퍼문은 보름달 중 크기가 가장 작게 보이는 것보다 14%정도 크게 보인다고 ?? 아하 원지점 보다 근지점에서 14% 크게 보인다는 말이겠구나. 이는 지구에서 본 달의 겉보기 지름이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 당연한 소리네 지구에서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을 각도로 나타낸 것을 각지름 이라고 한다고 ?? 알겠어 관측되는 천체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각지름이 커진다고 ?? 당연한 정보네 당연히 거리가 가까워지면 각지름이 크게 보이겠지. 그럼 근지점일때 각지름이 커지고 이심률은 작아지겠구나


4문단 

지구의 공전 궤도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고 ?? 그렇구나 ~ 당연한 내용 ~그렇지 

지구와 태양 사이의 이러한 거리 차이에 따라 일식 현상이 일어난다고 ?? 아하 그렇겠네 근일점이면 달이 크게 보이니까 일식 현상이 일어나겠네.. 우와 개기 일식의 정의가 내 생각이 맞았네 금환 일식의 정의도 원일점에 있을때 달이 작아지니까 맞는 설명이네.


5문단 

이러한 원일점, 근일점, 원지점, 근지점의 위치는 태양, 행성 등 다른 천체들의 인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 아하 그럴 수 있겠네 충분히 현재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은 약 0.017이라고 ?? 아하 그럼 달 보다는 좀더 원처럼 생겼겠다 이심률이 적으니까.. 아하 이심률은 수시로 변하구나 천체의 다른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을 때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현재보다 작아지면 ?? 지구가 좀 더 타원처럼 생겨지겠네 ?? 근일점은 현재보다 더 멀어지고 원일점은 현재보다 더 가까워진다고 ?? 아하 타원 처럼 생겨지니까 맞는 설명이네.. 이는 달의 공전 궤도 상에 있는 근지점과 원지점도 마찬 가지라고 ?? 당연하지 원리가 같은데. 당연한 소리들만 하네. 


1번 문제 

1. 그렇지 마지막 문단에 이심률이 변화할 수 있다고 했어 그런데 태양의 인력 이었던가 ?? 찾아봐야지 찾아보니 태양 ..행성의 인력에 영향을 받는다고 해서 0  

2. 현재의 달 공전 궤도는 현재의 지구 공전 궤도 보다 원 모양에 가깝다고 ?? 아니지 이심률이 더 작은게 지구니까 지구가 더 원모양에 가깝겠지 x 답 2번

3. 금환 일식이 일어날 때 ?? 달이 원지점 이겠네. 지구에서 관측되는 태양의 각지름은 달의 각지름 보다 크다고 ?? 당연한 소리네 달이 원지점에 있으니까 0

4. 당연한 소리네 0

5. 당연한 소리네 0 


2번 문제 

~읽다가 조차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그 거리가 가까울 수록 조차가 커진다고 ?? 아하 그럼 조차가 커진다는 건 근일점에 있다는 소리고 크기가 커진다는 소리와 조차가 커진다는게 같은 소리겠네. 조차는 북반구의 겨울인 1월에 가장 크고 7월에 가장 작다고 ?? 

아하 그럼 근일점에 있으면 1월이고 크기가 크게 보이고 조차가 크고  원일점이면 7월이고 크기가 작고 조차가 작겠구나. 


1. 작겠지x

2. 작겠지 x

3. 원지점 일때면 조차가 작겠지 x

4.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 1월에 나타나는 조차가 이심률 변화 전인 1월의 조차 보다 커진다고 ??

근지점에 있다는 건 조차는 당연히 더 커지지 정답이네 0

5. 4번이랑 같은 판단 과정으로 작겠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