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꿀팁 [486736] · MS 2014 (수정됨) · 쪽지

2020-03-13 19:58:03
조회수 5,134

아주 어려운 비문학 자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503416

(1.4M) [2863]

2021 바다 해설 고난이도 인문1 법이념.pdf

(1.3M) [1256]

2021 바다 지문 고난이도 인문1 법이념.pdf


안녕하세요 오늘은

'매우 어려운' 비문학 지문 중 하나인 2007 meet 법이념 글을 

가지고 왔습니다


과학 기술 경제에서는 어려운 지문을 많이 겪어 봤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어려운 지문을 많이 만나보지 못합니다

그래서 인문, 법에서 어려운 지문을 더 어렵게 느끼기도 합니다


어휘력부터 문제풀이까지 전반적인 국어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패턴'을 활용한 읽기

'이미지화'& '배경지식'을 통해 읽은 내용을 온전하게 이해

빠른 문제 풀이


세 부분에 집중한 자료이니

꼼꼼하게 읽고 활용해 주세요 ㅎ

 

비문학 공부를 할 때는 원래 다섯 부분에 걸쳐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국어에 그렇게 자신이 없는 경우에는 

어휘력을 다지면서 글의 흐름, 즉 어디가 중요하고 어디에서 바뀌는지 살펴야 합니다

연결어를 모르면 10분만 투자해서 암기하는 것이 좋아요


내용은 간단하게

1. 어휘력

대립적 어휘 정도만 기억하기

ex) 구체, 현실 vs 이상


2. 글에서 어디가 중요하고/ 어디가 바뀌는지

-글에서 중요도가 바뀌는 부분

: 따라서, 결과적으로, 이처럼, 이런점에서, 요컨대 

: 왜냐하면, 예컨대

: 하지만, 그러나, 그럼에도

: 그렇다면

ex) 1997 수능 

식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인구는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식량과 인구의 불균형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 글에서 흐름이 바뀌는 부분

: 하지만,그러나, 비해, 달리, 반면

: 그렇다면, 다음으로, 한편, 그런데

등이 있고 이에 맞춰 자연스럽게 별표나 세모를 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3등급이상이라면 이제 본격적으로

핵심정보에 집중하고 내용을 기억& 이해합시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패턴'입니다

'비교 대조' 같은 핵심 정보는 그냥 등장하지 않고

이항대립이나 대칭성 같은 패턴에 맞춰서 등장하기에

이 부분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3. 패턴학습 이 패턴을 통한 글의 핵심정보를 기억

패턴2- 관점

: 이항대립(X- x1 vs x2/ 3개 이상) , 대칭성


정의와는 다른 법이념이 요구된다, 이것이 바로 법적 안정성이다

정의가 법의 방향을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면 

법적 안정성은 법적 평화를 위한 수단으로 의의가 있다


이를 딱 읽고

법이념(X)

정의- 법방향(x1) VS 법적 안정성- 법적 평화의 수단(x2)

가 딱 남아야 하고 뒤 글도 이 틀 안에서 읽기와 기억하기가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의 핵심!

1등급이나 

이를 목표하는 학생이라면 

어려운 평가원& '일부 릿밋딧'을 가지고


어려운 글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까지 나아가야 합니다

이항대립의 틀이 자주 등장하는 인문, 법지문이든

과정과 원리의 틀이 빈번한 과학, 기술, 경제 지문이든

단순하게 정보를 정리하는 것으로는

어려운 보기를 빠르게 풀기 어렵고 만족스러운 시험과는 거리가 멀어집니다


따라서 이런 지문도 쉽게 이해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는

읽어가는 내용을 

적절하게 이미지화하는 훈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시간이 된다면

다 읽고 난 뒤에는 배경지식을 통해서 

독해력의 기본인 배경지식을 쌓고 부족했던 이해를 완벽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문,법자주 쓰이는 구조
이항대립
(X-x1 vs x2)

진리 파악의 능력
이성 vs 경험
어려운 부분의 이해를 위한
이미지화
- 논리적 구조도(a→b)

실정법의 효력이 깨졌지만 법적 안성성은 유지될 수 있다
~실정법& 법적 안정성
용어 자체에 집중해야
오독이 준다

법적 안정성의 요청으로 실정법은 법의 '효력'을 유지한다
과학기술 경제구조
과정원리
(구성개념-
만들어지는,작동하는 과정-
활용하는 과정원리)

반추동물이 섬유소를 에너지원을 바꾸는 과정과 원리
이미지화
그래프 그리기- x축y축

그냥 그리기- 나트륨 이온의 이동 등
용어의 변화에 집중해야
오독이 준다

열대 저기압 '입구'에서 공기의 '흡입'속도는- 열대 저기압의 '이동' 속도


4. 이미지화& 스키마로 이해하는 것까지 나아가기


인문 지문: 주로 이항대립의 틀로 읽어서 정보 기억- 충분치 않다

과학 기술 경제: 주로 과정과 원리의 틀로 읽어서 정보 기억- 충분치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글이 이미지화되어야 하며

인문의 경우에는 논리적 구조도와 용어 주의를


과학 기술 경제 지문에서는 그래프나 그냥 그리기 또 용어 변화에 주의를 기억합시다

구체적인 내용은 자료!


법의 일차원적인 목표는 법에 의한 사회의 안정 즉 법적 평화에 있으며

이는 법적 안정성을 필요로 한다는

'법에 의한 안정=법적 평화(목) → 법적 안정성(수)'으로 정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다 읽고 나서는 배경지식을 충분히 적용해서

"법이념에는 법적 안정성, 정의, 합목적성이 등이 있으며

법적 안정성은 법을 통한 안정성 그 자체라기 보다는

법의 안정성을 의미하며 이때 법을 통한 사회의 안정이 보장된다는 거구나"

같은 배경지식을 정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5. 문제 풀이

글이 어려울수록 선지 자체에 머무르기 쉬운데

어떤 경우에도 '글과 빠르게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의(x)와 법적 안정성(y)의 비교 대조를 찾아야 하는 문제라면

대충 마지막 기억에 남는 부분인 '정의는 양심, 법감정' 같은 생각만 떠올리지 말고

'글과 연결'해서

다른 것은 다르게

변화된 상황에 법이 적응까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공부를 하면 시간을 줄이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오답의 유형 등은 자연스럽게 체득

'섞인 선지' 거부- 법적 안정성은 법의 방향을 제시한다

'뒤바뀐 선지' 거부- 법적 안정성을 위해서 법적 평화가 필요하다

'용어가 민감하게 다른 선지'거부- 글은 실정성은 법의 효력 유지/ 선지는 실정성은 법의 모습을


보기문제

ㄱ에 대한 이해 문제처럼 

특정한 유형을 빨리 푸는 방법도 체득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음 글은 평가원 지문을 가지고

틀에 집중해서 정보를 파악하는 

'수능적 독서'를 올릴 계획입니다


잘 읽어줘서 고맙습니다, 26하면 좋겠다잉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