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어] -정답과 매력오답의 공통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80411
수학에는 없다.
국어에는 있다.
무엇일까?
그것은 최선 긍정형 발문!!!!
즉, 지문과 자료를 통해 가장 적절한 것을 묻는 형태의 문제.
수학에는 답이 딱 떨어지는 학문이기에 없고 고도로 주관적인 국어에만 있다.
사실, 모든 객관식 시험의 문항은 긍정형 발문형으로 만들어지도록 권장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험생의 혼란을 가중시켜면서까지 부정형 발문형이 시험에 많은 이유는
다음과 같은 출제자의 편의성때문이다.
1. 지문에~적절한 것은? (긍정형)
① 적절하지 않은 내용 ⇒ 가공
② 적절하지 않은 내용 ⇒ 가공
③ 적절하지 않은 내용 ⇒ 가공
④ 적절한 내용 (정답)
⑤ 적절하지 않은 내용 ⇒ 가공
2. 지문에~적절하지 않은 것은? (부정형)
① 적절한 내용
② 적절한 내용
③ 적절한 내용
④ 적절하지 않은 내용 (정답) ⇒ 가공
⑤ 적절한 내용
동일한 문제를 긍정형으로 만드는 것이 부정형으로 만드는 것보다 기존의 내용을 새롭게 가공할 것이 많아
출제자에겐 힘들기 때문이다.
위의 유형에 거기에 더해지는
수학에는 없는, 최선 긍정 발문형 문제!
매년 수능 국어에서 30%정도 출제되는 하는데...
출제자와 수험생에겐 어떤 의미인가?
먼저 출제자에게는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라고 했기에 복수 정답의 인정여부를 막는 수단이 된다.
정답과 비슷한 다른 것이 있어도 더 적절한 것을 발문에서 요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험생에게는 정답을 골라내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정답과 아주 닮은 매력오답이 있기 때문이다.
사실 국어 시험이 어려운 이유는 지문이 굉장히 어려워서가 아니라 정답을 매우 닮은 매력 오답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것을 역이용해보자.
최선 긍정형 발문에는 정답이 있고 이를 닮은 매력이 오답이 분명 있을 것을 미리 염두해보자.
즉, 5개의 선지 속에 가장 핵심 낱말이나 맥락 등 공통된 것이 많아 최대 닮은 꼴의 선지 한 쌍을 생각해보는 것이다.
여기에 정답 하나+매력오답 하나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문제 풀이의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다.
다음 닮의 꼴의 Rule을 생각해 보면서 문제의 선지를 살펴보자.
최대 공통성(닮은 꼴)?
1) 선지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핵심어나 서술어(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 등이 서로 동일(1순위)하거나 유사 의미성(2순위)을 이룸.
2) 서로 긴밀한 문맥적 관련성(1.대등 2.인과 관계로 연결)을 가짐
3)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대부분 내용과 특성을 포함함.
여기저기 여러 시험에서 가져온 것도 아니고
2015 수능, 가장 최근의 한 시험에서 무려 6개 씩이나?!!!
이를 통해 다음의 Rule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매력 오답'의 R u l e
선지의 일정한 패턴과 Rule을 통해서 정답의 가능성을 파악하여 문제 풀이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5개의 선지중 하나의 선지가 산술적인 정답의 확률은 20%이지만 가장 적절한 것을 묻는 최선 긍정 발문형 문제에서 최대 공통점(닮은 꼴)의 한쌍이 존재하는 경우 그 둘 중 하나의 선지가 정답이 될 가능성은 약 75%이다. (평가원 20개년 국어 시험 통계)
간파된 매력 오답의 원리 !!!
출제자는 가장 적절한 것을 묻는 문제에서 정답과 닮은 매력 오답을 만들어 수험생을 혼란으로 빠뜨려한다. 수험생은 이를 역이용해 최대 공통(닮은 꼴) 선지 한 쌍의 정답률이 75%임을 팁으로 활용하면 문제풀이의 감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올해 수능도 반드시 예외없이 활용될 것이다.
제대로 알고 활용하면 이를 아는 자와 모르는 자,
분명 성적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칼럼 요약 및 결론
* 지문을 읽기 전에 먼저 읽는 선지를 통해 최선 긍정형 발문에서 최대 닮은꼴(공통) 선지가 발견된다면 정답의 가능성(75%)을 파악해 볼 수 있다.
* 선지별 정답의 가능성을 알고 있는 자와 모르는 지문을 읽는 반응 속도와 수험생의 심리상태가 다를 수밖에 없다.
* 국어시험에는 허점이 있다. 시험의 법칙을 통해 자신의 실력을 극대화 시키자.
