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월 [1360865]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8-05 10:47:10
조회수 1,262

사설 모의고사의 ”위험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62447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1836019

[칼럼글 모음]

https://orbi.kr/00071856903

[국어학습총론] 링크 모음

https://orbi.kr/00072149074




안녕하세요


현월입니다




100일이 남았습니다


슬슬 실모 시즌이 다가오고


국어 실모도 많이들 푸실 시기가 다가오고 있지요




사설 모의고사, 특히 국어의 경우


평가원과는 그 결이 다릅니다


풀어야 한다, 풀지 말아야 한다


말도 많지요




저는 그런 말씀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푸셔야 합니다


실전 연습은 항상 필요합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것은


바로 사설에 매몰되어


기출 학습을 놓아버리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올해 초에 작성했던 칼럼에서 다루었던 바 있어


이 시점에서 한 번 더 상기시켜 드리고자 합니다


다음은 원문에서 발췌한 부분입니다


----------------------------------------

[원본글: https://orbi.kr/00072453787]
:국어학습총론 part.1 (2) 기출학습의 목표치


절대로, 기출을 놓지 마세요


위에 말씀드린 내용의 연장선이자

어느 정도 상위권이신 분들을 위한 내용입니다.


기출이 어느 정도 학습되고

사설 텍스트를 통해 훈련하는 1등급 이상의 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치명적인 실수가 있습니다.


N일 1실모같은 것만 돌리면서

기출을 아예 놔버리는 것입니다.




이것이 왜 문제가 될까요?


평가원과 사설은 문제를 구성하는 논리가

미묘하게, 때로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특히, 가장 큰 차이는 '추론의 깊이'와 '지엽'에서 나타납니다.




왜 그런지 이해해 봅시다. 

평가원과 사설 기관은 문제를 만드는 목적이 다릅니다.


평가원은 학생들을 평가하기 위해 문제를 만들지요.

그것도 일 년에 단 세 세트를, 최고의 권위자들이 모여 만듭니다.


사설 기관은, 장사를 하기 위해 문제를 만듭니다.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국어 실력을 평가하는 것도

깔끔하고 깊은 논리도 아닙니다.


좀 격하게 말하자면


커뮤니티에서 욕 먹지 않으면서, 적당히 등급컷이 나뉘는 것


이거면 되는 겁니다.

게다가 일 년동안 십수 회분을 찍어내지요.




결과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커뮤니티에서 욕을 먹지' 않으려면, 좀 순화해서

학생들에게 적당히 좋은 여론을 형성하려면

선지 정오의 근거가 반박 불가한 자명한 사실이어야 합니다.


'추론 문제'를 높은 수준으로 출제하면서

그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을까요?

물론 가능하기야 하겠죠.

하지만 우리는, 사설 기관들은 매우 많은 모의고사를 만들어야 함을

간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평가원같은 퀄리티로, 오류 없이, 아름다운 추론 문제를 만든다?


힘들어 보입니다.


게다가, 학생들은 사설 기관에게 매정합니다.

평가원 시험에서 어려운 문제를 틀리면

'아, 내가 부족하구나'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사설에서 틀리면 '뭔가 잘못되었을수도 있지 않을까' 의심하고

해설지를 봐도 계속 다른 생각이 든다면

결국 커뮤니티 가서, 깝니다.

아니면 친구들에게 실모 욕을 하지요.




'아, OO모의고사 논리 진짜 ㅈ같더라 ㅋㅋㄹㅃㅃ'

'나 평가원 고정 1인데 XX모의고사 78점 뜸 이거 뭐냐 ㅋㅋㅋㅋ'




그렇다면 여기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추론 문제를 난이도 있게 출제하지 않으면 됩니다.

하지만 다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변별이 안 됩니다.


'아니 OO모의고사 N회차 왤케 쉬움?'

'그냥 내용이 없음 개별로임'

'아 좀 잘봤다 했더니 1컷 96이노 에휴다노'




이를 피하기 위해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세부 내용을 무겁게 다루어 선지 판단을 지연시키거나

매우 복잡한 적용 문항을 출제하여, 시간이 걸리는 정량적 판단을 요구하는것

등이 있으며, 실제로 많은 사설 모의고사에서 보이는 특징입니다.




따라서, 평가원 기출을 멀리하고 사설만을 풀게 되면

큰 줄기를 따라 빠르게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힘은 무뎌지고

자꾸 세부 내용에 집착하고 외우려고 하게 됩니다.

지문 읽는 속도가 느려지는 것이지요.

그리고, 평가원에서 출제하는

지문의 개념을 장악하고 풀어야 하는 문항들

그리고 세부 사항에 집착하기보다는 굵직한 논리로 풀어내는 문항들을

판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습관은 무섭습니다.

이는 결국, 수능날 국어 시간이 부족한 사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말 무서운 것은, 많은 학생들이 사설 컨텐츠를

'파이널 기간'에 접한다는 점입니다.

이미 6평이 끝난 이후이지요.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도 모른 채

무작정 사설 모의고사만 응시하다가

수능에서 피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건 저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매번 말씀드리지만, 저는 직접 경험하지 않은 것을 논하지 않습니다.




절대 기출을 놓지 마세요.




당신이 아무리 국어를 잘 한다고 느끼더라도

절대로 놓지 마세요.

저는 여러 유명한 사설 모의고사(이감, 상상, 강K, 더프 등등)에서

거의 진폭 없이 원점수 95~97을 오가고 있었음에도

수능 전날까지 기출을 보았습니다.

더 강하게 말하고 싶지만 이만하겠습니다.

정말 중요합니다.

기출 놓지 마세요.

----------------------------------------




얼마 안 남았습니다


하던 대로 해나가 봅시다


항상 응원합니다




rare-夜に駆ける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