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2) 수능 국어는 '국어 잘하는 놈'을 골라낸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235415
수능 국어는 (특히 비문학은) 국어 잘하는 놈을 골라내는 시험입니다.
'국어 잘하는 놈'이 뭘까요? 글을 잘 읽는 놈입니다.
평가원은 요즘, '국어 잘하는 놈'이면 어떤 글도 다 잘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2017학년도를 기점으로 지문의 길이가 길어지고, 고난도 복합 지문이 등장했습니다.
2019학년도에는 지문의 길이가 정점을 찍었습니다.
2021학년도에는 돌연 지문의 길이가 짧아지더니, 문제에서 '이해한 정도'를 엄청 묻기 시작했습니다.
2022학년도에는 단순 독해력 뿐 아니라 추론과 이해, 응용 능력까지도 문제에서 깊게 요구했습니다.
이렇게 보면, '기출 분석이 중요하다'라는 말이 무색하게 수능 국어 기조는 계속 변화합니다.
2019학년도에는 먹혔을 공부법이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먹히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각설.
그럼 '국어 잘하는 놈'은 어떤 놈일까요? 한 번 상상해 봅시다.
기출에 자주 나오던 지문 유형을 잘 풀어 내는 놈일까요?
문제를 접근하는 스킬을 잘 사용하는 놈?
그냥 '어떤 글이 있어도 잘 읽고 잘 이해하는 놈'입니다.
글이 길어도, 글이 짧아도,
지문에서 정보를 다소 생략해도,
약간의 배경지식이 필요해도,
문체가 다소 생소해도,
개념들 간의 관계가 복잡해도,
내용이 다소 추상적이어도,
처음 보는 유형이 나와도,
어떤 글이든 상관 없이 '잘 읽고 잘 이해하는 놈'이요.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국어 잘하는 놈'이 되려면 재능밖에는 답이 없는 걸까요?
어릴 때 책을 많이 읽었어야 했는데, 이미 늦은 걸까요?
지금 얻을 수 없는 것에는 그닥 관심을 갖지 맙시다.
원론적인 얘기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글을 이해하는 연습'을 정말 치열하게 해야 합니다.
좋은 글을 읽고, 혼자 그 뜻을 고민하고, 그 글의 내용을 자신의 지식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평가원은 글을 잘 이해하는 사람을 가려내려고 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글을 잘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글을 잘 이해하려면, 글을 이해하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무지성으로 국어 문제 읽고 풀고, 채점한 다음에
'여기 답의 근거는 몇 번째 문단 몇 번째 줄~'
이런 의미 없는 공부는 안 하셨으면 합니다.
좋은 글을 최대한 많이 읽고, 한 줄 한 줄 완전히 이해가 될 때까지 생각하면서 많이 고민해야 실력이 늡니다.
Q. 그럼 그 '좋은 글'이 뭔데요?
A. 웃기게도, 그게 기출입니다. 평가원 기출 지문만큼 잘 쓴 글은 별로 없습니다.
기출을 억지로 유형화하거나, 이미 출제된 문제를 풀기 위한 '스킬'만 공부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아마 다시는 그렇게 안 나올 가능성이 커요.
기출 지문을 '잘 쓴 글' 중 하나로 받아들이고, 많이 고민하고 많이 생각해보세요.
같이 읽으면 좋을 글
N회독은 프레임이다 : https://orbi.kr/00036982893
요즘 각잡고 제대로 된 칼럼 쓸 시간이 안 되어서, 이렇게 짧게 짧게 메모처럼 자주 올려볼까 합니다.
저는
만점의 생각 비문학편 저자
피램 문학 시리즈 공동 저자
조경민입니다.
감사합니다:)
0 XDK (+100)
-
100
-
국어 마르고 닳도록 3회독, 수특, 수완, 실모 수학 수능 기출의...
-
이번 여행에선 후쿠오카, 구마모토, 가고시마, 미야자키까지 방문한 도시마다...
