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국어 1등급을 위해 1년 간 해야 할 것들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477030
이미 1년 커리를 짜신 분들도 많겠지만
커리를 새로 짜시는 분들 혹은 자신이 세운 커리를 점검하는데 도움이 될까 하여 글을 씁니다.
국어 1등급~만점을 위해 해야 할 것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필수 개념
국어가 다른 과목에 비해 외워야 할 필수 개념이 훨씬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만,
그렇다고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에 해당하는 것들은 '모르면 손해보는' 것들이니 꼭 외우셔야 합니다.
1-1. 문법 개념 (문법 선택자 한정)
노베라면 인강을 들읍시다. 가장 쉽고 편합니다.
인강을 들을 땐 너무 긴 텀을 두고 듣지 마시고,
'이주일 내에 완강' 이런 식으로 단기 목표를 잡아 몰아 들읍시다.
어차피 첫 발에 완벽해질 수 없어요.
일단 개념을 훑는 식으로 학습한 다음, 문제를 풀면서 구체적인 개념들을 잡아나가는 게 효율적일 겁니다.
1-2. 문학 개념어
'설의적', '독백조', '대화하는 형식' 등 문학 개념어의 평가원적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역시 짧은 기간 내에 인강을 통해 수강하거나 시중의 괜찮은 독학서들이 대충 빠르게 훑는 식으로 공부해봅시다.
1-3. 독서(비문학) 배경지식
자신이 중고등학교 시절에 사회/과학 공부와 진짜 담쌓고 살았다!
(밀도, 공리주의, 금리 이런 단어들이 뭔지 모르는 정도)
그러면 어느정도 공부해놓는 게 좋습니다.
이 정도 모르면 남들은 당연하게 이해하는 내용도 자기는 어거지로 외워야 하거든요.
여러 배경지식 추천 책들을 보셔도 괜찮고, 일반사회/일반과학 교과서를 보셔도 괜찮습니다.
(이러저러 귀찮다면 네이버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43669&categoryId=43669) 여기 들어가셔서 물리, 화학, 생물학, 지학, 윤리와 사상, 사회문화, 경제, 법과 사회 카테고리를 쭉 훑어보세요. 모르는 내용들은 자세히 보시구요. 나중에 시간 나면 제가 중요하다 생각하는 거 한 번 찝어드릴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따로 시간이 안난다면 비문학 지문 읽을 때 모르는 어휘는 그때그때 검색하여 볼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출과 ebs 공부하시면서 보셔도 괜찮구요.
1-3. 고전시가 필수작품
한 번 정리하고 가시면 좋습니다. 나중에 기회되면 필수작품 목록도 올려드릴게요. 좋아요 많이 눌러주시길 ㅎㅎ
2. 도구(독해 전략/풀이 전략) 정립
전략없이 전쟁 못하죠.
인강을 듣든, 스스로 기출 분석을 하든 하면서 자신만의 독해/풀이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이러한 전략들은 다음과 같은 행동강령(도구)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고전시가의 경우 일단 소리나는대로 읽는다.
비문학 기술 지문의 경우 최대한 머릿속으로 이미지와 메커니즘을 떠올리며 읽는다.
인강에서 배운 거, 기출분석하면서 깨달은 점들을 모두 행동강령으로 만들어
전부 다 <행동강령 정리 노트>에 빠짐없이 기록하세요.
왜 굳이 노트에 정리해야 하냐??
문제 풀 때 적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습관의 동물이라, 의식하지 않으면 계속 습관대로 풉니다.
매일 국어 문제를 풀기 전 <행동강령 정리 노트>를 보면서
자신이 주의해야 할 게 뭔지 복기해주세요.
반복하다보면
원래는 틀리던 문항들을 틀리지 않게 되고
원래는 어려워하던 문항들을 어려워하지 않게 될 겁니다.
3. 기출
국어에서 가장 중요한 기출입니다.
사고력/독해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훈련 재료이자
평가원이 요구하는 선이 어디까지인지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지표입니다.
3-1. 기출 풀이
일단은 풀어봅시다.
본인이 1등급 실력이 아니라면 시간 제한을 두고 푸는 것은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아직 정확히 푸는 연습도 안됐는데 시간 제한을 두고 빨리 풀려 하면 잘못된 습관만 늘 거예요.
