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비문학] N회독은 프레임이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982893
저번 EBS 활용법에 이어서,
매년 반복되는 물음에 대해 답해보려 합니다.
'기출은 몇 번 정도 봐야 적당할까'라는 물음에
정답은 사실 '얻어갈 게 없을 때까지'입니다.
무슨 얘기일까요?
10번을 보더라도 기출을 올바른 방법으로 공부하지 못했다면 실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한두번을 보더라도 제대로 공부하면 실력의 질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 같지만,
제가 현역 때도 '기출 N회독'이 마치 게임의 레벨이나 성취도처럼 여겨지던 풍조가 있었는데
여전히 '기출 몇 번 봤냐'가 일부 학생들에겐
'얼마나 공부 열심히, 많이 했냐'의 척도로 생각되는 것이 안타까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10번을 봐도 아직 이해가 되지 않는 문장, 헷갈리는 선지가 있다면
이전의 9번은 의미 없는 시간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저는 작년에 N수생들을 10명 가까이 가르쳤습니다(일부는 저보다 나이가 많으셨습니다).
현역, 재수는 몰라도 삼수를 넘어가게 되면 사실 대부분의 기출 지문을 공부해봤을 겁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 지문에서 열의 일당량 얘기 왜 나온 거죠?', '카르노의 설명이 왜 에너지 보존 법칙에 위배되죠?'
(2017 9평)
'인과성 얘기는 왜 써놨을까요?'
(2020 6평)
'로열티의 문맥 안에서의 의미가 뭐죠?'
(2021 6평)
이런 질문에 대해 제대로 답한 학생은 거의 없었습니다.
기출을 여러번 보면서도
각 표현을 왜 썼을지, 해당 문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보조사와 접속사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묻지 않고
오로지 선지에서 답을 내는 것에만 집중하여 공부하다보면 실력이 상승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한 번을 공부하더라도
지문을 완전하게 이해하면서 넘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문장이 서로 어떻게 이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개별 표현들의 지문 안에서의 의미를 정확하게 받아들이며
<보기>와 선지를 통해 지문의 내용을 확장시키는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이죠.
물론,
사람이니만큼 한 번 공부해서 모든 것을 얻어가기는 힘듭니다.
한번 제대로 공부하고, 이해가 안 됐던 포인트를 메모해 둔 뒤
나중에 그 부분을 토대로 빠르게 복습하는 것이 좋겠죠.
저같은 경우는 현역때 5개년 지문을 전부 이해하며 공부했고,
나중에는 헷갈렸던 지문, 이해가 잘 안됐던 지문들만 복습했던 것 같아요.
이런 '완전한 이해'를 혼자 하기가 힘들고,
학생 혼자 공부하다보면 자기가 제대로 하는지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에
올바른 국어 비문학 독학을 돕기 위해 '만점의 생각'을 집필했습니다.
제 책을 보시면 확실히 국어 공부에 방향성을 찾으시리라 생각하지만,
하단에 제가 링크를 달아놓은 칼럼 글들만 쭉 읽어보셔도
독학을 하는 법에 대해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는 '기출 분석하는 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글을 들고 오겠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해주시면 더 좋은 글들 보실 수 있을 거예요 ㅎㅎ
국어 EBS 수특/수완 활용법 https://orbi.kr/00036928042
21 기출 분석서 https://orbi.kr/00033213293
19 수능 31번 맞추는 법 https://orbi.kr/00032755321
국어에서 그래프 나오면 생각할 것 https://orbi.kr/00032704180
21 9평 '헤아릴' 해설 https://orbi.kr/00032261940
비문학 어휘 기출 모음 https://orbi.kr/00031872184
9평 만흥 38번 '관념적' 해설 https://orbi.kr/00032237314
문학 개념어 교재 https://orbi.kr/00032190440
문학 개념어 '대화체'? https://orbi.kr/00031713659
21 6평 산상의 노래 해설 https://orbi.kr/00031271872
19 9평 STM 문제 해설 분석 https://orbi.kr/00030201635
거시독해란 이런 것 https://orbi.kr/00031467438
고대의 문학 기출 https://orbi.kr/00036193231
만점의 생각 구매 링크 https://atom.ac/books/8179
0 XDK (+110)
-
100
-
10
-
ㅠㅠㅠ 0
영어 발표 및 과세특 작성 물1 보고서 생1 보고서 개세특 대학학과탐구보고서 수학...
-
바보야~ 이런 널 보며 행복핳 나를 알자나~
-
저 학창시절엔 인강이라는 신문물이 없었어요(...) 졸업하고 생김 학원을 다니자니...
-
역대급 바보
-
지금 시즌에 0
독재 나가는 사람들은 어디가는거임 다른 독재로 옮기는 건가
-
길거리에 에어컨 좀 설치해줘 씨바 ㅠㅠ
-
와진짜 개뜨겁다 0
이딴게날씨?
-
너무 예쁘노
-
평가원 #~#
-
본능의질주님은 0
춘추가 어떻게 되십니까?