발문과 정답의 근거 위치: http://orbi.kr/0005772981
국어 공부 10계명: http://orbi.kr/0005750801
실전에서 무시 못하는 팁 http://orbi.kr/0005740117
전개 방식 풀이 노하우: http://orbi.kr/0005707766
지문 먼저 읽기 VS 문제 먼저 읽기: http://orbi.kr/0005690231
정공 독해법 VS 문제 풀이 기술: http://orbi.kr/0005666450
팁도 쌓이면 실력: http://orbi.kr/0005646997
기출은 과연 진리인가? http://orbi.kr/0005617619
습관화된 출제자의 심리: http://orbi.kr/0005594451
비문학 감각 충전: http://orbi.kr/0005570969
문학 감각 더하고 가자: http://orbi.kr/0005555609
서술상의 특징 문제 해결: http://orbi.kr/0005518786
2015 수능 현대시 모두 적용: http://orbi.kr/0005489483
정답과 부정형은 75%이다: http://orbi.kr/000546938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반수하는데 대성에서 수학 선생님 추천좀 작수기준 3등급임 미적에서 26부터 다틀리고...
-
왜 몰랐지
-
Sec Sec 1
다 봤습니다
-
맘터 싸벅이 다 압살하는 거같아요
-
술먹으러 간다 2
-
실모 하프모는 계속 풀고싶은데 n제는 뭔가 오래 풀기가 싫음
-
어떻게 버려야하지 ...
-
이번 5모 기준 언미물2화2 91 96 1 48 50 5모딸 의미없는건 아는데...
-
캡쳐했습니다. 6
덕코를주지않으면
-
본인 방금 4
신분증 검사함 아 ㅋㅋ
-
원원으로 어디 의대까지 될거같음요?
-
다른 카페 블로그 보니까 신상이 바로 특정.... 오르비언들 모두 조심합시다
-
Hello Everyone, My name is Ryan from Centum...
-
현역 수능 언미물화 42323 (66 91 88 78) 재수 6모 언미물지...
-
A=200 B=300으로 잡고 푸니까 ㄱ=15 ㄴ=21인가 20은 절대 아니게...
-
아직도해가안졌다고 17
-
평가원스럽지않다이말임
-
걍 끄적끄적 적어보는 글이라 음슴체예요. 중2 때 실음과 가고싶다고 하루에 연습...
-
안녕하세요 team AXIOM입니다 간단한 설문조사이니 참여부탁드리겠습니다!
-
어딘가에서 계산 실수가 있을텐데 해설 보긴 귀찮은데
-
이사람들은 사실상 3과목만 준비. .
-
6모 전까지 김종익 선생님 개념강의랑 수특 하고 6모 이후에 현돌 기시감 하려고...
-
충전기잇 1
충전기 망가져버림
-
진짜 미친새기들인가 표 그릴 공간은 달라고 ㅋㅋ
-
….
-
작년에 개념 기출 한번 돌림 작수 생윤:백분 99 윤사:기억 안 남(아마 동양철학...
-
개념강의만 듣기엔 허전해서 병행하고 싶습니다..
-
왜 저학년은 스타트업 프로젝트 하지 말라고 하는지 알 것 같다 1
나도 알고싶지는 않았는데
-
살바도르 달리 생일임
-
2025학년도 6평 12번 이런식으로 기출년월 안 쓰여있으면 자작인 건가요?
-
물1 만점
-
하 어케 줄이지 미치겠네
-
생윤 사문 6모 전까지 수특 마더텅 둘 다는 못끝낼 것 같은데.. 어떤게 우선일까요,,?
-
저녁메뉴추천좀
-
통과 예시문항 0
8 생태계때문에 의문사 22 24 25 이건 25빼고 손 거의 못 대서 28분...
-
아이패드 어플 제한할수있는 방법 있을까요.스스로 통제가 안되네요…
-
25 수능 미적 88점 1등급 예측 22 수능 미적 1등급 88 예측 대타타
-
전 수학N제 쇼핑하고 사는거 좋아하는데 히히
-
속 ㅈㄴ 미식거린다..
-
카이스트 정시 노리고 있는데
-
독재출근 0
과탐조금하다감
-
바닷물이 자꾸 철"썩"이니까 그런거였네...다들 알고 있었음?
-
5모 결과 1
언제나옴?
-
우리 집에 가면 37
책상도 있고~
-
히든카이스 저자시구나 ㄷㄷ
-
걍 투과목 하라고 했음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버스에서 6
누가 어깨 기대서 졸길래 이게뭐람 하고 피하려 했는데 예뻐서 그냥 종점까지 감
-
대전에서 시작한 학원이 이름에 대치 달고있는게..
개꿀
^^
감사합니다 작년수능에 칼럼들보고 많은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