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벌레사냥꾼 [251373] · MS 2008 · 쪽지

2012-10-10 00:26:49
조회수 1,708

4인 4색 실전편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13851

                                                               



82번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cultural globalization은 economic globalization에 사람들이 잘 인식하지 못할 뿐이지, 이미 또한 economic globalization과 함께 진행되어 왔다고(has also been taking place) 라고 본문에서 진술하고 있고
계속해서 청소년들이 글로벌 기업들에게 매료되고 있음에도 이를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볼 때, 새로운 물결(A New Wave) 이라는 표현은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new 하다면 과거의 globalization은
economic이 주 였는데 지금은 새로운 유형은 globalizaiton인 cultural globalization이 나타나고 있다던가, cultural globalization의 등장을 알려주는 표현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92번도 본문에는 new가 빠져있는데, 이건 아마 앞문단에 new와 대조되는 방법이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그래서 ebs에서는 new 를 빼버리고 본문으로 완결성이 있는 문단으로 냈는데, 책에는 그대로 들어가 있어서 조금 완결성이 떨어지네요.

99번은 2,4번이 해설을 봐도 여전히 헷갈리네요... 정확히 짚어냈다고 답이라고 하셨는데, 4번도 정확히 짚지 않았나요? 조금더 포괄적이여서 답이 아닌건가요? 정확하게 어떻게 틀린건가요?

100번에서 1번 선택지를 고를때 본문이 다윈의 진화론과 창의적 재능의 유사점을 들어 창의적 재능을 설명한 글이라고 생각해서 결국 둘의 공통점을 통해 창의적 재능에 특성을 시사하는 글이 아닌가 생각했는데 왜 틀린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신도 · 365411 · 12/10/21 21:22 · MS 2017
    답변이 늦어진 점 죄송합니다.

    82번문제 첫문단의 요지는 cultural globalization의 소개입니다. A new wave 의 new는 '전에 없던것이 만들어지거나 도입되어 새로운' 이란 뜻과 동시에 '잘 몰랐었는데 알게되어 새로운'
    그리고 '다시시작되어 새로운'등의 뜻이 있습니다. 새로운 발생을 강조하는 첫번째뜻이 많이 사용되나 두번째와 새번째뜻 역시 상당히 많은곳에 등장합니다. 필자가 첫번째 문단에서 말하고자 하는 new
    는 두번째뜻에 가깝습니다. cultural globalization은 이미 진행되어오고 있지만 사람들이 잘 모르는(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Most of people will think about the economic globalization when they are asked to think about the detail kind of globalization.
    즉, cultural globalization이 대중에게 잘 알려져있지 않았지만 새롭게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소개하기 위해 New를 사용한것 같습니다.
    4인4색 어휘편에서 수차례 강조하였지만 어휘의 한가지 뜻에만 의존하다보면 큰 그림을 읽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습니다.
    어휘의 다양한 용례의 학습 당부드립니다.
  • 신도 · 365411 · 12/10/21 21:29 · MS 2017
    92번 같은경우 무엇때문에 완결성이 떨어지는지 벌레사냥꾼님의 글만으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원어민에게 감수를 부탁한 결과 문장, 문단 의미나 구조상으로 전혀 이상이 없다고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신도 · 365411 · 12/10/21 21:42 · MS 2017
    99번 문제에서 보기 2번이 확실한 답입니다. 문제를 읽어보시면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입니다.
    보기4번은 답이되기에 비교적 너무나 광범위한 의미입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내마음은 호수요.' 라는 문장에서 필자가 사용한 전달 방식은?

    1. 은유법 2. 한국어 문법 3. 영어 어법 4. 풍유법

    몇번이 답일까요~?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1번 은유법을 선택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문장에서 한국어 문법이 사용되지 않았는가? 당연히 한국어 문법이 사용되었지요. 하지만 1번 은유법이라는 보기가 있는데 2번을 답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을것입니다.
    1번에 비해서 너무나 광범위한 개념이기 때문이지요.

    99번 문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 문제를 푸셨을때 아마 쉽게 맞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검토를 하면서 4번에 대한 의문이 남았을 수 있고
    설명을 통해 해결이 되셨길 바랍니다.
  • 신도 · 365411 · 12/10/21 22:05 · MS 2017
    100번문제같은 경우 '다윈의 진화론과 창의적 재능의 유사점을 들어 창의적 재능을 설명한 글' 까지는 맞습니다. 글에 대한 내용적 이해는 제대로 하신것 같습니다.
    이 글의 핵심은 창의적 재능이지요. 필자는 창의적 재능을 설명하기 위해 다윈의 진화론과 유사점을 들어 설명하였습니다.
    보기1번에 comparison이란 비교, 비유라는 뜻인데 주로 비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비교의 의미는 둘 이상의 사물을 견주어 서로간의 유사점, 차이점, 일반법칙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보기 1번의 comparison between creative genius and natural selection는 creative genius 과 natural selection의 비교라는 뜻이지요.
    보기 5번의 the way how the creative genius works은 creative genius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글의 필자가 의도한것은 창의적 재능과 다윈의 자연선택을 견주어 서로간의 유사점, 차이점, 일반법칙을 찾아내는 것이였을까요, 아니면 창의적 재능을 더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윈의 자연선택을
    차용한 것이였을까요?
    글쓴이는 후자를 의도한 것 같습니다. creative genius와 natural selection은 문단에서 비중을 따져보았을 때 동등한 관계가 아니라 종속의 관계입니다.
    문단의 처음에 따옴표를 사용하여 creative genius가 아주 중요한 개념임을 밝힌 뒤 5번째 줄부터 맨 끝까지 줄창 어떻게 creative genius가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대한 설명만을 하고 있습니다.
  • (바퀴)벌레사냥꾼 · 251373 · 12/10/21 23:24 · MS 2008
    모든 물음에 시간을 내어 친절하게 답변해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다시 학습을 한 후 혹시라도 추가적인 질문이 생기면 질문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