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에 대한 재밌는 질문 하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59901
칸트는 도덕적인 일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험 두시간전 0
비상
-
이미지,김범준,정병호중에서요
-
내가 남들보다 늦게 시작했는ㄷ 이렇게 나태해도 ㄱㅊ나… 폰 없애는 거 어케생각애요ㅠㅠ 세상단절
-
존아침 4
늦지 않게 일어났당
-
오늘만새면돼 0
그럼나는자유야
-
생물 과제 물어봤는데 격한 위로를 해주네요
-
안질리네
-
문제만든사람이
-
ㅋㅋㅋㅋ 뭐지
-
각각 67분 100, 63분 100 미적은 전보다 빨라지긴한듯
-
맨맨큐큐 0
매년 예제 복붙해서 출제하시던데 제발 올해도 새내기들의 신뢰를 저버리지 말아주세요...
-
왓!
-
10수능 수1 2
저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만덕)
-
전공 안맞아보인다고 반수하래... 이미하고있는데
-
두시간만 자자 1
하암
-
너무 새롭고 참신한 풀이 거르기
-
댓글이든 뭘로든 시비걸린다 해도 대체 이 사람이 어느 포인트에서 화가 난걸까를...
-
어케나감 ㄹㅇ..
-
벼 락 치 기 2
쉽지않네요
-
어삼쉬사랑 비슷한 느낌의 문제집은 없을까요?
-
지금딱듣기좋은노래네
-
사문 명확성 0
'주로'는 명확성에 위배됨??
-
태블릿으로 문제집 푸시는 분들은 어떤 앱 이용하시나요? 자체 문제집이 있는 곳도...
-
2021 10월 11번인데1번에 ㄱ이 을당이면 을당이 과반수를 먹긴 했지만 을당과...
-
국어 자체 제작 지문-퀄리티 평가좀요(문제는 내일 만들 예정) 2
위대한 과학적 발견은 한 사람의 순간적인 발상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누적된...
-
피부과에 매년 백만 단위로 박은거 저정돈 아니더라도 님들도 피부관리 꼭 하세여 ㅇㅇ
-
한의패기는 전통놀이인듯
-
야구 잘하는법 1
알았으면 프로도전했지 시발
-
사문 한지,사문 정법,사문 세지,사문 지구 사문은 할거구요 2학년때 내신으로 지구는...
-
축구도 그럼 0
분명 정교해졋는데 메시호날두 시절이랑은 비교가안됨
-
섹스
-
황정민이 송지효 드럼통에 넣고 죽이는 장면잇엇는데
-
음악도 발전하면서 낭만이 없어진단 말이지
-
욕 먹을 것 같지만 일단 씁니다.. 먼저 저는 문과 출신입니다 수능점수 기억 잘 안...
-
진짜 밤샐각인데 에어컨없음
-
마구 챱스틱으로 때리기
-
미래의 내가 공부할거야
-
아니꼽다 1
같잖다
-
집을 못가 ~ 3
아침부터 시험이거든 ~
-
... 펴야겠지?
-
폐급 인생 1
자야하는데 아아못 자고 놀고있으므,,,,
-
아 ㅈ됐다 진짜 2
내일 1교시 시험인데 1회독도 안했네
-
저도 열등감이 엄청 심한 편이었는데 저런 생각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니까 좀 그러려니...
-
잔인한거임 동시에 열심히 살아야 하는 동기
-
이걸무료로푸네ㄷㄷ
-
물론 아이언맨에게 무한한 감사를 하지만 세상에 나빼고 모든 남지를 지웠으면 내가...
-
내 경쟁상대 3
어제의 나임
-
하기시작하면 밑바닥을 보게됨 보고싶지않음 더이상
훈장을 받기 위해서 싸운다
칭찬받기 위해 공부한다
봉사활동 시간을 채우기 위해 봉사한다.
이런건 가언적 명령으로, 뭘 하기 위해 하는것으로 칸트는 이런걸 좀 네가지가 없다고 생각했죠.
근데 님이 말하는 도덕성이 저런 가언명령의 이유가 된다면 그건 그 자체로 정언명령이 되지 않을까요?
아리스토텔레스 식으로 이야기 하면 거의 최고의 가치에 해당되는 것이니..
정확합니다. 칸트는 도덕성을 얻기 위해 도덕적인 일을 행하는 것은 스스로가 도덕성에 대해 인식한 것이기 때문에 그 일은 타당하다고 봤습니다. 이 질문은 EBS 하버드 특강 정의에서 한 학생이 마이클 샌델에게 칸트의 정언명령에 대해 질문한 내용입니다.
목적을 가지는순간부터 칸트의 정언명령에 어긋나는것 아닐까요.그게설령 도덕적인것이라 할지라도 그 동기가 절대선이아니니..
도덕성을 얻기 위해 도덕적인 일을 하는게 절대선에 대한 선의지가 아니면무얼까요?
칸트는 도덕법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혜택이 있어야 한다고 했는데 그건 도덕적인 경외감에 의해 행하는 사람들이 도덕성이 얻는 것이죠. 즉 그들은 스스로 도덕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도덕성을 얻게 되었고 (칸트가 말한 혜택이 이 도덕성을 얻는 것이겠죠) 이는 가언명령이 아니라 정언명령에 따라 행동한 것임을 뜻합니다.
도덕적 보편 원리를 위한「목적」에서의 「목적」은 그 단어 자체로 철학적 흑백(목적or의무)논리에 휘말려서는 안되며, 그것은 순전히「동기」의 절대성을 설명함에 사용된 방식일 뿐입니다.
즉,「도덕적 정의를 실현하게 위해, 또는 정언 명령을 위해」등 에서, 「~을 위해」 라는 목적적인 성격의 표현은 단지 설명을 위한 언어적인 차원의 한 관점일 뿐, (이 때문에 비트겐슈타인은 모든 철학적 문제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애매함과 불완전성 때문에 발생한다고 했지요.) 그 자체로는 이미 칸트가 지향하는 바에 정당화 되어있습니다.
"너 자신과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을 결코 단순히 수단으로 취급하지 말고, 언제나 그리고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도록 행위하라" 라는 칸트의 말에서 그가「목적」이라는 표현을 썼다고 해서 목적론적 사상관을 지니는 것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말입니다.
칸트는 인간을 이성적인간으로 보고 그 이성이라는 도구로서 선의지를 획득할수있다고보고있습니다. 이로인해 아프오리오 혹은 선험적인 선의 내재를 주장하는데
이를 선천적성선설이라고보는견해도있고 혹은 인과율과 본능에 약한 인간을 지적했다는점에서 이성으로 선의지를 획득하게된다는 후천적성선설이라고 보는견해도있습니다. 따라서 칸트는 인간이 잠재적으로 선을실현할수있는가능성이있다고보았기때문에 굳이 도덕성을 얻기위해 도덕행위를 한다는 말자체를 안한것으로보입니다.
어쨋거나 목적이 있다는점에서 정언명령에 위반된다고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