뻘글) 수능 사회문화는 어떤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983683
안녕하세요 교육학 공부 안 하고 뻘글 쓰고 앉은
레헬른 입니다. (곧 시험인데 망했다 그죠)
오늘은 수능 사 회 문 화 가 어떤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회문화'에서는 뭘 배우나요?
사회 와 문화 를 배웁니다.
예?
정말로요. 사회의 현상을 어떻게 설명하는 지에 관한 내용과 사회 현상을 도표/통계로 분석하는 것,
우리 일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문화의 속성으로 나타내면 어디에 속하는가? +@의 내용을 배웁니다.
2) '사회문화' 진입장벽이 어떤지 궁금해요
우선 사회문화 과목의 단원별 편성을 살펴보면
1. 사회 문화 현상의 탐구
2. 개인과 사회 구조
3. 문화와 일상생활
4. 사회 계층과 불평등
5. 현대의 사회 변동
이렇게 5단원이 있습니다.
여기서 처음 사회문화를 접하는 분들이 '턱' 하고 막힐 만한 부분은
1.사회 문화 현상의 탐구 에서의 양적 연구 분석 문항 -- 자료 수집 후에 정리한 표(이건 주어집니다)를 보고
ㄱㄴㄷㄹ의 선지를 정오 판단을 하는 겁니다. 문제에 '글자가 많아서' 처음 볼 때 두렵습니다.
2. 개인과 사회 구조 에서의 사회 조직/사회 집단/사회화 기관/역할/역할 갈등/지위 '암기'
4. 사회 계층과 불평등 에서의 세대 간 혹은 세대 내 계층이동의 문항 -- 이건 이과분들도 몇 번 보셨을 듯
과거 사회문화에서 고정 20번으로 출제된 문항입니다.
상층 중층 하층 그리고 샾 or 바둑판 or 선이동 방식으로 푸는 문항
그리고 불평등 파트에서의 처음 보는 도표 문항 -- 시험장에서 자료 하나 던져주고 ㄱㄴㄷㄹ 분석해야 합니다.
5. 현대의 사회 에서의 도표 문항 몇 가지?
위에 주어진 벽만 '스윽 사악 스아아아악' 넘어가시면 사문은 수월합니다.
과탐처럼 막 흐억 억 흐흑 하고 풀지는 않더라구요
3) '사회문화' 현장에서 시간 관리 어떻게 해요?
뻘글이라서 rough 하게만 설명하겠습니다.
일단 저는 작년 사회문화 교육청/평가원 모의고사에서
3월: 50 - 집모의
4월: 50 - 집모의
6평: 50 - 현장 응시 5분 남김
7월: 50 - 현장 응시 시간 다 채워 씀
9월: 45 - 현장 응시 시험 보다 배탈남(뭐 제탓이죠 뭐...)
10월: 50 - 현장 응시 5분 남김
수능: 47 - 생윤에서 멘탈 갈림(1문항 틀렸다는 사실을 사문 20번 풀면서 깨달았고, 멍청이 짓함) 심지어 5분 남김
올해 모의평가에서는
3월: 50 - 집모의 14분컷
4월: 50 - 집모의
6평: 50 - 집모의 24분 30초컷
참고로 작년 수능 이후로 사문 책 단 한 번 도 안 펴 봤 습 니 다.
이 정도면 어느 정도 시간 관리에 대해서 말할 수는 있는 정도라고 저는 생각해요.
일단 사회문화 시험은 '보통' 양적연구+도표통계문항 4개 / 개념문항 16개로 구성됩니다.
일단 양적연구랑 도표통계 문항은 딱 봐도 '아 이게 그 문제네'하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일단 위 4개의 문항을 나중에 풀려고 시험지 위에 번호를 적어둡니다.
(이를 '홀딩'이라고 저는 말하는데, 이거 연습한 친구들은 수능때 다 사문 1등급 맞더라구요.
작년에 제가 사문팁 반애들한테 많이 알려 줬슴..)
위에 20번 동그라미로 표시한 거 보이시려나.. 암튼 저렇게 표시해서
해당 페이지에서 '내가 안/못 푼' 문항 번호를 적습니다.
그러면 개념 16문항은 쭉 다 풀었으니, 일단 4문제 빼고는 다 풀어놓은 겁니다.
이때, 16문항 푸는 시간이 중요한데, 적어도 15분 안쪽으로는 다 푸셔야 합니다.
개념을 다 풀었으니 마킹을 얼른 합니다. - 이때, 홀딩한 문항 omr 부분에 마킹 안 하도록 조심
그리고 남은 4문항을 풉니다. 이때 "직 감 적 으 로" 이거 붙잡으면 ㅈ됐다 싶은 거 있을 겁니다.
(???: 감각적으로 직감이 딱 와야해~)
그건 당장 패스하고 다른 문항부터 풀어야 합니다.
그리고 4문제에 올인 하셔야 합니다. - 이렇게 대충 알려드리는 이유는 다음 칼럼에서 제대로 다루고 싶어서
연습은 모의고사 기출 뽑아서 푸셔도 좋은데, 가능하면, 시험장에서 시험지 크기에 압도되지 않도록
빨더텅 35회분 << 가성비 갑
사서 시간 재고 푸시는 게 좋아보입니다.
18년도 이전의 기출은 17분 이내로 전부 다 풀 수 있으면 좋구요. (어려운 회차 빼고)
그 이후의 기출은 마킹 시간 제외 27분 이내로 풀 수 있도록 연습하시면 어느 순간 시간 압박이 줄어들 겁니다.
뻘글 좋아요 15개 이상이면 각잡고 기말 끝나고 사회문화 관련 Tip 글을 쓸 생각인데,, ㅋㅋ 이 글 묻힐 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이건 뻘글이 아닌데요 성생님
감사함미다
좋아요 좀 주십시오 ㅠㅠ
헤응 이미눌러버려코...
헤으응 나죽어~
좋아요 주시면 다음에 팁글 들고 오겠슴미다

준칼럼이네요좋아요 꾹~

고맙습니다잉~ 알러븅
헤헤선생님 태그에 학습자료 붙이셔서 좋아요로 덕코좀 빨아들이셔요
학습 태그 달았슴둥 좋아요 하나만 주구 가용
두개주고싶은데 이미줘서 더못줌 ㅠㅠ
하나 주신 것만으로도 감사함둥~~
어 다시보니 저거 '학습' 태그 말고 '학습자료' 태그 다셔야 덕코 복사됩니다 선생님

아 ㅋㅋ 고건 몰랐징.. 어차피 뻘글이었으니까 덕코 받을 욕심은 없었어서 괜찮슴둥일단 개추 ㅋㅋ
시간관리 팁 좋네요
사문은 진짜 현장에서 시간관리가 젤 중요한듯
뻘글이라서 너무 가볍게 쓴 감이 없지 않아 있슴둥 나중에 칼럼으로 쓰게 되면 자세히 쓰도록 할게요
바로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