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1번에서 최대한 피해야 할, 선호할만한 구조 몇자 적어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61602
먼저 1번에서 피했으면 하는 구조입니다.
1. 순서만 써 놓고 타 지문과의 순서 관계없이 단순 요약에 그친 경우.
1문단 : 순서로는 이런 것이 알맞다.
2문단 : (1순서)에 대한 요약 + 때문에 이 지문이 1순서이다
3문단 : (2순서)에 대한 요약 + 때문에 이 지문이 2순서이다
4문단 : (3순서)에 대한 요약 + 때문에 이 지문이 3순서이다
5문단 : (4순서)에 대한 요약 + 때문에 이 지문이 4순서이다
그러면 선호할만한 구조입니다.
1. 사회에 대한 개인의 영향의 관점을 2~3개 잡아놓는 구조.
1문단 : 순서로는 ~이 알맞다. 그 근거로 A와 B, C를 들 수 있다.
2문단 : 먼저 A에 따르면 (1순위)와 (2순위) 사회에 대한 개인의 영향이 크다. 하지만 (3순위)와 (4순위)는 그 영향이 작다.
3문단 : 그러나 B에 따르면 (1순위)와 (3순위)가 사회에 대한 개인의 영향이 크다. 하지만 (2순위)와 (4순위)는 그 영향이 작다.
4문단 : 반면 (2순위)와 (3순위)는 C라는 점에서 (2순위)가 사회에 대한 개인의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2. 제시문 사이의 유기적인 순서 비교를 통해 글을 전개하는 구조.
1문단 : 제시문의 순서는 ~이 알맞다.
2문단 : 먼저 (1순위)는 ~한 점에서 사회에 대한 개인의 영향이 크다.
3문단 : 반면 (2순위)는 (1순위)와는 달리 ~한 점에서 그 영향이 비교적 작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점에서는 영향이 크다.
4문단 : 그러나 (3순위)는 ~한 점 까지도 영향이 작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한 점에서는 사회에 대한 개인의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5문단 : 하지만 (4순위)는 ~한 점 까지도 영향이 매우 작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구조가 꼭 정답이라는 것은 아니지만, 저희 학교 자체 내 답안들을 비교해본 결과 몇몇 좋은 구조와 좋지 못한 구조가 나와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짧은 시 0
할일이 없어서 만난건 아닌데할일이 없을땐 너가 보고 싶어.
-
수능이 점점 다가오니까 무섭네... 진짜 나름 강인한줄 알았는데.. ... ......
-
나중에 이런거 쓴거보면 쪽팔릴거같은데 눈온거보니깐 문뜩 그런생각이 드네요 눈오는거랑...
-
나중에보면 쪽팔릴거같긴한데..눈오는거 보고있자니 짝사랑은 눈내리는거랑...
-
수험생활 하면서 감정이 메말랐는지 그동안 운적한번 없었고 척척한 마음이었는데 패닉...
선호하지 않는 유형의 경우 어떤 학교든지 다 저런 답안 유형은 선호하지 않아요.
생각 외로, 저런 구조 쓰신 분들 많더군요.
성대 논술 해설도 보면 저런 답안은 무조건 E급이던가? 암튼 최하점수. 무조건 광탈
전 2번으로 썼네요
아싸..광탈이다 ㅋㅋㅋ
의문이 드는게 이번에 연대 문제 1번이 예전 문제들 처럼 비교를 요구하는게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는 순서를 적고 그에 맞는 타당한 근거를 들라는건데 비교의 관점을 잡거나 유기적인 비교를 통해서 제시문을 전개하는건 문제의 요구에서 벗어나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제시문들의 순서를 정하려면 비교를 통해서 순서를 정하는게 맞지만, 비교의 관점을 적거나 비교에 치우쳐서 서술하는건 이번 문제에선 발문의 요구에 벗어나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