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 쪽지

2021-05-25 18:16:03
조회수 2,251

2020 peet 물리 10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730254



딱히 중요한문제는 아니고, 피트 문제는 정답률 80프로 이상으로 어려운 문제는 아니였다. 정답은 1번이다.


다만, B1-57번의 ㄷ 보기를 보면, 용수철이 최대압축 시점에서, 알짜힘=0 이라고 하면, 해설을 보면, 중력과 탄성력이 모두 아래로 작용하므로 알짜힘이 0이 아니라고 나오는데, 나는 솔직히 이런 해설 방식은 별루라고 생각이 든다. 또한 피트 문제의 ㄴ 보기는 돌고래에 작용하는 알짜힘은 중력 이라고 나온다. 너무 해설이 성의가 없다. 


대학물리학 책에. 찾아보면, 가속도에 대한 개념이 나와있다. 


가속도 a는 질량분에 시그마 F 라고 나와있다. 왜 구지 알짜힘이라는 용어를 쓰는지도 좀 이해가 안된다. 시그마F가 알짜힘 보다는 내가 생각하기에는 더 친숙한 용어이고, 대학물리학에 시그마 F 로 표시되어있다. 


그러면, 저 식을 바로 떠올리면, 알짜힘=0 이 맞다고 한번 가정해보자.귀류법으로 생각해서, 그러면, 시그마 F가 0이면, 가속도가 0이 되어야 한다. 가속도가 0 이면, 정지 or 등속도 운동 상태이다. 

순간 용수철에 최대로 압축 되었을때, 물체는 잠시나마 정지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알짜힘이 0이라고 착각할수 있을거 같다. 


그래서, 구지 용수철이 최대로 압축되지 않은 순간인 용수철이 조금 압축 되어있거나, 아니면, 용수철에 압축이 되기 전의 높이 상황에서도 문제 상황 조건을 줄수 있는데, 구지, 최고높이 시점인, 피트의 돌고래 문제도 마찬가지로, 잠시나마 속력이 0인 시점을 준 이유는 학생들로 하여금, 정지 이니깐, 가속도 =0 알짜힘=0 이라고 착각하게 만들기 위해서, 항상 저 상황에서 조건을 준다고 생각이 든다. 


하지만, 피트 문제의 돌고래 문제를 보면, 돌고래가 높이 점프하더라도,최고점에서는 잠시 정지 하고 있어도, 중력이 아래로 여전히 작용하는거를 너무 당연히 알고 있어서, 피트 돌고래 문제는 아무도 햇갈리지 않고 정답률이 80프로 였다. 하지만, 수능 B1-35문제를 접근 할때는, 

용수철이 또한 포함 되어있어서, 조금더 혼란을 주는 의도적인 장치로 보인다. 


이경우도. 여전히 중력이 아래로 작용 하므로, 알짜힘은 0이 아니고, 여전히 용수철이 최대압축상황에서, 아래로 강하게 밀고 있으므로, 중력에 용수철힘이 더해져서, 아래로 시그마F가 가해지고 있다. 그래서. 가속도는 0이 아니게 된다. 


별 시덥지 않은걸로 그냥 한번 이런저런 생각해봤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