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망하지 않는 법 2 - 실모 활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755133
*쑥마늘 시절 칼럼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이미 봤던 내용!
실전모의고사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굉장히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이 실모를 풀어야 한다는 건 아는데, 실모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더라고요. 실모의 의의는 단순히 풀고 채점하는 데 있는 게 아닙니다.
약간의 사견을 덧붙이자면, 실모는 ‘실전 연습’을 하기에 적합한 콘텐츠는 아닙니다.
문학은 평가원과 사설 사이의 괴리가 굉장히 심하기 때문에 평가원 문학을 푸는 느낌을 구현해낼 수 없어요. 평가원 문학의 느낌을 구현하려면 ‘깔끔한 어려움’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실모는 ‘깔끔함’과 ‘어려움’ 두 마리 토끼를 잡지 못합니다. 그렇다고 깔끔하게 내자니 너무 쉬워지고, 어렵게 내자니 소위 말하는 더러운 문제들 내지는 문제 오류가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평가원의 시간 분배를 연습하기는 살짝 애매해요.
다만 그럼에도 평가원과 비슷한 형태의 시험지를 45문제 단위로 풀어보는 경험은 의미가 있고, 실전모의고사만의 특징은 분명히 존재하기에 저는 잘 활용하는 게 가능하다면 많이 풀어보는 것도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실전모의고사를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우선 실모를 푸는 과정은 전제되어야 하겠죠. 실모는 평가원이 아니기에 문제와 지문에 대한 분석을 하는 건 부질없다고 봅니다. 기본적으로는 실모도 사설이니 2-3번에서 언급한 것처럼 진행하시면 되는데, 거기에 한 가지만 추가해주시면 실모를 온전히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앞서 문제 및 지문에 대한 분석은 무용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만, 그럼에도 실모에서 분석해야 할 부분은 있습니다.
바로 시험 운용에 대한 분석입니다.
실모를 풀기 시작했다면 80분의 시간 동안 온 힘을 다해 점수를 확보하고자 노력하는 건 당연한 거겠죠? 그 과정에서 여러분들의 시간을 앗아가는 쓸모없는 동작들이 분명 존재할 겁니다.
간단히 저를 예시로 들자면 저는 문제가 막힐 때 넘어가는 걸 작년 6평 이전에 시도해본 적이 없어서 23번 문제 하나에서 50분을 쓴 경험이 있거든요. 지금 생각해보면 미친 행동인데, 충분한 연습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수능 당일에 이런 짓을 할 수 있으므로 실모를 통해 거슬리는 동작들을 최대한 줄여나가는 걸 목표로 학습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기출 이해도가 높다는 걸 전제로 추천하고 싶은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시간 운용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사설 비문학 문제의 원본을 직접 찾아내서 풀어보는 것인데요. 약점을 찾았으니 이걸 극복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연관 기출을 풀고 행동영역을 점검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사설을 기준점으로 잡고 풀면 우리가 만들었던 평가원을 기준으로 한 ‘생각의 틀’이 무너질 수 있기에 기출로 행동영역을 점검하라고 말씀드리는 거고요. 혹시 이 과정을 혼자 하기 버겁다고 느끼신다면 강사 실모의 경우 관련 기출을 수록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그걸 활용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단, 이 과정에서 어느 영역을 몇 분 안에 끝내겠다는 기준을 잡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직관적인 예시로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는데요. 당시에는 화작은 날로 먹는 파트라는 인식이 팽배해서 화작은 N분 컷 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당해 수능에서 화작이 어렵게 나오자, 많은 조상님들이 시간 관리에서 실패했다는 압박 때문에 전반적인 시험 운영을 제대로 해내지 못했고요. 특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그거에 맞춰서 푸는 게 아니라, 풀다 보니 일정한 시간에 맞춰진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문제풀이 순서를 시험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해진 순서는 없습니다. 