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수능, 세계사 응시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37708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출 문제집 중에 평가원 모의고사로만 모아둔 형태로 나온 괜찮은 문제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말 그대로 평가원 모의고사만 나와있는 기출 문제집이요 (유형별x) 마더텅 같은...
-
아 열받아 0
그래도 약점체크 했음
-
14번 해설에서 수직 솔직히 생각못함 ㄴ으로 ㄷ을 풀겠다고 접근하려면 ㄴ을 가정할...
-
14 15 22 중 죽음의 삼지선다하다가 이도저도 못했네 아오
-
성공하시고 인싸 되셨잖아 찐따, 아싸 여러분 재수했다고 주늑들지 마십쇼 준반형처럼...
-
돈,일정 제약 없으면 어디 여행가서 뭐 해보고 싶어요? 3
예시) 나라는 모르겠고 오로라 관측하고 싶어요! 파리 가보고 싶어요 등등 !!...
-
복영 얼마정도 하는 지 아시는 분 있나요??
-
개 많이 됐다는데 집으로 빤스런 칠까
-
2019 현역인데 여러가지 사정으로 수능을 재도전하려고 합니다 고딩 때 3년 내내...
-
ㅋㅋ
-
확통 친구들 모고 풀때마다 14 21까지 잘 안풀리면 그냥 확통하자 이제는 늦은거...
-
보정 심한가요?? 김승모 2회 언매 84인데 백분 97이라고 나와서
-
친구가 보내주길래 어이없어서 봤네요..ㅋㅋㅋㅋㅋㅋ 미래에는 과목들이 다 통합돼서...
-
솔직히 설의는 누워서 공부해도 합격할듯;;
-
국어강사들 가르치는 비문학 방법 이정도가 전부 아님? 3
1. 정의된 문장에서는 단어보다 뜻이 중요 2. PS(QA) 구조 3. 앞내용과...
-
하 기분좋노 0
캬캬
-
오늘따라 바람 ㅈㄴ 순실순실하게 부는 것 같아 박제
-
예쁜 나의 예쁜 나이 25살
-
ㄴㅇㅅ
-
가령 y=tanx는 연속함수냐? 이런건 수능에도 안나오고 논술에도 안나옴 가장 큰...
-
이게 왜 진짜임..
-
태어나서 축구 딱 6번 해봤는데 골키퍼 하다가 머리 박음
-
7모 수학뭐임 1
7덮보다가 7모보니까 ㄹㅇ 천국이 따로없네 7덮 80점이었는데 7모 96점 나옴 ㅋㅋ
-
반수생 실전연습 0
실전연습을 9모 직전부터 수능까지 2주일에 한번정도 실전처럼 하루 날잡고 시간...
-
있을까요?? 예전에 배성민 선생님인가 이런 문제집 출판하셨던것 같은데 지금 딱 그런...
-
다이소 굿
-
ㄷ중복합격 포함? 작년 설연대고대 229명 여전히 잘나감 ㅊㅊ
-
지금 난 오우임 0
석이 나갔거든
-
개어렵네 케이스분류 ㄹㅇ 차라리 수능 확통 쉽게 나오는거면 이런문제는 버리고...
-
평가원마냥 애미가없는데 평가원이 만든거면...
-
귀여움의 재능이 있고싶음 모든 행동이 귀여워보이고 싶음
-
믿을만 한곳인가요?
-
수특으로 수1수2확통 개념을 잡은뒤 기출 6개년정도(20~25) 평가원, 학평...
-
생2 수완뭐냐 0
갑자기 퀄리티가 다 업글되었는데,,,,,,, 만든분들 기해분 풀고오심? 기해분에서...
-
직접 찾아옴....
-
칸트 : 인간은 자연적 본성을 따라야 하며 자기를 보존하는 것을 의무로서 지켜야 한다 0
-> 칸트는 모든 인간을 목적으로 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그 모든 인간에 자기...
-
학창시절에 원주율 파이 소수점 100자리 외우는거 했는데 님들은 해봄?
