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 쪽지

2021-05-02 15:03:11
조회수 569

2017 화1 수능 18번 고수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445097



오르비 형 누나들, 나 이문제 어제 밤에 졸라 고민하다가, 독서실 와서, 10분 보니깐, 바로 풀리더라. 왜 어제 고민 했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내가 해설이 좀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이해 안되는 부분에 대해서 질문좀 할게, 


우선 나는 이문제 풀때, 처음에 그래프에서, 단위부피당 X이온의 수 를보고, 염소 일거같다는 생각이 들고, 그래프에 해석해봤어. 


처음 염소가 단위부피당 3N 이니깐, 부피가 3배 되니, 단위부피당 N 이 되고, 


총 부피가 60이 되니깐, 단위부피당, 1/2N 이 되니깐, 


단위부피를 나는 10ml 로 그냥 잡았던거 같아. 그리고,,


첨가한 용액의 부피가 50ml 일때, 의미하는게, 문제 보면, 처음에 NaOH 넣고, 그다음 KOH 넣는다고 했으니, 이거 순서대로 A하고, B를 넣는데, 첨다한 용액의 부피라고만 써있어서, 20 넣고, 50넣는 의미인가 생각했는데, 20넣고, KOH 30 더 넣어서, 총부피 60만들으라는 의미 라고 이해할수 있었어. 


그런다음, 가 와 나를 A 와 B에 매칭할때, 


여기서 첫번째 포인트가, 가 와 나에 공통으로 존재하는게 시커먼 동그라미 이고. 이게 NA+ 만이 유일하가는 정보를 바로 쉽게 파악할수 있는 100프로 정보인거지, 나는 잘 몰라서, 구질구질하게, 여러조건 반응식 써가면서, 다른 이온의 정보를 찾을려고 병신짓을 게속 했던거 같아.


일단, 나는 상대적인 NA+의 농도는 총부피가 증가할수록 단위부피당 NA+는 무조건 감소해야 하기 때문에, 나 가 먼저 나오고, 그다음에 가 가 나와야 한다고 생각했어.


근데, 해설은 반례로, 형광팬 친 부분 있는데, 2:5나오고 이게 도대체 무슨말인지 나는 이해가 안되서, 쳐다보다가 그냥, 내 방식대로 풀었던거 같아. 구지 반례를 따질 필요성이 없이, NA+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니깐, 저건 왜, 저렇게 써놓은건지 아는 오르비형들 있어? 


그리고나서, 나는 단위부피를 10ml 잡았을때, 


나 의 경우는 NA+가 4개 이니깐, 30ml 에서는 12개 일거고, H+는 2개 이니깐, 6개 일거야. 한마디로, 12개의NAOH 20ml 와 18개의 HCl 10ml 가 반응해서, 남는 생성물이 H+6개 인거고, 단위부피 10ml 당 2개 인거라고 해석 할수 있지, 마찬가지로, KOH를 30ml 낳어주었더니, 


K+ 1개 나왔고, 60ml 에서는 6개라는 의미이고, 30ml KOH에는 6개가 들어있었는데, 30ml 랑 섞이면서, 60ml 에 6개가 된거지, 단위부피 10ml에는 1개만 들어 있는거고, 


그래서, B의 경우는 18개의 HCl에 12개의 NAOH 그리고, 6개의 KOH가 들어가서. B 시점은, 솔직히 이정도로 엄밀하게 볼필요는 없지만, 


강산과 강염기가 반응하면 PH :7 나오거든, 그러면. 강산과 강염기가 뭔지 카테고리를 알아야 하고, 


강산 HI HBr HCl HClO4 HClO3 H2SO4

강염기 LiOH NAOH KOH CAOH 


인것 끼리만 반응해야 PH 7나온다 이런거를 절대 구질구질하게 물어보지 않은데, 그냥 확인차원에서 적음. 이런거 까지, 전부 확인해야 한다는 사람들도 있더라고, 나는 왜 이런 부분에서, 절대, 틀리게 안낸다고 생각하는데, 아무튼간에, 


그렇게 쭉 푸는데, 정말 간단하고 단순명료한데, 


왜 해설은 단위부피를 구지, 1ml 로 써서 높은 숫자로 풀어야 하는지, 이것도 뭔가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 1ml 로 쓴거임? 


설명하면서 보니깐, 애초에, 처음에 Cl- 해석 할때, 단위부피를, 

10ml 에서 3N이고, 30ml 에서 N 이니깐, 


이거 그냥 단위부피 10ml 로 써서 해석하라고, reference 를 그냥 친절하게 준거 아니야? 