지금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확히 푸는 연습으로 올바른 습관을 먼저 기르시길 바랍니다.
대신 너무 루즈해지면 안 되니까, 한 지문 당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는지만 체크해줍시다.
한 지문에 20분이 걸려도 좋아요. 대신 다 맞히는 데 중점을 둡시다.
3-2. 기출 분석
풀었으면 이제 분석을 해야겠죠.
기출 분석이 대단한 게 아닙니다.
풀이 단계에서 어려웠던 문제들, 틀렸던 문제들을 바탕으로
a) "왜" 틀린 건지(어려워 했던 건지)
b) "어떻게" 해야 틀리지 않을지(어려워 하지 않을지)
깊이 고민해봅시다.
그리고 그 고민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행동강령으로 만들어 위의 <행동강령 노트>에 빠짐없이 기록해주세요.
혹시 무언가를 "몰라서" 틀린 거라면 따로 <암기 노트>를 만들어 반복적으로 암기해주시구요.
4. EBS
평가원은 이미 '애들이 설마 ebs도 제대로 안 보고 오겠어?'라는 생각을 가진 듯 합니다.
여전히 중요도는 기출이 우선이지만, 안정적인 성적 향상을 위해선 ebs도 꼭 푸셔야 합니다. 독서까지도요.
(작년 헤겔이랑 브레턴우즈 지문 모두 연계 교재보고 들어갔으면 개2득 볼 수 있었던 건 아실 겁니다.)
4-1. 독서
변형문제 이리저리 찾지마시고, 일단 수특/수완부터 제대로 풉시다.
매일매일 조금씩 풀면 금방 1회독 합니다.
대신 분석까지는 안 하셔도 괜찮을 것 같네요.
그냥 <행동강령 신경쓰며 풀기 + 틀린 문제에 한하여 실수인지 아닌지 정도만 확인>만 해주셔도 충분할 듯 합니다.
여유가 된다면 지문 별로 <3줄 요약 노트>를 만들어주세요. 나중에 연계 교재 복습할 때 한결 편할 겁니다.
4-2. 문학
일단 가장 중요한 건 고전시가입니다. 지금부터 빠삭히 공부해주세요.
다른 영역은 바로 시작하지 마시고 6월 이후에
기출로 어느정도 문학 푸는 기준이 확립된 다음 시작하는 거 추천드립니다.
안 그러면 내신 공부하듯 공부해서 시간이 오래 걸릴 거예요.
정리할 땐 아무 인강이라도 끼고 정리하는 거 추천드립니다. (ebs 인강도 좋아요.)
4-3. 화작/언매
주말 활용해서 하루 이틀 동안 한 번에 끝내줍시다. 가볍게 1회독만 해주셔도 돼요.
5. 사설
기출이 행동강령을 만드는 재료라면
사설은 행동강령을 훈련하는 재료가 될 겁니다.
그래서 실제 실력이 '완성'되는 지점은 기출이 아닌 사설 문제를 풀면서입니다.
결국 우리가 수능 날 보게 될 건 '낯선 문제'니까요.
사설 문제풀 때 중요한 건 시간 제한을 두는 것입니다.
시간 제한 없이 정확하게 푸는 연습은 기출에서 충분히 하시고,
사설 풀 땐 최대한 실전처럼 빡빡하게, 긴장된 상태에서 푸세요.
맨날 여유있게 풀다간 실전에서 실력 발휘를 못할 겁니다.
5-1. 고난도 N제
요즘 리트 많이 풀죠? 리트가 고난도 n제의 대표격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렇다고 "어려운 거 풀면 실력 늘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무지성으로 그냥 냅다 풀지 않기를 바랍니다.
수학도 킬러문제만 냅다 푼다해서 실력 늘진 않잖아요. 실력은 딱 자기 실력보다 +1 정도 난이도를 뚫어내면서 늡니다
적어도, 최근 3개년 기출 지문들 중 이해가 안 가는 지문이나 선지가 없으셔야 합니다.
몇 번 반복해서 보더라도 '완벽하게' 이해한 상태에서 고난도에 진입해주세요.
(개인적으로 2~3등급은 자신있게 나오는 상태에서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것도 안 되는 상태에서 고난도 지문을 보면 뭐가 뭔지 답이 왜 그건지 70%도 이해 못 하실 거예요.
