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 쪽지

2021-04-26 15:08:59
조회수 779

화학1 2014 3월 학평 20번 만점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362498



형들, 이거 내가 문제 푼거는 신경 쓰지 말고, 


이거 문제 해설이 근본적으로 틀렸거든, 왜 해설이 틀렸다고 왈가불가 하지 않을게, 내가 해설 에 파랑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 그부분으로 반응식을 두가지 경우의 수로 생각해서, 풀이가 전개 전개 되는데, 이거 절대로 이렇게 풀어서는 시간안에 세이브가 안되는데, 


여기 해설방법 말고, 다른 방법으로 쉽게 풀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수있는 화학 고수형 없어?


그리고. 이 문제에 해설에서, 파랑색 선 그은 부분의 논리는 내가 양론  풀면서, 저 논리는 솔직히 처음봤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Tok2 · 1054079 · 21/04/26 15:21 · MS 2021

    첫 번째 반응에서 부피가 8cm에서 7cm로 줄었고, 두 번째 반응에서 8cm에서 6cm로 줄었으니 두 번째 반응이 첫 번째보다 2배 많이 반응했다고 할 수 있음.

    근데 A의 양이 2배로 늘었으므로 두 식 모두 A가 한계 반응물인 것을 유추할 수 있음.

    높이 1cm당 1/2몰이므로 첫번째 반응은 4몰에서 3.5몰로, 두번째 반응은 4몰에서 3몰로 바뀜. 이를 이용해 nA2+mB2=X로 식을 두 개 써서 풀면 m=2, n=1이 나올 것임

    너무 복잡한가?

  • Tok2 · 1054079 · 21/04/26 15:24 · MS 2021

    사실 문제 계속 풀다 보면 어떻게 풀지 바로 보임.. 근데 논리적인 설명을 하려면 시간이 조금 걸려서 복잡할 수도

  • Rinoa12 · 948965 · 21/04/26 15:28 · MS 2020

    넹 여전히 복잡해요. 제가 원초적으로 쉽게 푸는 방법 발견했습니다. 너무 좋아서, 방방 뛸거같네요. 식두개 써서 푸는 방법은 엄청 안좋은 방법이라는것만 말씀 드릴게요. 다음 해설에 올릴게요.

  • Tok2 · 1054079 · 21/04/26 15:28 · MS 2021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