그래서, 그냥 이후에도, 10ml로 해석을 쭉한거고, 굳이 왜 1ml 로 해설을 썼는지 모르겠어. 


암튼 마지막 질문은 나의 논리에서, 뭔가 오류가 있으면, 형들 누나들 좀 알려줘!


그리고 번외로, 나는 NAOH을 먼저 첨가 한거는 알지만, 만약이게,


40ml 까지, NAOH 주고, 10ml는 KOH 주고 이런 식으로 줄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렇게 처음부터 주관식처럼 풀려고 하니깐, 뭔가접근 자체가 이상해지더라고, 그래서, 주어진 데이타 에서, 점이 A와 B에만 찍혀 있으니, 그 지점에, NAOH하고, KOH라고 각각 화살표를 주고, 이렇다고 풀었을때, 맞는지를 확인하고, 모순없으면, 이대로 그냥 풀었던거 같아. 이 부분이 좀 솔직히 찜찜해. 


20ml까지 NAOH첨가 하고, 30ml를 KOH첨가 했다고 해석하여 풀었지만, 약간 다른 방향성으로, NAOH가 30이나 10ml첨가하고, 나머지 KOH를 60ml 까지 채웠다는 이런 생각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하면 안되는지 근거를 잘 모르겠어. 그냥 좀 찜찜한느낌임.


근데, 적으면서 다시 생각해보니, reference 로 cl-를 해석할때, 이미,A까지, NAOH 20ml 를 넣어줘여만, Cl- 가 N이 되고, 이후에


NAOH 넣는거 전혀 없이, KOH로만 넣어줘야. NA+가 양은 일정하고,부피만 두배로 증가하니, 4개에서 2개로 둘어드니깐, 


처음 reference 에 이런 샛길로 빠져서 생각하지마 임마 하고, 애초에조건을 던져준거 같네. - - 나는 그냥 아무 생각없이 reference 를 해석한거 같은데, 이거 reference 도 이렇게 해석하라고 문제에서 준 의미가 맞아? 이거 약간 생2 에서 데이타 주고, reference 주고, 해석한다음, 문제 해석하라는 스타일의 문제랑 엄청 유사해서, 이것도 질문할게, 이런 의미 맞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눈풀화1 · 900312 · 21/05/02 15:24 · MS 2019

    1. NaOH를 첨가하는 경우 Na+의 농도는 증가함. 따라서 NaOH가 어느 지점까지 들어가는지 모르는 상태에서는 Na+가 감소한다는걸 확정할 수 없어요. 그래서 답지에서는 Na+가 증가하는 경우도 판단을 해준거고요.

    2. 단위부피는 마음대로 잡으면 돼요. 1ml로 잡아도 되고 10ml로 잡아도 되고 100ml로 잡아도 되고. 계산하기 편한대로 하면 됩니다.

    3. A까지 NaOH첨가, B까지 KOH 첨가로 두고 푸는거는 찍어서 푸는거에요.
    A에서 K+가 없음을 보고 적어도 A까지는 NaOH첨가다 를 확인하고
    B에서 Na농도가 A에서 농도의 절반인걸 보고 A부터 B까지 NaOH가 더 들어가지 않았음을 확인해야 해요.

    찍어서 풀어도 '틀릴 경우 모순이 나오니까 괜찮다'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공부할때는 엄밀하게 푸는게 좋고
    답지의 경우에는 더욱 더 엄밀하게 작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해설에 저 모든 경우가 적혀있는거에요.
    해설에서 A or B인데 A로 해보니까 답이더라 라고 적을수는 없으니까요 ㅋㅋ
    그래서 해설에서는 B이면 모순 나오고 A로 하면 모순이 안나온다. 라는 형식으로 나와있는거고 학생이 볼때는 불필요하다고 느낄수도 있지만, 꼭 필요한 부분이라는 점 참고하면 좋을거에요.

  • Rinoa12 · 948965 · 21/05/02 22:54 · MS 2020

    감사합니다. 항상 해설 볼때마다 그 부분이 뭔가 이상했음. 왜. 이런 필요없는 부분을 썼는지 이해가 안됬는데, 해설 쓴 사람 입장에서는 나름 그런 고충이 있을거라고 생각을 해보진 않았어요.

  • 논리화학 · 746146 · 21/05/07 19:37 · MS 2017

    참고로 저 그래프는 과조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