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 쪽지

2021-04-20 15:17:07
조회수 336

2017 6월 모평 생2 19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264617



이 문제를 풀때도, 빨간색 포스트잇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진짜 이 문제가 나는 재밌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잘봐 형들, 보기에 “ II는 ㄱ에서 젖당 오페론의 구조유전자를 발현한” 


라고 나오는데, 보통 상식적으로는 뭐이런 개뼉다구 같은 게 있지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구조유전자는 그냥 소량을 일단 발현은 되니깐, 그런데, 왜 하필 ㄱ 조건이랑 구조유전자 발현이랑 아무 인과관계없다고 오류라고 생각이 들다가, 갑자기, 젖당이 들어와서, 구조유전자가 이제 “본격적” 으로 발현이 된다고 생각하면, 굳이 음식이 없는 조건과, 젖당이 있는 조건중에 선택해야 한다면, 당연히 젖당이 있으면, 세포로 유입되고, 알로락토오스 되고, 유도자로서, 추가적으로, 포도당도 없으니, cAMP 가 증가하여, cap 에 붙어서, RNA pol 을 뒤에서 힘껏 밀어주니깐, “본격적인전사” 로서, 문제의 발현된다를 해석하면, 이게 아무 오류 없이 보기가 말끔하게 해결이 또 가능해. 



처음에 오류인지 알았는데, 문제조건에서 주어진거에서, 또 생각해서 또 풀면 또 오류가 아니야. - - 


(사실 문제 풀면서 오개념 생기는 두려움 때문에, 기출이외에 사설문제 푸는게 엄청 두려움.)


그런데. 문제 해설을 보면, ㄱ 선지분석에, 조절유전자의 결실은 결실 된 부위에 따라서, 억제 단백질이 생길수도 있는데, 왜 굳이, 조절 유전자의 프로모터나 개시 유전자의 결실에 대한 한정된 상황만 가지고, 어느배지든 단백질을 생성한다고 하면, 약간 이상하다는 생각이들고, 


옳바른 해설은, 그냥 promoter 결실 오페론이니, 음식을 안주던, 젖당을 주던, 일단 억제 단백질은 그냥 항시 생성하는거 이기 때문에 맞고, 



ㄷ 해설은 일단 젖당분해효소는 조절유전자 결실과 아무 관계없이, 


일단 소량이라도 생성? 은 되잖아. 그니깐, 일단 생성은 맞는걸로 해석해도, 답은 정확히 ㄱ,ㄷ 으로 나와. 


그러면. 내가 알고 있는 개념으로 문제를 해석하는게 가능해지는거 같음. 오르비 형들의 생각이 궁금해. 이 문제를 보고, 어떻게 생각했는지 궁금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