-
김성호 현강 0
김성호 미적 현강 대치동 수강생 몇명정도 인가요
-
비키니 4
너 저리 안 '비키니'?? ㅋ
-
유튜브에서 종종 나오길래 함 복용해볼까 고민중...
-
이세계 유유자적 농가나 봐야지
-
맞팔구 0
생윤똥글꾼입니다
-
다들 맛저하세요 4
맛있는거 잘 챙겨 드시고 제 몫까지 두 배로 행복하세요
-
친구들이 5
저보고 노윤서 닮았다는데 남자가 닮으면 이상한거아닌가요?
-
이거 주면 하냐 9
난 깎음
-
비교하기 힘들겟지만 그래도 비교해보자면 어떤게 더 많나요? 둘중 하나 버리게요
-
ㅋㅋㅋㅋ
-
정시파 영어 0
영어 공부 해여되나요? 다른과목들이 노베라.. 3등급 나올 정도로만 맞추면 될까요
-
퇴적암 암기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시감째 계속 줄줄 말하면서 외우는데 정신병 걸릴꺼 같습니다
-
목욕탕 1
와서 물에 젖은 하품물범
-
가지고 있는 달러를 엔화로 바꿀까? ㅋㅋㅋㅋㅋ
-
맨더비 믿는다 0
Manchester City ㄱㅈㅇ!!!
-
궁금
-
가고시마 애니메이트에서 어제 구매완
-
둘중 하나 선택 가능하면 뭐 고름?
-
계란참치당근죽 0
-
겠냐고
-
남들이 상처받아요 그냥 그렇다구여
-
사회성 박살에 커뮤충에 친구 없고 개찐따고
-
시발점 질문 0
현재 시발점 대수 하고있는데 예제까지는 거의 다 풀리는데 step up은 거의...
-
요즘은 경찰대 출신도 총경 진급률이 30~40% 라고 합니다 경찰대 출신임에도 경감...
-
생윤사문 하는데 이지영t가 생각보다 언급 안되는게 놀라운 강의력+단권화 딸깍...
-
30분컷하고 나머지 느긋하게 독서하기
-
김기현T 파데+킥오프 병행해서 1달 정도해서 끝내고 3모 풀어보니 어려운 3점...
-
진짜 너무 하기싫은데
-
이걸 지네.. 0
사실 이걸 이길 뻔 하네가 맞음
-
보고서도 쓰기 싫은데 과제 왜 이렇게 많아...
-
지인 결혼식, 병원진료, 정기휴무... 응 다이어트 하고 살 뺄게...
-
포장해서 집 가서 먹을라구요...
-
군만두 20년동안 먹은 기분이야
-
근거리 그브같은 느낌이라 캐니언한테 딱이긴해
-
라이즈같은 떵챔으로는 안되는거야..
-
작년에 학교에서 찍은거는 못쓰나…
-
3세트 가자 3
-
까비
-
사문 정법 이번 겨울에 시작해서 개념 2번 끝내고 가출도 한번했는데 모의고사 보면...
-
요즘같이 외모평균 계속 올라가는 시대에선 너가 어떤 발악을 하더라도 반드시 필연적으로 도태될거임
-
“성적 우수자들이 되레 역차별 당해”…美대입제도에 쓴소리 한 10대 창업자 7
하버드 등 최상위대 줄탈락한 잭 야데가리 ‘칼AI’ 창업자 학점 만점에 수능도...
-
기하 개념 정리해야하긴 하는데 쎈 B단계 개념읽으며 스스로 공부+기출코드 시발점...
-
그럼 그렇지 0
대 황 젠
오 맞음 이게
엄청나네요...저걸 다 하실수 있는 분은 정말 대단하신분같아요...
김민경쌤이 하시는 말과 비슷하네요
맞는 말씀이라고 전부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는 좋은 글, 수능 준비를 위한 텍스트로 신문은 어떻게 보세용?? 신문으로 국어공부를 대체한다기 보다 짜투리시간은 신문구독에 활용할 지 고민입니다.
