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911989Dq [980519] · MS 2020 · 쪽지

2022-08-27 21:54:53
조회수 8,376

최신 수완 반영한 윤사문제 하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172663


 최근에 지인 과외하면서 수완에서 인상깊게 본 제시문으로 만들어 봤어요:)


고대 서양 사상가 스토아와 플라톤이 공통으로 부정의 대답을 할 선지는 무엇일까요?



 1.불완전한 인간의 인식과 진리를 선과 닮은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2.이성적 존재자의 인식과 그로부터 얻은 진리를 최고선으로 보아야 한다.

 3.자연적 정념이 아닌 욕망과 같은 정념은 제거의 대상이 아니라 절제의 덕으로 다스려야 할 대상이다.

 4.정념에 사로잡히게 하는 육체의 불완전함을 극복해야 이성을 온전하게 발휘할 수 있다.

 5.이성을 통해 세상의 질서를 인식하기만 하면 왼전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911989Dq · 980519 · 22/08/27 22:15 · MS 2020

    사상가마다 각각 ox다 맞추시면
    진짜 윤리황 인정....

  • 확통통통 · 924096 · 22/08/28 01:56 · MS 2019

    답이 뭔가요?!

  • 난해낸다 · 1032343 · 22/08/28 02:16 · MS 2021 (수정됨)

    5번? xoxoxoxoxx

  • a911989Dq · 980519 · 22/08/28 09:15 · MS 2020

    !! ㅎㅎ 네

  • a911989Dq · 980519 · 22/08/28 17:54 · MS 2020

    아 참고로 스토아는 육체란 외부의 사건이기 때문에 극복해야할 것으로 보지 않았답니다! ㅎㅎ

  • a911989Dq · 980519 · 22/08/28 09:15 · MS 2020

    플,스 순 입니다!
    OO
    XO
    OO
    OX
    XX

    전부 수완 윤사에서 근거를 찾아 만들었어요!

  • a911989Dq · 980519 · 22/08/28 17:50 · MS 2020

    혹시나 OX 이유 궁금하신 분들은 댓 남겨줘요 쪽지 드릴께요! ㅎㅎ

  • 강민철추종자 · 1075201 · 22/09/09 04:52 · MS 2021

    늦었디만,,, O X 이유 궁금합니다!!! 답은 어케어케 맞췄는데 헷갈렸네요 •• ㅠ...

  • a911989Dq · 980519 · 22/09/12 18:23 · MS 2020 (수정됨)

    수능완성-플라톤 제시문에 최고선이 부여한 인식능력과 인식대상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그 부분을 읽어보시면 명쾌하게 해결될 것입니다.

    특히 제시문의 키워드를 그대로 뽑아서 만들었기 때문에 이해하시기 쉬울 것입니다.

    참고로 플라톤에 따르면,
    이성의 인식능력과 이성이 인식하는 대상들은 최고의 선. 즉, 선의 이데아와 닮은 것이지만, 그럼에도 같다고 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올해 트랜드를 따르면, 플라톤은 "스토아가 최고선인 자연법칙이 이성과 같다"라고 주장하는 점과 차이를 가집니다.



    별도로, 이 부분에서는 인식능력과 진리를 부여하는 이데아는 다양한 것이 아니라 선의 이데아, 하나만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예전 수능에 킬러로 출제되었던 "모든 선의 궁극적 근원인 최고선이 있다."라는 의미가 도출되었던 선지입니다.

    이 부분은 선에 궁극적인 하나의 원인은 없다고 말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대립각을 이루죠.

  • 작수국1 · 1164133 · 22/09/13 20:21 · MS 2022

    플라톤이 말하는 이성적존재자가 머에요?

  • a911989Dq · 980519 · 22/09/13 21:59 · MS 2020

    이성적인 존재자, 인간을 말하는 건데 제가 "-인"을 빼먹어서 헷갈릴 수 있겠네요 ㅠㅠ

  • a911989Dq · 980519 · 22/09/13 22:00 · MS 2020

    제시문에는 이성적 존재자라고만 되어있긴 하네요

  • 작수국1 · 1164133 · 22/09/14 12:22 · MS 2022

    플라톤은최고선을 이데아로 보는건데 그럼 인간으료부터 이데아를 볼 수 있다는거에요?

  • a911989Dq · 980519 · 22/09/14 22:01 · MS 2020

    그 부분이 중요합니다

    플라톤은
    인간이 선의 이데아를 인식했지만, 그것은 현실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내용이 선의 이데아와 닮았을 뿐, 선의 이데아와 같다고 보면 안된다고 했습니다.

    이 부분이 바로 스토아와 반대되는 부분이죠,
    스토아는 이성로 자연법칙을 인식할 뿐 아니라, 최고선인 자연법칙 그자체가 이성이라고 했기 때문이죠.

    스토아의 세계관에서 최고선은 현실을 초월하는 외부의 존재가 아니라 현실의 법칙 그자체라는 것이죠.

    그 부분이 제가 의도한 부분입니다!

  • a911989Dq · 980519 · 22/09/14 22:05 · MS 2020

    그러니 즉슨, 제가 그 선지가 플라톤에게 오답이라고 한 이유는

    인간이 최고선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인식능력과 인간이 인식한 대상 전부 최고선과 닮았다고 할 수 있지만, 최고선이라고 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최고선은 이 세상을 초월해 있기 때문입니다

  • a911989Dq · 980519 · 22/09/14 22:10 · MS 2020

    그리고 엄밀히 말해서 최고선을 이데아로 보는 것은 잘못입니다.

    이데아의 세계는 하나의 이데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데아가 서로 위계를 이루며 존재하고, 그 중에서 선의 이데아가 모든 이데아의 발생원인이자 동시에 궁극적 목적이 된다고 했죠.

    즉, 이데아는 최고선이 아닙니다.

    수많은 이데아들 중에서 궁극적 존재인 선의 이데아만이 최고선입니다.

  • 작수국1 · 1164133 · 22/09/17 11:34 · MS 2022

    이런문제 나오면 틀려도 억울하지 않을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