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ODA LAB [440633] · MS 2013 (수정됨) · 쪽지

2020-04-30 02:32:52
조회수 9,595

킬러 문제는 좋은 습관이 쌓여서 풀리는 겁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780187

(226.4K) [856]

27번 해설.pdf

안녕하세요, 주예지T 연구실 AJOODA LAB 입니다.



[ Daily Stage 3월 3주차 해설강의 ]


집중하세요!! 이번에는 


킬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을 간단하게 다뤄보려 합니다.


정확하게는 수학 문제를 멋있게 푼다는 것의 편견을 다루려고 합니다.




다음 두 가지 접근 중에서 어떻게 푸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지 한번 생각해보길 바랍니다.


1. 문제를 읽고, 해결 과정을 설계하고, 슥슥 풀어서 맞히기

2. 문제를 읽고, 해결 과정을 설계하고, 슥슥 풀다가 막혀서 문제를 읽고, 해결 과정을 설계하고 ....


누구나 1번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슬프게도


현실 =/= 이상


은 항상 성립하는 것만 같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받아들여야 할 것이 있습니다. 


생각이라는 것은 몇 가지 단계를 반복하는 것


다시 말해서 '1단계 -> 2단계 -> 3단계' 의 순서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1단계 -> 2단계 -> 3단계 -> 2단계 -> 3단계' 의 순서로 생각하는 것이 잘못되지 않았음을 받아들이길 바랍니다. 문제 해결력은 원래 그렇게 작동합니다. 


처음에는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게 왔다갔다 하면서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을 복기하다보면 어느 순간 쉬운 문제들을 이상적으로 해결하게 되는데 그때가 되면 올챙이적을 떠올리지 못해 생각하는 방법을 잊어버리게 됩니다. 이러한


지식의 저주


에서 벗어나고, 생각하는 습관을 바로잡으면 어려운 문항도 생각의 과정을 통해서 풀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식의 저주에서 벗어나려면 다시 올챙이적을 더듬어봐야 합니다. 
(그리고 좋아요와 팔로우도 눌러야 합니다)




지금까지 읽은 것들을 받아들이는 것만으로도 생각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들고, 자신을 조금 더 깊이있게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능력이 향상되면서 수학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을 체계화하게 될 것입니다.


명심하세요. 


생각이라는 것은 1단계에서 3단계까지 순차적으로 밟는 것이 아니라 해결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고, 그 과정 하나하나에 대한 과거의 경험을 되찾으면 킬러 문제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습니다.




이제 지금까지 전달한 것을 마음에 새기면서 다음의 문항을 풀어보길 바랍니다.



[ Performance 수학I+확률과 통계 27번 ]


이번에는 문제를 풀었더라도 첨부파일의 해설을 읽어보기를 바랍니다.


적어도 수학에서 적용되는 생각의 단계라는 것이 무엇인지도 해설에서 안내하고 있습니다.


오래전 기억을 더듬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0 XDK (+120)

  1. 100

  2. 10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