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 쪽지

2021-05-06 16:37:48
조회수 457

2018 생1 6월 모의평가 13번 해석전문가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501091



오르비 형 누나들, 내가 이문제 다시 봤거든, 


처음 도입부 해석을 고민해보다가, 왜 내가 이렇게 해석 안해봤지 


하는 순간이 오더라고, 오르비 형들이 논리적 모순 없는지 이야기해줘,


우선, 비분리의 정의에 따르면, 유전자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비분리 이고, 쉽게 이야기 하면, 유전자가 서로 반띵 안하는거지,


그래서, 문제에 따라서, 염색체가 비분리가 두번이 안일어나서,


어떤 특정 두개의 유전자가 대립형질로서, 엄마 아빠한태 받은게 있는게, 이게 공평하게, 반띵이 안되고, 한쪽으로 쏠린 유전자가 두개 라는 


의미 이기 때문에, 23개에서 25개로, 얻은 놈은 2개가 더 


증가 한다고, 가장 보편적인 비분리 정의로 해석하고,


두번째는, 세부적으로, 이 염색체를 상염색체와 성염색체로 


구분해서 세부적으로 봤을때, 


한번 성염색체만 가지고 비분리를 생각하면,


1분열 비분리는 상동관계의 염색체가 한개 더 늘어나곹


2분열 비분리는 자매염색분체 관계인 염색체가 한개 더 늘어난다.


이 정의를 이해하고 숙지하고 있다면, 문제는 2분열 비분리 에 


해당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자매염색분체가 한개 더 늘어나는 경우는


남자는 XX 이거나 YY 두가지 경우의 수밖에 없어.


여자는 XX 오직 이거 하나 밖에 없고, 


그러면, 염색체 25개에서, X 염색체가 없는 경우는 여자는 가능할수 


없고, 오직 성별이 남자인경우만 해당하는 YY인 경우만 가능하다.


라고 해석을 하면, 도입부분에서, 


d-> 3번으로 확정 되는데, 


상염색체랑 성염색체 동시에 그려서 같이 해석 할려고 하니, 이게 해석이 복잡해지더라고, - - 


그리고, 이거는 마더텅 해설인데, 내가 한 말이 마더텅은 그냥 생략되어서 설명 된게 맞죠? 오르비 생물 고수 형 누나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