저도 고2~고3 내내 아침에 종이 신문 읽었는데, 꼭 수능 준비가 아니더라도 여러모로 도움은 많이 됩니다. 글 읽는 속도도 좀 빨라지는 것 같고요.
그런데, 수능 국어는 굉장히 압축적인 글이 출제되기 때문에, 신문처럼 정보 사이의 간격이 넓은 글은 직접적인 효과는 적을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글 읽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 정도로 충분할 것 같아용.
1~2진동 라인에서 못 벗어나고 있습니다. 처음에 성적 급상승시켰을 땐 시간 제한 없이 모든 문장을 처리해내는 방식으로 공부하다가 어느 정도 실력이 오르니 시간 제한을 두는 방식으로 공부를 했었는데요. 이렇게 연습하다보니 글을 읽는 것에 대한 흥미도 떨어지고 약간 기계적으로 읽는 것 같습니다. 다신 예전에 하던 방식대로 돌아가는게 맞을까요..? 이러면 또 시간 연습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서요...
ㄹㅇ내가 저 경지에 도달하던 못하던 관계없이 저런 경지로 가려고 노력해야한다 인강보다 다양한 지문을 직접 이해하려는 노력 ㄹㅇ루 수험생땐 몰랐는데
100번 동감하는 글..
결국은 근본 코동욱인가..
결국 스터디코드 조남호 좌께서 맞는 말을 하시는 것 같아요
이 분께서 '국어는 글을 읽어내는 '능력'을 보는 것이다'라고 하셨어요
스터디코드가 왜 스터디'코드'인지 알려주는 시험
김동욱+이원준 비문학 , 김상훈 문학
하면서 글 자체를 읽고 이해하는 연습 하면 되는건가
문제에 국한 되지않고
책읽는것처럼
예비고3 겨울방학까지 1달 남은 이 시점에서 만점의 생각(^^)으로 혼자 생각하는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혹시 1달동안 배경지식을 쌓기위해 책을 읽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근데 이번 경제지문처럼 대놓고 배경지식 요구해버리는건 과연 '글을 잘읽는 사람'을 변별해내는데 적절한건가 싶음....
저도 동의하는 게 변증법, 경제 지문은 배경지식 없이 '시간 내에' 이해하고 푸는 게 불가해요 변증법은 18분 걸리고도 3점문제 못 풀었지만 경제지문은 아는 내용이라 9분 컷 내용일치 실수말고는 다 맞았어요....매체랑 어휘문제 틀려서 결국 1컷 언저리지만 제 생각에 이해력만 올린다고 될 수준은 아니라 봅니다 21수능 독서 만점 19수능 31번빼고 다 맞았는데 이번 변증법 지문은 진짜로 벽 느꼈어요
ㄹㅇ....
어릴 때 책 많이 읽고 지금도 책 좆되게 읽는데 2 중간인거 보면 장애인이 존나 노력한게 이거일지도

아근데저는문학나가리됐어요ㅋㅋ선배님 질문있습니다..
19 수능은 56등급 받은 수준이에요
피램 생각 발단을 인강 들어가기 전에 독해력 향상 목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달동안 발단을 하고 인강을 들어가는 건 어떻게 보시는지요?
기간이 짧지는 않을지요?
그런데 발단 2022 하고 인강을 들어가야 하는지
1달뒤에 나오는 2023거 해야 할지 고민이에요
이번 수능 내용 기조가 들어가는 2023것이 좋을 것도 같지만 기다리는 1달동안 뭘 하면서 독해력을 기를지도 모르겠어서요
나비효과를 하면서 기다리기에는 얻어 갈께 있는 지도 모르겠고요.. 문학파트만 (개념어 강의)를 한번 들어야 한다고는 하는데 그게 지금이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요
또 피램 1달 늦게 시작하면 늦게 끝나고 인강들어가는 것도 늦어지니까요..
어떻게 하는게 좋다고 보시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