-
지1 크로녹스나 화2 어나클 느낌으로다가ㅇㅇ 그나마 엣지가 비슷한데 이거만으로는 부족하고
-
고2 정시파이터인데 김승리 프로젝트 될 이랑 훈련도감 같이 들어도 될까요? 훈련도감...
-
오늘좀 이상하네 1
얼굴이 약간 작아진느낌드네 기분좋노
-
평가원 29번엔 사설과는 다른 ”정교함“이 있어서 시발 나도 왠진 모르겠는데...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리트를 꼭 해야할까요 너무 어려워서 중간에 내신 핑계대고 하다가 말았는데 300제...
-
수특 지구과학 0
수특 지구과학에 케플러 망원경이 식 현상을 이용해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지 아닌지...
-
안동여고 안동여자고등학교입니다. 최순실 딸 부정입시에 이어 숙명여고 현씨 자매...
-
정시인데 입학할때 성적 어느정도여야 장학금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
등급 변동의 여지가 완전히 사라져서 무한n수문화도 소멸 아마 나도 4등급대 받고 지잡인생살았을듯
-
내가 안 할 거 같음더 죄송해지느니 올해 끝을 보는 게 맞는 것 같다
-
선호도 어디가 우위임?
-
특히 수능에서는 더 안 나와요 표본이 너무 많잖아요 ㅋㅋㅋㅋ 그리고 이 담론에서...
1번은 부분적 공감. 점수는 안정적인데 시간이 너무 많이 듦
2. 경제 일본어 세계사 하지 마세요 (개인적인 의견 + 공론)
글쎄요 아무래도 제가 2학년 내신 베이스가 있어서 그런 걸까요?
그래도 1월 내로 결정하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나중에 가서 세계사로 돌리는 건 ㄹㅇ 반대함
사실 역덕들이랑 일반사람이랑 차이가 많이 나서.. 뭐라고 일반화하기 어려운 면이 있죠.. ㅎㅎ
그런가여 ㅋㅋ;; 뭐 결정하는 건 수험생 본인이죠. 적어도 역사를 싫어하는 사람은 세계사 안 할 거란 전제를 깔아두고 썼습니다.
1월중순에 노베이스로 시작하는건 괜찮겠죠??? 3학년내신이기두해서요
괜찮습니다. 당연히 3학년 내신이면 겨울방학 시간도 많으니 미리 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401651
내년에도 이와 같은 구성이니, 입학식 전까지 가볍게라도 끝까지 훑어보세요.
3학년 내신이고 본인이 좋아하면 강추함
왜 세계사 하지 마시란건가요???
양이 많은 게 엄청난 단점이기 때문입니다
여기다 첨언하자면 저는 세계사를 2단위, 두 학기 걸쳐 배웠습니다. 이렇게 장기적으로 볼 땐 숙달하기 좋습니다만 나중에 6평 끝나고 시작하면 엄청 힘듭니다. 보험 혜택 못 받아요 ㅠㅠ
전 아이티는 맞고 코페르니쿠스 틀렸네요..ㅋㅋ 계속 1맞다 수능때 2맞은게 좀 아쉽지만 진짜 재밌게 공부해서 좋았어요ㅎㅎ 역사는 파고들면된단말 공감! 진짜 좋아하면 재밌어요
그러고보니 코페르니쿠스 문제가 그 다음으로 언급이 많았죠 ㅎㅎ 제시문의 어려움보단 ㄱㄴㄷㄹ 선지가 좀 어려웠다고 보는데 님도 그렇게 생각하세요?
네 제시문은 무난했던것 같아요 ㅋㅋ 현대쪽에서 변별문제가 나올줄 알았는데 의외였던 기억도 있네요
감사합니다 ㅠㅠㅠㅠ 재수시 세계사 할까말까 엄청 고민하고 있었던 참이었어요
ㅎㅎ 수고하세요
저는 개인적으로 비추요. 현역 재수 둘다 세계사 햇고 둘다 50 맞았습니다. 14수능 때 만점 받아도 백분위가 97이였던 걸로 기억하네요. 내가 쉬운만큼 남들도 쉽고 선택자 수 많아서 백분위가 안정적으로 안뽑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서 비추요.
