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비문학] N회독은 프레임이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982893
저번 EBS 활용법에 이어서,
매년 반복되는 물음에 대해 답해보려 합니다.
'기출은 몇 번 정도 봐야 적당할까'라는 물음에
정답은 사실 '얻어갈 게 없을 때까지'입니다.
무슨 얘기일까요?
10번을 보더라도 기출을 올바른 방법으로 공부하지 못했다면 실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한두번을 보더라도 제대로 공부하면 실력의 질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 같지만,
제가 현역 때도 '기출 N회독'이 마치 게임의 레벨이나 성취도처럼 여겨지던 풍조가 있었는데
여전히 '기출 몇 번 봤냐'가 일부 학생들에겐
'얼마나 공부 열심히, 많이 했냐'의 척도로 생각되는 것이 안타까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10번을 봐도 아직 이해가 되지 않는 문장, 헷갈리는 선지가 있다면
이전의 9번은 의미 없는 시간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저는 작년에 N수생들을 10명 가까이 가르쳤습니다(일부는 저보다 나이가 많으셨습니다).
현역, 재수는 몰라도 삼수를 넘어가게 되면 사실 대부분의 기출 지문을 공부해봤을 겁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 지문에서 열의 일당량 얘기 왜 나온 거죠?', '카르노의 설명이 왜 에너지 보존 법칙에 위배되죠?'
(2017 9평)
'인과성 얘기는 왜 써놨을까요?'
(2020 6평)
'로열티의 문맥 안에서의 의미가 뭐죠?'
(2021 6평)
이런 질문에 대해 제대로 답한 학생은 거의 없었습니다.
기출을 여러번 보면서도
각 표현을 왜 썼을지, 해당 문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보조사와 접속사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묻지 않고
오로지 선지에서 답을 내는 것에만 집중하여 공부하다보면 실력이 상승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한 번을 공부하더라도
지문을 완전하게 이해하면서 넘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문장이 서로 어떻게 이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개별 표현들의 지문 안에서의 의미를 정확하게 받아들이며
<보기>와 선지를 통해 지문의 내용을 확장시키는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이죠.
물론,
사람이니만큼 한 번 공부해서 모든 것을 얻어가기는 힘듭니다.
한번 제대로 공부하고, 이해가 안 됐던 포인트를 메모해 둔 뒤
나중에 그 부분을 토대로 빠르게 복습하는 것이 좋겠죠.
저같은 경우는 현역때 5개년 지문을 전부 이해하며 공부했고,
나중에는 헷갈렸던 지문, 이해가 잘 안됐던 지문들만 복습했던 것 같아요.
이런 '완전한 이해'를 혼자 하기가 힘들고,
학생 혼자 공부하다보면 자기가 제대로 하는지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에
올바른 국어 비문학 독학을 돕기 위해 '만점의 생각'을 집필했습니다.
제 책을 보시면 확실히 국어 공부에 방향성을 찾으시리라 생각하지만,
하단에 제가 링크를 달아놓은 칼럼 글들만 쭉 읽어보셔도
독학을 하는 법에 대해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는 '기출 분석하는 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글을 들고 오겠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해주시면 더 좋은 글들 보실 수 있을 거예요 ㅎㅎ
국어 EBS 수특/수완 활용법 https://orbi.kr/00036928042
21 기출 분석서 https://orbi.kr/00033213293
19 수능 31번 맞추는 법 https://orbi.kr/00032755321
국어에서 그래프 나오면 생각할 것 https://orbi.kr/00032704180
21 9평 '헤아릴' 해설 https://orbi.kr/00032261940
비문학 어휘 기출 모음 https://orbi.kr/00031872184
9평 만흥 38번 '관념적' 해설 https://orbi.kr/00032237314
문학 개념어 교재 https://orbi.kr/00032190440
문학 개념어 '대화체'? https://orbi.kr/00031713659
21 6평 산상의 노래 해설 https://orbi.kr/00031271872
19 9평 STM 문제 해설 분석 https://orbi.kr/00030201635
거시독해란 이런 것 https://orbi.kr/00031467438
고대의 문학 기출 https://orbi.kr/00036193231
만점의 생각 구매 링크 https://atom.ac/books/8179
0 XDK (+110)
-
100
-
10
-
미적하는 중인데 계속 확통이 아른거리네
-
없음
-
새터 0
안가도 문제없겠지? 반수할거라 그시간에 공부도 할겸 안가려고 했는데...
-
친구가 아프다고 나한테 dm보내면 내가 침놔줄까? 라고해보셈 그럼 어떻게 놔줄건데...
-
히토츠데 이이 4
치라누 보탄노 히토츠데 이이
-
ebs책이왓스니 6
내일은과탐공부를
-
재수생인데 하루종일 앉아있으니까 계속 딴생각이 드는데 뭐라그러지 문제를 풀면서도...
-
확통<<<<<미적 11
은 아닌거 같고 확통 처음 하는데 문제 왜 이리 안 풀림? 시발점 워크북 정답률이...
-
재수랑 군수랑 하니까 올해 4월말에 전역하는데 1학기 건너뛰고 여름계절로 듣고...
