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 쪽지

2021-04-14 00:18:00
조회수 1,179

2018 수능 17번 화1 만점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159330



오르비 형님 누나들 정말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104번 문제를 봤을때, 이 문제가 마더텅 해설에 따르면,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을 보자마자 바로 아하! 이게 한계반응물이 다르구나. 라는 거를 거기 의대 다니는 학생 얼굴 그러져 있고, 바로 판단해서 풀었다고 나오는데요. 


아무리 봐도, 이게 한계반응물이 두 실험에서 다르다는 거를 어찌 판단하는지, 마더텅은 간단하게 써있는데. 이해가 안되서, 바로 직전 문제 풀던거 보니깐, 


두번째 그림에, x축이 A의 몰수에 Y축이 전체물질의 몰수/c의 몰수로 나오는 그래프 인데요. 이 그래프 상에서 보면, 처음에는 A가 모두 반응이고, 두번째는 B가 모두 반응인데, 그 양 사이드로, 만약에 Y축이 


같다면, 그 Y축 사이에 반응종결지점이 있다라는거를 판단한다는 원리인건가요?  


뭔가 납득이 될만한 다른 설명은 없나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ㅜㅜ


근데, 제가 생각할때는 현실적으로 수능 문제들이 좀 비슷비슷해서,


그냥 이 문제 봤을때, 대충 한계반응물 왼지 B가 작으니 이게 한계반응물 일거같고, II 실험은 A가 한계반응물일거 같다고 대충 대입해서 때려맞춰서 풀거같은데, 이게 풀이가 답은 맞아도 틀린풀이여서 너무너무 궁금하네여!! ㅜ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ㅂ메ㅣㅁ · 1020682 · 21/04/14 00:24 · MS 2020

    2번째거는 꺾이는 점으로 판단, 앞에건 A가 둘다 한계일 때, B가 둘다 한계일 때 머릿속으로 생각해보고 둘다 4일 수 없으니 한계 다르겠구나 판단

  • 눈풀화1 · 900312 · 21/04/14 01:02 · MS 2019

    그래프로 판단하는게 제일 빠르고 무난해요. 익숙해지면 쉬울거에요.

  • 소리쳐 · 886465 · 21/04/14 01:04 · MS 2019 (수정됨)

    50점은 아닌 48점이지만 1번문제에서 한계반응물설명을 좀 하자면 실험1에서는 어떤 미지수가 b나 x에 들어와도 무조건 한계반응물은 B이다.(이 정보에 대해서는 생각을 해보시면 정리가 되실꺼임)
    실험2에서는 A또는B 둘중에 한계반응물이 머가 될지 처음에 모를수도 있는데 이것도 조금만 생각하면 바로 A가 나온다 그이유는 실험1과 실험2에서 같은 한계반응물이 나오면 위의 표에서 반응후의 숫자인 저 4가 동시에 나올수가 없어진다
    근데 실전에서는 무조건 다르다고 생각을하고 먼저 들어가는게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