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포메 [1379993] · MS 2025 · 쪽지

2025-07-17 15:10:26
조회수 1,667

대입에서는 딱 물어보는거에만 관심을 갖는게 중요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63289

가령 y=tanx는 연속함수냐?


이런건 수능에도 안나오고 논술에도 안나옴


가장 큰 이유는 교과서에서 안다루니까


교과서에서 다루는건


x=a에서 연속임을 판정하는것

특정구간에서 연속을 판정하는것

특정구간에서 연속이면 그 함수는 해당구간에서 연속함수라 한다는것


구간 I를 지정하고 I에서 이 함수가 연속이냐만 물어보지

덮어놓고 이 함수 연속임? 아님? 이런 질문은 하지 않음





책에도 없고 시험에도 안나오는거에 대한 질문은 대학가서 하는게 좋을거 같음

대학은 그런거 하러 가는거니


수험생은 딱 시험에 나올거만 공부하고


그렇다고 시험에 나올지말지에 대한 기준은 자의적으로 정하지는 말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오게이 · 1393819 · 4시간 전 · MS 2025

    ㅇㄱㅁㄸ

  • 당신과의키스를세어보아요화요비쿵야 · 1278528 · 4시간 전 · MS 2023

    탄젠트함수가 연속함수인가요??

  • 입실렌티제이홉 · 1129331 · 3시간 전 · MS 2022

  • 시간을 달리는 토끼 · 1399033 · 3시간 전 · MS 2025

    보통 아무말 없으면 실수 전체니 연속함수는 아니네요

  • 매포메 · 1379993 · 3시간 전 · MS 2025

    아무말 없으면 실수전체는 정의역을 그렇게 간주한다는거지 연속여부는 다른얘기입니다

  • NeurIPS · 1277071 · 1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보통 아무 말이 없으면 정의역은 실수체 (혹은 맥락상 함수의 input이 되는 전체집합) 중에서 함수가 정의되는 곳입니다

    애초에 함수를 정의할 수 없는 점을 정의역에 포함시키면 안 돼요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1/x이 x=0에서 불연속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그냥 거기서 정의 자체가 안 돼서 연속성을 안 따집니다

  • Life · 1337545 · 3시간 전 · MS 2024

    뭐 더 안다고 손해는 아니니 궁금증을 해소하는 것도 나쁘진 않지
    어차피 시험에서도 실제로는 맞지않는 내용을 기반으로 문제를 출제할 수는 없으니

  • 매포메 · 1379993 · 3시간 전 · MS 2025

    수험생에게 시간은 매우 한정된 자원이니 시험에 안나올걸 굳이 찾아서 생각할 필요는 없죠
    필요한거 이외에는 생각하지 않는법도 시험을보려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Life · 1337545 · 3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그야 그렇지만 사람이 잠만자고 시험공부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까요

  • 논리화학 · 746146 · 3시간 전 · MS 2017

    ㄴㄴ 적절한 수준의 호기심은 더 깊은 이해를 불러오기 때문에, 충분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핵심은 “내가 교과외를 궁금해 하고있다“는 메타인지까지 가지면서 궁금해 하는거고요.
    그렇지 않은 호기심은 쓸데없는건 맞지만

  • 매포메 · 1379993 · 3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저는 연속함수의 담론이나
    거듭제곱근에서의 생각을 교과서수준보다 더 하는게
    대입에서 어떤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뭐 세특쓸때 도움이 되려나요?
    추론을 통해 결론을 내는 영역이면 호기심을 갖는게 좋지만
    정의의 확장은 어차피 상위학년에서 이미 답이 나오기 때문에 결이 다르기도 하고요
    그리고 수험생은 한정된 시간내에 국수영탐을 다 해야하죠
    그 편익을 고려하면 더 그렇고

