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갱스 [1219977] · MS 2023 · 쪽지

2023-03-16 11:46:47
조회수 1,823

반응일지(6) 특허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424117

이 지문은 처음에 반응하기 개인적으로 좀 힘들었어요 생략된 추론이 생각보다 많아서 ㅎㅎ.. 동욱 쌤 같이 나가시는 분들 파이팅 !! 한 번 사고는 비교해 봐요 지문으로 먼저 보고 나서 


1문단 

특허권에 대한 설명과 영업 비밀에 관한 설명이네 어 특이한 점은 특허권은 일정 기간 동안만 지속 된다는 거구나 영구적인 권리는 아니네. 음 영업 비밀은 이런 거구나 일정한 어떤 조건을 갖추면 법으로 보호 받을 수 있다는 거지 ?? 엥 어떤 조건인지 안 나오네?? 어쩔 수 없지 .. 음 정보 통신 기술 산업 ?? 이게 뭐지 특허권이랑 영업 비밀로 창출 되는 거라고 ?? 이게 화제 인가 앞에는 부연 설명이었구나. 엥 그리고 바로 다음에 문제점이 나오네 지식 재산 보호 문제와 과세 문제에 대한 지문이었구나.


2문단

아하 과세문제에 대한 설명이 바로 나오네 지식 보호 문제는 나중에 나오려나 ? 엥 디지털세가 무엇인데 도입 하려는 거지? 아하 수입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 디지털세구나. 오 이제 과세에 대한 문제가 나오네 법인세 감소에 대한 우려가 문제점이었구나 법인세가 감소한다는 말이 무엇이지? 아하 법인세는 세금이구나 당연한 정보네 재화나 서비스의 판매의 수입에서 제반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이윤에 부과하는 세금이라고 음..? 디지털세랑 차이가 있긴하네 일단 수식으로 적어는 놓아야겠다. 

이윤 =  수입 - 제반비용 그래서 왜 법인세 감소가 문제가 되는 건데 ?? 아 실제 수입 대비 이윤에 부과 하는 세금이 줄어들면 당연히 문제가 있겠네.. 이윤을 줄이고 수입을 올리는 거지 ?? 음 아마도 수입은 그대로 일텐데 법인세를 줄이려면 제반비용을 올리면 이윤이 줄어들겠네..그럼 법인세를 적용해도 이익이 있을 거고.. 그런데 제반비용이 도대체 뭐지 ?? 

일단 수식 정리 이윤(내려감)= 수입(그대로) - 제반비용(올라감) 


3문단 

아 이제 방법이 나오네 다국적 기업에서 법인세율이 현저하게 낮은 국가에 자회사를 설립하고 ? 자회사가 뭐지 ? 본사에서 나온 회사들 자식회사 같은 느낌이네. 법인세율이 낮은 그 자회사에 이윤을 몰아주는 방식이라고 아하 그럼 자회사1(법인세율이 높음)가 있고 자회사2(법인세율이 낮음)가 있겠구나. 일단 이익을 얻는 주체는 자회사(법인세율이 높은)겠네 그게 유리할 테니까.(자회사2로 옮기면서 이제 법인세를 최소화 하는 거구나) 이제 예시가 나오네 아하 1문단에 특허권을 설명한 이유가 이 예시 때문이었구나. 특허권을 자회사인 A사에 부여 하면 본사의 특허를 사용할 수 있을 테니까 특허권을 일단 자회사에 한 거네.. 그렇지 특허 사용을 하면 수입이 발생하겠지 아하 B국의 특허를 썼으니까 그 대가로 A에게 로열티를 지불하는 거구나. 아하 이렇게 옮기면서 법인세가 부과될 이윤을 최소화하는 거구나. 로열티로 옮긴다고 했으니 이건 제반하는 비용일테고 옮기면서 제반비용을 크게 하고 이윤을 줄이는 눈 속임 행위구나. 이렇게 하면 법인세의 부과 비율에 따라서 확실히 달라질 수 있겠네. 이게 다 제반 비용 때문에 생기는 문제였어. 예측이 맞아서 기쁘네 음 다국적 기업의 본사를 많이 보유한 국가에서도 해당 기업에 대한 법인세 징수는 문제가 되구나. (아하 해당 기업에 대한 법인세 징수가 문제가 되는 이유가 다른 본사 밑에 자회사를 많이 만들어서 그렇겠구나 그 많큼 본사의 비율에 대해 자회사를 늘리면 되니까) 그러나 그 중 어떤 국가들은 다국적 기업의 활동이 해당 산업에서 자국이 주도권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라도 디지털세 도입에는 방어적이라고 ? 당연한 거네 자국 산업이 아예 법인세가 낮은 국가로 이주 할 수도 있으니까 뭐 국가의 자존심 문제가 있을 수 있겠네. 


4문단

아 드디어 나오네 1문단에서 설명했던거 지식 재산 문제?? 

관계를 읽고 파악하면 되겠네. 당연한 소리 아니야. 당연한 소리 당연한 소리 음 일정 수준 이상인 상태에서는 증가할수록 특허 보호 정도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당연한 소리지 이건 음.. 그리고 가장 낮은 소득 수준을 벗어난 국가들은 그들보다 소득 수준이 낮은 국가들보다 오히려 특허 보호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 음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가는 과정 같은 느낌 이니까 이럴 수도 있겠다.


1번 문제 

1. 당연 

2. 어 내 의문이 나왔네 답이네 이건(0) 

3. 당연 

4. 당연 

5. 당연 


2번 문제 

1. 당연 X

2. 당연 X 수입에서겠지.. 

3. 당연 X

4. 당연 X 

5. 당연 맞지 (0)


3번 문제 

가설 : ICT 다국적 기업 자회사들의 수입 대비 이윤의 비율은 법인세율이 높은 국가일수록 낮다.

아하 당연하지 법인세가 높은 국가에는 당연히 제반 비용으로 옮겨야지 그래야 이익이 최대가 될 수 있으니까.


1. 수입과 법인세율은 정말 아무 상관이 없는 건데 왜 낸 건지 모르겠네.. 이건 틀렸지 

2. 아니 이러면 안 되잖아. 법인세율이 높은 국가에 로열티를 지출한다고 개그네.

3. 법인세율이 낮은 국가라면 제반 비용을 옮길 이유 조차 사라지는 거네. 그냥 잘 살면 되지

4. 오 이게 정답이네. 법인세율이 높은 국가의 자회사라면 빨리 법인세율이 낮은 국가로 제반 비용을 옮겨야겠지. 그래서 수입에 비해서 이윤이 줄어드는 거니까 법인세는 줄어들고 완전 정답 (0)

5. 가설의 반대. 


4번 문제 

1. 당연 

2. 당연 

3. 엥 접근 비용은 낮아지지 쓸 수 있는 사람의 수는 많아 지니까 정답이네 (0)


5번 문제 

1. 당연 

2. 당연

3. A자회사는 상관이 없지 B회사에 부여될 법인세를 줄이려고 해야하는 거지. (0) 

4. 당연 

5. 당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