흠... 맞아요 만점을 받아도 14처럼 만점자가 8%?? 쯤 나오는 일이
벌어지면 백분위에 불이익이 생길 수도 있죠...
그치만 이건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올해 난이도처럼 단순히 가능성에 맡길 일이고
님 생각에도 일부 동의는 합니다
이건 결과적으로 수험생 본인이 선택할 문제라고 봅니다
아니 근데 14수능 만점이 백분위 97이라고요? 96으로 찍히지 않았나..
97맞습니다 한국사가 96이엿구요
그렇군요
2년연속 수능세계사 만점받은 학생입니다. 전 재수때 세계사 공부를 하다하다 할게 없어서(세계사는 풀 문제집이 기출과 ebs밖에 없으니) 킬러문제를 잡기위해 좀 중요하다싶은 사건들의 연도와 세기를 다 외워버렸어요. 무식해보일수도있지만 진짜 실전에서는 고민없이 술술 풀리게하더라구요. 이번에 코페르니쿠스문제도 1543년 외워놨더니 (선생님도강조하셨고 1543 숫자배열이 인상깊어서) 그 문제는 고민없이 풀었던것같아요.
아주 좋아요. 힘들긴 무지 힘들지만 연도 외우는 게 끝판이죠
저도 아이티 독립 1804인가 외워서 맞춤ㅋㅋㅋ 년도 외우기 짱짱맨
14수능 대비기간 여름방학때 한지>세계사로 갈아타서 만점맞았었던 사람입니다. 전 개인적으로 이다지 선생님 강의들었는데 이정도만 들어도 될거 같고 ... 역사잘맞으면 시간도 별로 안걸립니다. 나오는데서만 나오는 식이라...저같은 경우 한지공부의 1/2정도만 부었는데도 고득점가능했고요. 그렇게 비추할거까진 아닌거같은데...
오 축하드려요 ㅋㅋ 머 제가 뭐라 하든 결국엔 만점 받아버리면 그만입니다
하~ 예전 탐구 4개 할때 세계사가 제일 재미있고 좋았었는데
국사 48 근현 47 윤리 47로 하나씩 틀려서 가슴아팠는데 세계사 똭 50 나와서 기뻤던 적이 ㅋㅋ
고3내내 공부하면서 국사는 답답함 근현은 지루함 윤리는 말장난에 답답했지만
세계사만큼은 배울때 행복하고 상식이 팍팍 느는 느낌이라 공부 그 자체가 미칠듯이 좋았죠...그때는 3역사 3지리 덕후도 흔했는데 요즘은 2과목이라.... 지금도 베트남 쩐홍다오랑 고싸부가 가르쳐 주신 몽골 칸의 계보, 영웅들 (바투, 오고타이 차가타이 주치 몽케 쿠빌라이)이야기가 주마등처럼 지나가네요 ㅋㅋㅋ
진짜 세계사 한창 팠을때는 혼잣말 계속 중국 근대사나 유럽 혁명사를 1시간 내내 차 안에서 부모님한테 들려드리곤 했었는데..
세계사가 가장 좋았고 재미있었는데.. 지금 이 나이껏 가장 덕본 과목이기도 하네요.
고싸부 교재에 있었더랬죠.. "세계사는 모든 법,사회과학 등 모든 인문학문의 근간입니다"
세계사 만세!
세계사 만세!
이분 저랑 진짜공감 재수때 일년동안 세계사 딱 세문제틀렸어요 배신안한다는거 ㄹㅇ 따른친구들 생윤하다가 통수맞고 얼얼해할때 사탐 5050깔고가죠
하 한국사만 아니엇어도 흠흠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이다지샘 강의듣고 만점받았는디ㅋㅋ
공부방법 격공합니다 ㅋㅋ
감사합니다 ㅋㅋ
근데 아이티 진짜 ㅇ앙러ㅗㅗㅓㅗㅗ멓ㅁ
러시아 나올줄 알고 공부했는데아렁너ㅗㄹ모라ㅓ몰모리 ㅠ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