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 쪽지

2021-06-06 10:26:32
조회수 1,970

Peet 화학 모의고사문제 “격자에너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896551





영어 그림은 일반화학 줌달에서 가져왔어. 


owl 화학1 기준으로, 녹은점을 비교할때, 좀 구체적으로 설명이 안되 


있어서, 하도 이상해서, 피트 화학 문제 모의고사 문제도 풀어보니 격자에너지 에 대해서 나와서, 마침 화학1 owl 기준으로 설명이 불충분해서


추가 설명하면, 의미가 있다고 싶어서 가져왔어. 


분명, 이해못해도, 그냥 공부는 암기야! 하면서, 이해가 안되고, 이게 뭐지. 이런 생각이 들어도, 스스로 이해하고 있다고 암시하고, 스스로 마법을 걸면서 공부하는 형 누나들 있을까봐. 약간 불충분한 설명을

보충하는것도 의미 있다고 생각들었어.


Owl 화1 풀면서, 과연 이게, 이해가 될수는 있는걸까? 왜 owl 화1 에는 이런 부분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고. 이해할수 있도록 해주지 않는

거지. 그냥. 무작정 지식은 암기하는거라고, 지식으로 폭력을 행사하는게 아닐까? 아니면, 그냥. 누구나 다 알고 있기 때문에 언급의 필요성을

못느끼는건가. 아니면, 다른 책에 이미 소개 되어있어서, 그냥 넘어가는건가 별에별 생각이 순간 0.1초 스쳐지나갔어. 


아무튼, 


보통은 owl 화1 보면은 전하량 차이로, 이온 사이의 결합이 커서. 


MgO가 결합력 더 쎄고, 녹는점 높다고만 나와 있는데, 


사실은 정확히는 격자에너지 공식을 이용해야함. 


그리고, 격자에너지 공식에서 K는 결정구조에 의해서 결정이 되고,


결정구조는 화학2 범위인데, 일반화학 연습문제 보면, MgO도 NaCl 도 두 분자가 왓다리갓다리 번갈아가면서 왓다갓다 하는 구조 이거든.


이거를 유식하게 NaCl structure 라고 하고, 이 암염구조로 일단 격자에너지 공식의 K는 같고, 사이즈를 비교하면, 


O F Na Mg 는 Ne 배치로, 이온을 생각했을때, 원자번호 커지면 사이즈 작아지니. 양끝과 가운데 두개가, 근사적으로 사이즈가 중심원자간 거리가 비슷할거라는 결론이 나오고, 전하양 차이가 정확히 4배 이니깐, 줌달의 열화학 파트에 그림을 보면, Lattice energy 를 보면, 에너지 차이가 대략 4배 나오는거 확인가능하고, 


기체이온에서 고체 분자로 되면서, 안정해지니 에너지 방출하는거 보이고. 이게 만약 격자에너지 절대값이 더 크다면, 상식적으로, 기체 이온간의 결합이 더 강해지고, 단단하게 고체가 묶여 있다고 생각할수 있고,


구조적인 측면에서 보면, 줌달 참조, 이 두 이온이 번갈아가면서 무한대로 왓다리갓다리 하니깐, 더 잘 묶여 있을거라고, 구조적으로 이해할수 있고(화2범위), 그래서, 격자에너지와 녹는점이 비례관계임을 추론 할수 있음. 사실 이문제는 한술 더떠서, 끓는점 비교까지 하고 있음. 


Owl 화1 에 이런 공식에 대한 설명 없어서, 약간 아쉬워서 

추가 한거에 의의를 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