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막 사회문화 Tip 글) 기출 선지의 반복과 기계적 반응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065697
사회문화 시험지 1번에는 고정적으로
자연현상/사회문화현상 관련 문항이 출제돼요
기출을 통해 1번 문항을 여러 번 마주치게 되면,
경험적 자료를 통해 연구할 수 있다
인과 관계가 있다
필연적/개연적이다
가치 지향적/몰가치적이다
등의 선지가 '반복적'으로 출제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를 통해 우리는 수능 사회문화 1번 문항에서
자연현상/사회문화현상 관련 문항이 출제될 경우,
'기계적'으로 선지 판단을 할 수 있게 돼요
이게 기출을 '회독'하는 이유이라고 저는 생각해요
그러면 또 질문이 생길 수가 있죠.
여러 번 기출을 반복해서 보면 답이 다 기억나잖아요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전에 유튜브 공부 관련 영상에서 들은 말입니다)
1. 답이 기억나면, 해당 선지를 기억하고 있는 자신을 칭찬 가능
2. 답이 기억나지 않는다면, 문제를 새롭게 접해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모르거나 까먹었던 점을 다시 배워갈 수 있음
위 이유 때문에 저는 사회문화 기출 회독이 무의미하지 않다고 봐요
여러분도 기출 회독을 통해 고인물이 됩시다.
+) 저의 경우에는 검더텅을 회독하면서, 틀려가면서 선지를 머리에
새겨넣게 되었는데, 올해 나온 파급 사문에는 제가 글에서 언급한
기출 선지의 '반복'이 액기스처럼 정리되어 있더라구요
필요하신 분들은 한 번 보시는 게 좋아보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안돼!!! 하지마아아악! 님 오시면 1컷 올라가요아 그럼 교양용으로 스윽 공부하죠
글 막판에 가서 너무 광고글처럼 된 거 같은데, 그만큼 좋은 책이고 저도 작년에 사문 공부할 때 도움을 많이 받았던지라 추천해드리는 거예요 오해하지 말아줘요 ㅠㅠ
혹시 6평 기준으로 사문 7분 남겼으면 타임어택에 강한 편인가요?
댓글분께서 마킹 포함 23분 걸리신 거면 타임어택은 무난무난하게 잘 버티시는 것 같아요!
작년 7월 모의고사 한 번 풀어보시고, 몇 분 걸리는지 한 번 측정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감사합니다! 혹시 사문 공부법에 대해 궁금한 게 생기면 나중에 연락 드려도 될까요?
제가 깨어있고 시간을 쓸 수 있는 때라면 언제든지요 :)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검더텅만 풀어봤는데 파급 사문 조은가요??
저는 좋은 책이라고 생각해요. 사람마다 느끼는 바가 다를 수 있으니 파급 사문에 대해 좀 더 검색해 보시고 자신한테 맞는지 파악하는 게 좋을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