대신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안정적으로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방식을 택하세요. 수능은 운의 비중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시험이지, 행운이 올 거라고 자신하고 도박을 걸 만큼 만만한 시험이 아닙니다. 상한선을 끌어올려서 나올 수 있는 점수대를 높인다는 발상도 좋습니다만, 우리의 시험은 단 한 번이고 그 하루에 모든 게 결정되기에 결코 운에 의존할 수 없습니다. 정말 현장에서 운이 좋아서 잘 보면 이상적인 결말이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유감스럽게도 수능을 망쳤다고 말하는 사람들 중 하나가 되어버립니다. 그래서는 안 되겠죠?
요약하자면, 실전모의고사는 우리에게 남아있는 쓸모없는 동작들을 걷어내고, 최종적으로 필요한 행동영역을 점검하면서 실전에서 마주할 수 있는 변수들을 최대한 줄여나가기 위해 활용하는 공부 재료입니다.
적절히만 사용한다면 하한선을 높이기에 가장 유용한 콘텐츠라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년 자연 경한 논술이 수원이었다는데 올해도 수원일까요 저는 인문인데 인문도 수원인가요? ㅠ
-
다닐만 한가요 신청 넣어놨던거.. 자리 남았다고 연락 왔는데 지하철 4정거장 거리임
-
맞팔 제외 팔로우가 그 연의생이랑 늙노 yo.yo햄이었는데 셋다 돌아가셨네
-
시대 박종민 2
공통반 미적반 자료 다른가요?
-
광역시 위치도 제대로 못 찍는 고딩들 많을텐데 28통사 한국지리랑 좀만 엮어서...
-
문과 올 백분위 96이면 보통 어디까지 갈 수 있음? 2
화작확통정법사문인데 올 96 뜨는거임 BB고 절평(영어 제2외 한국사) 감점...
-
오늘 드릴6 미적 하루컷 낼려고 했는데 목감기로 컨디션 ㅈ박음... 0
이건 내 실력이 아니야!! (뚜방뚜방)
-
작년 설맞이 아카이브를 1달전에 풀었는데 설맞이 s2는 많이 다르겠죠?? 아니면...
-
자지 1
-
점메추... 6
점 메 추 . . .
-
시대 박종민 5
라이브 신청하려고 하는데 공통반 미적반이 무슨 차이인가요..?
-
D-100,99 1
D-100 아파서 쉼 D-99수학 -쎈 지수,로그,지수함수 파트 국어 -브크 복습...
-
어떻게든 커피 때려부어서 깨어있는중ㅠㅠ
-
어떻게 올리냐
-
으어 2
어제 8시-12시 이상한 시간에 4시간 잤더니 힘드네
-
잠을 적게 자니까 수학 계산실수가 몇 개냐 하... 참
-
6모 미적 88이고 정체기인데 시대 라이브 수업은 웬만해선 안 듣고 자료만 받으면서...
-
저거도시락통깊어요 꽤.... 두부2/3모에 밥한공기 + 간장 채소랑 과일들
-
홋카이도에서 낳고 키울거임
-
BIS지문 정도 난이도가 다음수능에 나올가능성은?
-
아니 강윤그 2027강의를 벌써 찍는건 뭐임 ㅋㅋㅋ 3
ㅋㅋㅋㅋㅋㅋ 시간이 너무 많이 남나
-
최근 약국 쪽이 몇년 사이에 진짜 상황이 안좋아진 듯 14
조제료 1600에 일매 50-60되는 약국이 이제 2억 대출받았다고 가정하고,...
-
17살에 대학교 보낼거임 고등학교 안보내고 검정고시보게해서 남들보다 3년 더 빨리...
-
약대 교과 추천 1
내신 1.10 농어촌 학생입니다.생기부는 신소재 쪽이고수시 카드 두장에 약대 교과를...
-
임계탄 작품 뭐라는건지;;
-
잇올 개줫같다 4
아 시대나 강대갈걸 에휴
-
실패 !
-
아 건드려볼걸 0
괜히날렸네
-
성(색)에 대해 심도있게 배우려면 어느학과를 가야함? 3
생물학과는 이런거 안가르쳐 주던데 물리학과를 가야하나? 아님 철학과? 참고로 본인 아다임 ㅇㅅㅇ
-
돈 도 많은데
-
얼버기 1
-
브레턴우즈 처음 풀때 다맞은 고능하신분들 있나요? 이런 지문 수능에 등장해서...
-
재수생이고 수학과외하는데, 쌤이 기출코드 추천해줘서 이걸로 같이 하고있어요. 인강을...
-
왤케 저평가되지 장카설 라인에 넣어도 전혀 안 꿀리는데
-
할말이있어. 19
점메추
-
수능운영 목표가 널널하게 화작 12m 독서론 3m 문학 30m 독서 2지문 30m...
-
수학 질문좀요 0
이거 이차함수 길이 공식 안쓰고 풀 수 있는건가요?
-
수강신청시이이이이이 26
못일어날가바밤까지샛는데진자개처망햇네그냥수능다시볼까
-
진짜 눈물난다 6
국어가 4년만에 드디어 뚫리네 진짜 올핸 갈듯
-
신검이라니 5
4, 5급 받고 싶지먄 받을 건덕지가 없네요...
-
점메추 좀 3
저메추일 수도 있고
-
지문을 매우 잘 읽고 나서 문제의 한 선지를 봤을 때 이거는 당연히 맞다/틀리다 가...
-
실력이 눈에띄게 오르길 바란건 너무 양아치마인드겟죠..? 제법 초조함
-
이제 롤대남들 다 처벌 받는거임???
-
미시적관점 개꼴리네
-
지나가는 사람이 ㅈㄴ 못생겨서 봤는데... 알고보니까 거울이었어,,
개추

그래도 실모 틀린거 오답은 해야겠죠?네네 대신 얽매일 필요는 없어요 특히 문학
...근데 반수하세요?

아 반수는 안 하는데그냥 오답해라는 말이 없길래 읽으면서 생각난거
적은거예요
실모 오답은 당연히 할 거라고 생각해서 안 넣었어요
설마 채점했는데 오답을 안하겠어요...?

안 해본적 몇번 있 읍읍옙. 19를 학교다니며 친 조상으로, 저는 당시 화작이 안넘어가져서 "아, 공부를 안했더니 이렇구나"하고 넘겼던 기억이있어요. 오히려 열심히 했던 친구들은 더 당황했을것 같더라구요.
그럼에도 원점수 97점을 쟁취해내신 국어황
뭐는 몇분 그런틀에 얽메이지않아서 잘 볼수있었던거 같습니다ㅇㅇ..
글이 직설적이라 너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