스스로 생각하고 깨우치는 게 아니라 해설만 찾게 될 거예요. 효율적이지 못할 겁니다.
5-2. 실전 모의고사
기출만큼이나 정말 중요합니다.
결국 우리가 목표하는 건 제한된 시간 안에 점수를 받는 거예요.
실력을 완성하려면 긴장감 있게, 제한된 시간 안에, 낯선 문제를 푸셔야 합니다.
교육청/평가원 모의고사를 꼭 수능처럼 활용합시다.
독재하시는 분들도 꼭 친구랑 같이 시험을 친다던가 학원에 신청을 한다던가 하여 최대한 긴장된 상태에서 시험을 치룰 수 있도록 합시다. (아직 실모 시즌이 아닌 만큼 실모 활용법은 추후에 더 자세히 올려보도록 할게요.)
---
유성국어 조예성입니다.
지난해에도 업로드했던 칼럼인데
저를 새로 알게 되신 분들을 위해 재업합니다!
1년간 국어 공부할 재료를 총정리한 칼럼이구요.
구체적인 국어 공부법 A to Z는
모레 12/18일에는 디오르비에서 무료특강에서 다뤄드리려 해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게시글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신청 막차 어서 탑승하세요.
현강에 오시는 분들은 더욱 현장감있는 강의를 수강하실 수 있을 거예요!
참여하시면 1년간 공부를 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거구요 :)
최소한의 도구 X 최대한의 적용
-
조예성(유성국어)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338/l
0 XDK (+1,020)
-
1,000
-
10
-
10
-
추가모집 라인 8
국 수 영 생 지 89 87 2 90 88 건동홍 3떨했는데 인서울~인경기에서...
-
합격 투표 0
.
-
현강을 다닐 수 없는
-
국어 노베이스 (문학 개념어 인강은 들엇어요 근데 수능국어 자체를 공부해본적이...
-
입학처 홈페이지 마감이던데
-
내가 해봄 이왜진
-
에타 가입 0
에타 가입 어떻게 하나요? 합격증 인증은 안 된다고 뜨고 학생증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ㅜㅜ
-
[Agent K] 피오르 2025학년도 정시모집 합격선 조사 5
https://forms.gle/S3XbcEZpmS6B8ePz5 입결표 작성에 큰...
-
현역 때 생지 해서 96 70 받았고(지구 그래도 3등급 이상은 떴는데 두 개 정도...
-
진짜 에반데.. ㅔㅔ
-
냥 최초합 서강 마지막날 전화추합 중앙대 2차추합 군외 유니는 아쉽탈…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다들 수고 정말 많으셨어요, 전 정말 쉬고 올게요 11
첫 휴릅 선언한게 고대 최초합 발표날이었을거에요 1월 24일 오전 11시. 새벽...
-
음 0
좋은데
-
국민대 미래모빌리티 몇번까지 돌았는지 아시는분 있나요?
-
하.. 눈치도 재능인가보다..
-
군적금 깬 거 등록금으로 넣었음ㅋㅋ 내가 공부 편하게 하려고 가는 거니 내 돈으로 내야지
-
웃는 사람도 아쉬운 사람도 모두 필연이겠죠... 2025학년도 입시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
원서질 잘했으면 어디까지가냐 + 서강대 문과 411 성균관 자연계 639
-
올해 입결표 4
볼만하겠노
-
974.48에서 끊겼네 ㄷㄷㄷㄷㄷ 오 신학사여. 그대는.......
-
중앙대 전추?? 1
전추마감은 6시인데 인터넷 조회는 왜 9시부터에요? 근데 이미 끝났는데 인터넷...
-
지방 메디컬 3
이런 생각이 정말 배가 불렀다고 느끼실 수도 있지만..그냥 고민상담 해주신다...
-
이번주에 수열의극한하고 다음주에 적분 기초한다는데 적분 기초부터 내신휴강 전까지는...
-
홈페이지로 추가합격이 더 돌 수 있나요?
-
이게 뭐지 진짜 분명 진학사 67왔다갔다했는데 ,,,,
-
채워졌나요??
-
^_^
-
아는누나 외고 일본어과였고 어디과갔는진모르겠음 (일어일문그대로갔을지도) 별건아니고...