  • Life · 1337545 · 2시간 전 · MS 2024

    그 예시들도 그렇게 상위 교육과정의 지식이 필요한 정의의 확장이라기보단 그냥 고교과정 안에서 설명과 이해가 충분히 가능한 수준들인데, 예를들어 탄젠트함수의 연속성도 그냥 연속성은 우선적으로 그 점에서 함수가 정의가 되어야 논할 수 있다 로 설명이 되잖아요? 그런걸 앎으로 통해 연속의 정의에 대해서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되는거고, 공부에 대한 흥미도 유지하고 좋은 것 같은데요. 제곱근도 마찬가지로 제곱근과 지수의 정의와 의미 등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요. 단지 시험에 안나오니까 뻘짓이다? 그게 그렇게 바람직한 태도로 느껴지진 않아요.. 수능이든 내신이든 결국은 연계적 사고, 응용력, 추론을 묻는건데, 저렇게 공부하면서 주체적으로 의문도 가지고 왜 그럴까 같은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이 더 공부를 잘 하지 않을까요? 표면적으로 공식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공식이 생겼는지, 어떤 조건에서 어떤 구조가 성립하는지 등을 이해하며 더 깊이 있게 이해 하는게 잘하는 거죠. 님 말대로면 그냥 공식있으면 그것만 딱 외우고 그걸로 문제만 딱 풀고 공식이 왜 그런지 궁금해할시간에 국영탐이나 해라 이렇게 되는건데 그건 아니잖아요?

  • 허혁재 · 907967 · 1시간 전 · MS 2019

    탄젠트함수가 '연속함수냐 아니냐'는 그런 깊이 있는 이해의 층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교과서에 약속되지 않은 것으로 무엇이 맞느냐를 싸우는 것이기 때문에 이해를 더 돕지도 않고 혼란만 가중되고 시간만 낭비할 뿐입니다. 룰 자체를 왜 그렇게 정했는가에 대해서 '전문가에게 문답'하는 것이라면 모르겠으나 혼자 고민할 것이라면 고민 포인트로만 남겨놓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학생은 정해진 룰 안에서의 응용과 연계를 공부하려고만 해도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걸 다 끝내기도 전에 졸업하게 되니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요즘은 기출 20개년도 안풀고 5-7개년만 풀고 N제푸는 학생들이 대부분인데, 기출도 아니고 개념을 그렇게 깊게 파고드는 희귀하고 훌륭한 학생이 있다면 제가 도와주고 싶네요)

  • Life · 1337545 · 1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그런가요? 교과서에 연속성의 정의에서 연속을 논하려면 제일 먼저 함숫값이 존재해야한다고 써있지 않아요?

  • 허혁재 · 907967 · 1시간 전 · MS 2019 (수정됨)

    연속함수라고 하는 사람도 연속함수가 아니라고 하는 사람도 그걸 모르는 사람은 없어요. 제가 지금 이런 논쟁을 하자는게 아니라는 점도 다시 한 번 밝힙니다. 애초에 글의 대전제가 '그런 논의를 하지 말자'이고 저도 거기에 동의해서 여기에선 논의를 하고 싶지 않습니다. (학생 아니신 것 같아서 논의를 안하겠다는 거에요. 제가 괄호에서 말한 학생에 해당하시면 쪽지 주시고요.)

  • paracompact · 1069866 · 3시간 전 · MS 2021

  • 퀘일 · 1322412 · 2시간 전 · MS 2024

    수능에 도움안된다는건 ㅇㅈ함요 but 궁금증을 갖는것 자체는 입시랑 무관하게 좋은일인듯

  • 매포메 · 1379993 · 2시간 전 · MS 2025

    입시 외엔 유익하죠. 대학가서까지 그 호기심을 간직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대학가서 원없이 저런거 탐구하면 그게 멋지죠

  • 퀘일 · 1322412 · 2시간 전 · MS 2024

    근데 진짜 원없이 탐구하려면 유학가야할지도....
  • 치대저점매수 · 1220042 · 2시간 전 · MS 2023

    정작 대학가면 궁금증이 싹 사라진다는 놀라운 사실

  • 매포메 · 1379993 · 2시간 전 · MS 2025

    시험기간에 방청소하는 심리인걸 저도 알아서 관심갖지 말라는게 주된 논조긴 했는데 뭐 사람마다 다르니까요 알아서 하겠죠?

  • 치대저점매수 · 1220042 · 2시간 전 · MS 2023

  • Suilalo123 · 1394297 · 2시간 전 · MS 2025

    혼자 끙끙 앓으면서 찾지 말고
    궁금한건 오르비에 질문 올려놓고 공부하고 오기

  • 이지은 국어 · 1379029 · 2시간 전 · MS 2025

    질놓튀 ㄷㄷ

  • 이원준수제자 · 1017293 · 2시간 전 · MS 2020

    일단 대학을 가야 저런질문에 의미가있어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