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마 [994443]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1-08-16 17:51:43
조회수 7,790

[지1] 나 혼자 보려고 정리하는 최초의 육상 식물 관련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114062

수험생을 위한 글이 아닙니다 ㅎㅎ 가르치는 사람 입장에서 시중 교과서 및 교재들에서 불분명하게 서술되거나 아니면 서술이 엇갈리는 부분에 대해 교통정리를 하는 글입니다.


수험생은 혹시나 이 부분에 대해 궁금했던 적이 있던 학생이라면 한번 보시고, 아니라면 그냥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지구에서 최초의 생명체는 바다에서 등장하였으며, 적어도 캄브리아기 까지는 모든 생명체가 바다에서만 서식 가능하였음.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쯤 하여 이끼와 같은 선태식물들이 육상에 먼저 진출하였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으나, 지구과학1에 있어서 '육상 식물' 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은 줄기를 가진 관다발 식물이기 때문에 지구과학1에서 이는 고려 대상이 아님.


그런데 현재 가장 오래된 관다발 식물 화석은 '쿡소니아' 라고 불리는 실루리아기의 화석임. 

따라서 실루리아기에 오존층이 본격적으로 형성되면서 최초의 육상 식물이 등장하였다는 서술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음.


그런데 그럼 양치식물도 실루리아기에 출현했다고 할 수 있을까?

쿡소니아를 양치식물이라고 이야기해도 될까? 


1. 2016년 4월 지2 교육청 모의고사의 공식 해설에는 

'쿡소니아는 최초의 양치식물로, 실루리아기에 등장했다.' 라는 서술이 있음.


2.그런데 교학사 교과서의 도표에서 양치식물의 출현 시기는 데본기로 표시되어 있음.


서술이 엇갈리는 상황임. 그래서 식물의 분류 체계에 대해 알아봄.


일단, 충북대 원예학과 이철희 교수님의 '자생 양치식물의 특성 및 대량번식'이라는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서술이 있음.


  '양치 식물은 세계적으로 송엽란류 10종, 석송류 300종, 부처손류 700종, 물솔류 65종, 속새류 25종 정도에 양치류가 약 9280종으로 대략 1000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다.'


즉, '양치식물' 이라는 표현은 엄밀한 의미의 '양치류'를 포함해 석송류나 송엽란류를 포함한, 속씨나 겉씨 식물이 아닌 관다발 식물을 통칭하는 표현임을 알 수 있음. 양치류에 비해 나머지 분류의 비중이 너무나 작다보니 양치류가 그들을 대표할 뿐임. 


쿡소니아는 분명 엄밀한 의미의 '양치류'로 분류되기는 힘듦. 양치류의 조상일 뿐임. 불분명하지만 석송류나 송엽란류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음. YBM 교과서에는 쿡소니아를 송엽란류로 판단하여, 실루리아기에 최초의 육상 식물인 송엽란류가 등장했다고 서술하고 있음. 


이때문에 교학사 교과서의 도표에서는, '양치식물'의 의미를 '양치류'에 한정하여, 출현 시기를 쿡소니아가 발견된 실루리아기보다 더 뒤인 데본기에 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그러나 '양치식물' 이라는 표현은 석송류나 송엽란류, 양치류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표현이기 때문에. 쿡소니아는 '양치류'는 아닐지언정 '양치식물' 이라고는 할 수 있음. 여기에 따르면 양치식물의 출현시기가 실루리아기라고 이야기해도 무리가 없음.


따라서, '양치식물'을 어떻게 정의하냐에 따라 양치식물의 출현 시기를 좁게 보면 데본기, 넓게 보면 실루리아기라고 이야기 할 수 있으나, 지구 과학을 공부함에 있어서 양치식물의 정의를 좁게 볼 하등의 이유가 없기 때문에, 양치식물의 출현 시기를 실루리아기라고 하여도 무리가 없다는 결론이 나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broroot · 784602 · 21/08/16 18:43 · MS 2017

    ! 이거 그래서 생2랑 지1 같이공부하는 친구들은 좀 힘들어하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