-
ㅅㅂ 0
홍대한바쿠ㅏ도안돌앗음 0.6바퀴정도돌고끝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욕심이 많았나 2
욕심이 너무 많았다. 3떨하는 기분이 이런기분이구나 이 감정을 몰랐기에 원서를 너무...
-
자취방 구했다 7
두근두근 .....
-
동국 붙었습니다.. 11
이제 전적대 자퇴하러 감..
-
그래서 오티라도 가려구요..... 내일이 오티더라구요 지방러라 서울까지 하루만에...
-
살면서 이렇게 크게 슬퍼서 울어본 적 처음이다 진짜 죽고싶다 너무 가고싶었는데
-
9월에 입대하면 4
복학시기 꼬이나요??
-
내 경뱃줘
-
230번까지 돌았나요??? 아시는분ㅠㅠㅠ 제발요
-
홍익 추합 0
전화추합 끝났나요?
-
5칸 두개 떨구고 3떨 확정…. 상향 좀 잘 쓸껄…
-
공군 떨어지면 9
바로 시대인재나 스투 가야겠다
-
실시간 꿈만휘 7
추가모집 라인 알아보는중
-
새터 불참 5
오늘 추합된 학교 갈 건데 기존에 합격한 학교 새터 가서 놀다 와도 되나요? 안...
-
최종가니 경영 경제까지 다 때려잡은 느낌
-
RUN은 "런" 인가요
-
작수 화작 1문제 차이로 2떴는데 언매로 바꿀지 고민중.... 10
이정수가 말하기를 언매가 꿀이라고 소문이 퍼짐->허수들이 언매로 대거 몰림->허수가...
-
예상한 일이었고 미련은 없습니다
-
그러고 자퇴한 놈이 여길 왜 또 시험쳐서 들어오는 거야? "학고반수하려고요"...
-
입시랑 수능쪽에 종사하다보니 항상 입시철만 되면 오르비 기웃거리게 되는데 1년동안...
와 .. 진짜 너무 필요했던 글..
감사합니다
고전시가가 ㄹㅇ 공부안한 애들은 어캐푸냐 ㅅㅂ 소리 나오는데 제대로 공부하면 제발 고전시가 3지문 6문제짜리로 나오라고 빌게됨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ㅇㅈ합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퍼가요~
고전시가는 ebs 국어독해의원리인가 거기 고전시가 편에 있는 작품 보면 되겠죠? 70개인가 있던데
넵 맘에 드는 거 보시면 돼요. 만화로 읽는 수능 고전시가 교재도 나쁘지 않구요
선생님 이번 화작 100인 경우인데 시험이 쉬워서 그랬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이번 독서제재 같은 경우 어느정도 익숙한 제재들이 나와서 다른 평가원과 달리 용어의 정의된 개념이나 관계가 너무 쉽게 읽혔거든요. 보통 사설이나 평가원등에서 1은 뜨는 편인데 96,7이상 안정으로 받을려면 행동강령이나 습관 교정 말고 뭔가가 더 필요할까요? 아니면 감을 잃지 않고 현상태에서 유지해 쌓아가면 길이 보이는 게 답인가요?
낯선 문제를 제한된 시간안에 풀어가는 걸 많이 하시구요. 모의고사 형태가 가장 좋긴 합니다.
그리고 틀린 문제나 어려웠던 문제에 대해 그 원인을 명확히 분석해내야 합니다. 반드시 반복되는 무언가가 있을 거예요. 이 점을 어떻게 극복할지 생각하시구요.
1등급에서 안정적 1등급으로 가기위해선 내가 뭘 틀리는 거지, 어디가 약한 거지를 끊임없이 고민하셔야 해요.
추가적으로 실모를 치실 때는 80분 말고 70분 정도 시간제한을 두어 더 빡빡하게 치시구요.
비문학은 비독원이라는 강의를 통해서, 문학은 피램 풀면서 감을 익혔는데 이 이후로 문학은 문학론 강의 들을 예정이고 비문학는 이미 기출지문들을 많이 풀어봤는데 앞으로 비문학은 다른 강의 듣는 비중을 거의 줄이고 기출분석만 해도 되겠죠??
넵 어느정도 독해법이 확립되셨으면 기출 분석 단계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비문학 도구들이 7가지가 어떤것들을 말하는건가요 ?
지문별로 읽는법을 가르쳐주는건가요 ?
지문별 읽기방법이라기 보단, 정보를 처리하는 7가지 방식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