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 문제 풀이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275111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칼럼으로 찾아뵙니다!
일단 우선 얘기하자면 고3은 괜히 제 방법 따라하려고 방법 바꾸다가 말아먹지 말고 왠만하면 유전을 이제 시작하는 사람이나 시간이 많은 고3에게는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순전히 기출분석을 통해 제가 혼자서 독학해서 습득한 방법임을 미리 알려드리고, 인강은 들어본적이 없기 때문에 비슷하다면 우연의 일치임을 미리 밝힙니다.
진짜 별거 없는데 대부분 문제를 풀 때 대립 유전자를 A, a 또는 B, b 등등이라고 나타내죠?
그대신 전 ㄱ, 정 ㄴ, 정으로 나타내는 것 밖에 다른게 없습니다.
예를들어 ㄱ을 나타내고 열성형질이라 가정하면 ㄱㄱ <<이거처럼 두번 적는것이죠
그리고 정상이고 잡종이다? 그러면 ㄱ정 이런식으로 적는거죠!
그리고 우열관계를 헷갈리지 않게 따로 종이에 옆에 정>ㄱ 이라고 적어놓습니다.
대표적으로 18학년도 때 제일 어려웠던 유전문제인 19번의 풀이를 통해서 알아볼까요?
H, H* R, R* T, T* 모두 무시하고
ㄱ 정
ㄴ 정
ㄷ 정
이렇게 나타낸다고 생각합시다.
종이에 이제 풀이해볼까요? (종이같은 아이패드)
일단 문제를 딱 봤을 때는 다음과 같이 제일 먼저 밑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제 그러면 ㄴ의 우열관계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겠죠?
엄마가 ㄴ을 가지지 않으므로 정>ㄴ입니다. 그래서 이제 연습장에는 밑에와 같이 풀이를 할 수 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쉽게 위와 같이 ㄱ의 우열관계도 파악할 수 있겠죠?
제가 하는건 181119의 풀이가 아니기 때문에 ㄷ의 우열관계가 정해지는 과정은 간단하게만 설명하자면
3, 4가 모두 남자이고, 둘 중 하나가 클라인펠터인 상황에서 ㄴ과 ㄷ의 표현형이 같습니다.
그러면 둘 중 하나는 무조건 정상이므로
?
정
ㄷ
의 유전자 하나는 무조건 섞여있어야 합니다. 근데 이는 엄마한테서 온 것이므로 엄마의 ㄷ에 관한 유전자형은 ㄷㄷ입니다.
그런데 딸이 ㄷ에 대하여 정상을 나타내므로 ㄷ은 열성형질입니다.
그래서 이제 모든 구성원의 유전자형을 나타내고 우열관계를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네. 위와 같이 이런식으로 문제 풀 때 시험지에 이렇게 적혀 있으면 됩니다.
되게 간단하고 이건 가계도 그림문제에서도 적용하기 쉽고 정석대로 풀 때는 A가 뭔지 A*이 뭔지 고민해서 처음에 A, A*를 적을 때 하는 고민을 안해도 되기 때문에 생각하기 훨씬 쉽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시인게이!시인게이!시인게이!

아 이제 나도 50점이다ㄱㅁ
저랑 거의 똑같이 푸심 ㅋㅋㅋ
특히 저 문제 풀이과정도
저거 알비노가 알비노식 표기라고 하던데 흠흠...ㅋㅋㅋㅋ
팁하나만 더 드리면 전 '정' 이라고도 안쓰고 ㅈ이라고 씁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