-
한심하다 2
그 사실을 나도 알고 있다 그 꼴을 보기 힘들어하시나 보다 근데 나는 바뀔 의지도...
-
간지가 좀 떨어졌잖아요 만약 의대가 증원해서 입결떨어지면 간지가 떨어질까요?
-
대학 캠퍼스에 잇따른 화재…방화 추정 20대 중국인 유학생 검거 2
울산의 한 대학교 안에서 연쇄 방화를 저지른 20대 중국인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
가 나올수 있을까? 하니 외노자라 곧 자기나라가야해서 무리겠지?
-
존나쾌적하다 남는시간에 문제더풀어야지
-
원투쓰리포 3
언제든 필요할땐 편히 날쓰도록
-
ㅈㄱㄴ 흐흐 이것만 파면 높3은 뜨지 않을까여
-
돌아버릴것같아 1
일이너무많아 이번주만견디면끝
-
약물 처방 위주로 3분 진료 하는 곳이 많은데 이런데는 보통 예약 없고 증상 위주로...
-
시대기출 확통 18
구할 방법이 없을까요... ㅜㅜ
-
수2노베탈출후 3
3모 에피 따야지
-
군면제/정공 가능함 어느정도의 정신병인지 개씨발 그냥 좆같음 ㅇㅇ
-
기출문제 푸는데 쉬운거도 안풀린다 사탐마렵네
-
따로 주간지같은거 푸심? 이거 커리큘럼 강의만 듣고 풀면 양이 좀 적어보여서 하루...
-
이렇게 하는사람있음? 쫑 시즌2 들어가기 전까지 뉴런기출 다해야되는데
-
덕코 1
주세요
-
노래 잘하고싶네 3
밴드부 보컬 보니깐 걍 보법이 다름 그정도로 해보고 싶네
-
주식 4
쌀임
-
저랑 같은 시기에 근무했던 분들 아웃풋 저-(대학라인 2라인 올림) 언니1-(시립대...
-
주식 0
하따로 개많이 벌었음 다시 탔는데도 또 먹여줌 레전드
-
레어 팔아요 2
선택만 해도 3.1퍼센트의 수험생이 될 수 있는 가성비 ㅆㅅㅌㅊ 과목임
-
확통 단점 4
선택과목 얘기 나올때마다 왜 확통을 선택했는지 변명해야함
-
막 이르케 이르케 하면 풀려 님만 아니라 남들도 그래요 ㅅㅂㅇ
-
설의 지역균형 수시로 가기 vs 정시로 조선대 의대 가기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가천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가천대학생들을 돕기...
-
삼일한 2
삼일에 한번 샤워하는데 ㄱㅊ?
-
요루시카 빼고는요
-
원하는 좋은 사람 나타날때까지 난 잠시그녈지켜줄뿐야 3
아무것도 바라는 것 없기에 그걸로도 감사해 워어 언제든 필요할땐 편히 날 쓰도록 늘...
-
안녕하세요. 황성찬입니다.오늘은 인문 논술 합격이 실력인지, 운인지에 대해...
-
처음으로 레어 함 사볼까 했는데 레어상점?? 들어가봤는데 뭐라해야되지 그,,...
-
빵만 맛있고 내용물은 평범
-
대학에서 대학공부 하는것보다 재종에 처박혀서 브릿지 서바 강k 벅벅하는게 더 재밌을것같음
-
알콜은 만들기가 너무 쉽고 담배는 너무 역사가 오래돼서 현실과의 타협인 듯 돈 주고...
-
설대내신반영이 0
내신은 1점대인데 생기부는 메디컬 생기부에 이수과목도 전부 이과관련 과목들인데...
-
공통만 몇분 잡고 풀어야하나요? 통통이에여
-
수리논술 유홍조 2
들으려고 하는데 수업 좋나요?
-
재수생, 작수 생1 45점 백분위 96 국수가 심각한 상태 <<< 특히 미적...
-
오부이들 주량 얼마임 38
본좌는 소주4병침 나보다 잘 마시는 사람잇서?
-
말 개 잘통할듯
-
재종에서 떠드는것도 이해안되는데 수업시간에 대화하는건 ㄹㅇ 뭐지 단과도 수업시간에는...

요즘 느끼는건데 국어공부에서 생각이라는 걸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도 어려운과제인거같네요공감합니다
제발 저렇게 공부해주세요
이 책 보면은 비문학 공부랑 기출분석을 어떻게 하는지 알 수 있나요?
넵 혼자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향을 잡아주는 기출분석서입니다
국어 원래 잘하셨나요? 아니면 고3때 올리신건가요?
고3때 엄청 올렸습니당
지문 읽으실때 지문내용이해와 더불어 구조도 같이생각하시나요? 예로들면 비교대조나 분류나열등등.. 오히려이런부분에 신경쓰다보니 정작 내용이 안들어올때가 있어서용
구조도는 이해를 위한 도구 중 하나고, 꼭 필요한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당
쪽지확인가능할까여ㅎ
교육과정 개편된 작년시험부터의 경향성이 반영된 릿밋딧피셋지문 선별해서 만점의 생각 후속편 쓰실생각 없으신가요?
선댓글 후정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