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윤리와사상- 흄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87293
흄은 공감을 통해 보편적인 도덕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o,x
흄이 보편적인 도덕기준을 인정할까요?
흄이 도덕원리를 부정해서 회의주의자인건 아는데
시인과 부인의 감정이 아닌
공감능력을 통해서는 기준이나 원리를 마련할 수 있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87293
흄은 공감을 통해 보편적인 도덕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o,x
흄이 보편적인 도덕기준을 인정할까요?
흄이 도덕원리를 부정해서 회의주의자인건 아는데
시인과 부인의 감정이 아닌
공감능력을 통해서는 기준이나 원리를 마련할 수 있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공감능력을 통해서 도출되는 것이 시인과 부인인데 공감능력은 되고 시인부인은 안 되는 건 조금 이상하지 않나요..?
어 잠시만
아, 그러네요 시인과 부인의 감정으로 공감능력이 나오는게 아니라
공감능력을 통해서 사회적 유용성에 따라 시인과 부인이 나오는 거군요!
그러면 틀릴 가능성도 있겠네요,
O 사회적인 시인과 부인의 감정=흄의 도덕적 판단 기준임 . 단순히 개인의 감정이 아니라 사회적 공감의 감정으로 판단하는 거라서 보편적이라는 말 ㄱㄴ
글구 도덕원리를 부인해서 회의주의자인게 아니라 회의주의적 진리관을 가지고 있는 걸로 이해하셔야해요 절대적인 진리는 존재할 수 없다..!
그게 회의주의자 인데요?
그럼
"시인이나 부인의 감정 차체가 도덕원리가 될 수 있다" 라고 한다면 흄도 동의할까요?
감정 자체가 도덕원리다라는 선지 어디서 봤는데 오답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ㅎㅎ 맞아요 2019년 9월 11번 선지 ㄹ선지 입니다.
중요한건 기억하고 있어서요
근데 사실 보편적인 기준과 도덕원리라는 것을 똑같이 간주해도 되는지 헷갈리네요...ㅠ
제가 도덕원리랑 도덕판단을 동일하게 봤네요 죄송해요ㅠ 제 생각에는 도덕 원리라는 단어가 공리주의하고 칸트 공통점으로 보편적인 도덕원리가 있다라고 평가원에서 자주 제시하기 때문에 도덕원리=보편적 기준이 맞는 것 같긴해요..! 근데 흄입장으로 가면 애매해지긴하네요 아마 도덕원리라는 말보다는 도덕체계 혹은 도덕적 판단 기준 이런식으로 나올것같네욥..
네 감사합니다..ㅠㅠ
저도 "자체"라는 단어가 나오면 주의해보고, "도덕"과 "원리"를 개별단어로 보지말고 "도덕원리"라는 단어로 안에 공리주의나 의무론의 특징을 내포하는 단어로 봐야할 것 같네요
도움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해욥 수능에서 다맞아요!
와......ㄷㄷ 도덕의 체계를 세워야한다가 맞다는 선지도 있나요??
그럼 너무 애매해지는 것 같네요......ㅠㅠ
넵 근데 확인해봤는데 "시인이나 부인의 감정 차체가 도덕원리가 될 수 있다" 이 선지는 선생님들끼리도 갈리네요 흄이 부정이라는 분들이 더 많긴했어요! 긍정이라는 분은 도덕 원리를 '기준'으로 보시고 부정이라는 분들은 승인과 부정의 감정으로 도덕적 판단(구별)이 가능한가지 도덕원리라는 말은 좀 그렇다 이렇게 말씀하시네용
저는 "도덕원리"라고 하는 건 벤담이랑 칸트까지인 걸로 일단 기억하고 가려구요..!
공리주의의 공리도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지만 기준으로 취급하듯이, 다수가 느끼는 사회적 감정도 기준으로 가능하지 않을까요?
네 그런것 같아요 ㅋㅋㅋ 까다롭네요 주정주의...ㅠㅠ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 기준은 개인과 사회를 초월하여 보편적이다. 2006년 수능 선지인데 아니요라고 나왔습니다
초월하여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구성원 내에서 보편적이다 라고 한다면 맞을듯해요
ebs봤는데 이미 보편적이다, 기준이다 이런얘기는 많이 있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