-
사회계약에는 형벌에 대한 범죄자의 동의가 포함되지 않는다라는 말에는 루소 제외...
-
2월부터 수학만 보자면 미적만 기출분석하고 n제 김현우 주간지 지인선 설맞이 미적...
-
5일째 상품 준비중이라 뜨는데 ㅠ
-
실모는 언제부터 하실 건가요?
-
알기만 한다...
-
그냥 비튼다고 보기에는 x차는 그대로 유지돼서 어색하고 좌표평면을 점성(?)이...
-
완전 바보임
-
이제 전적으로 믿는데도 들어야할까
-
생명 실모 0
풀 때마다 2문제 내지 3문제 못 푸는데 이거 맞아요??? 강사도 어려운건 찍어서...
-
날씨 뭐임 1
그냥 찜질방 들어온 기분인데
-
차함수 관점으로 이해하는게 가장 직관적이고 좋은거같은데
-
수특 안해서 김민정쌤 ebs 수특 듣고 있는 데 진짜 졸라 많음 6모 기준...
-
생윤 하는데 롤스가 온정적 간섭이 바람직 하지 않다길래 보니까 그닥 좋은쪽의 뜻이...
-
워낙 개소리 적어놓긴 해서 내려갈만한 글이긴한데....
-
어제 포장해서 냉장고에 넣어놓고 지금 먹는데 국이 젤리처럼 됨 끓이면 다시 국처럼되고
-
서바 한 문제 틀릴 때마다 플라잉체어 튕겨져서 수영장 입수하면 얼마나 재밌냐 진짜 서바이벌 진행하자
-
내년까지가 국어 수학 선택 마지막이고 사탐 과탐 내후년이 이제 세대통합되는거 맞죠?
-
일차함수위에 그 함수를 올리면? 됨? 원리가뭐에요…?
-
시즌1 ㄹㅇ 수능 3-4배인듯 솔직히 차라리 선택 24-5 처럼 나오면 쎈+기출만...
-
지금에서 약배송, 창고형약국(법인약국의 시발점이라 생각), 일반의약품 편의점 풀릴...
-
올해 의반이 적긴한듯 14
6평 수탐컷이 그 이유로 예측보다 낙관적이게 나온거임 특히 런 비율보면 과탐은...
-
님들이 보기에 에리어 지문 수능나와도 변별력 있다보심? 7
에리어 철학 가 나 2025 6모 지문 이거 수능 표본 기준으로 봐도 변별력 있다고 봄???
-
어제글에서 제1원인이 목적을 가진다고 전제하고 시작했는데 목적을 가진다면 그 목적을...
-
미적 파이널 시대라이브 박종민,안가람,장재원중에 추천좀 2
6모 미적 88임..
-
배부르네 3
-
만약에 문학 선택과목 보통이고 비문학지문 3개 과두제적 경영 비슷한 지문 하나...
-
비문학은 잘하는데 문학에서 계속 저는건 절대적인 공부량 부족인가요? 그리고 시험...
-
유대종 질문 2
반수 하는데 유대종 국어 들을려고하는데욥… 인셉션 보면 주교재가잇고 부교재가 있는데...
-
시간 재고 모고 풀듯이 풀어야하나여 아니면 엔제 풀듯이 풀어야할까요
-
호쌤vs훈쌤 4
미용실 왔는데 호쌤 스타일vs훈쌤 스타일
-
가재맨이 신태일보단 나아보이는데..
-
안녕하세요 2
무더운 날씨의 오늘도
-
딥 마인드라는 이름으로 나온다네 풀거 생겼다 대대대
-
옵붕이들아 필독 1
지원하도록
-
올해 수능 경쟁자들좀 빠지려나
-
밥먹고 롤한판 0
밥먹고 롤한판 ㄱ?
-
너무 더워 진짜 1
이건 아니야..ㅐㅏ
-
진짜임?
-
진심 여름시즌만 낮밤 일부러 바꿔볼까 고민됨

요즘 느끼는건데 국어공부에서 생각이라는 걸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도 어려운과제인거같네요공감합니다
제발 저렇게 공부해주세요
이 책 보면은 비문학 공부랑 기출분석을 어떻게 하는지 알 수 있나요?
넵 혼자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향을 잡아주는 기출분석서입니다
국어 원래 잘하셨나요? 아니면 고3때 올리신건가요?
고3때 엄청 올렸습니당
지문 읽으실때 지문내용이해와 더불어 구조도 같이생각하시나요? 예로들면 비교대조나 분류나열등등.. 오히려이런부분에 신경쓰다보니 정작 내용이 안들어올때가 있어서용
구조도는 이해를 위한 도구 중 하나고, 꼭 필요한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당
쪽지확인가능할까여ㅎ
교육과정 개편된 작년시험부터의 경향성이 반영된 릿밋딧피셋지문 선별해서 만점의 생각 후속편 쓰실생각 없으신가요?
선댓글 후정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